터주란 집터를 관장하는 신이다. 터주는 터줏대감’, ‘텃대감’, ‘토주(土主)’, ‘지신(地神)’, ‘후토주임(後土主任)’ 또는 대주(垈主)’라고도 부른다. 후토주임이란 터주신을 모시는 곳이 대개 집의 뒤편에 자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토주는 말 그대로 토지의 주인, 즉 터의 주인이라는 뜻이다.

 

터주신이 좌정하는 곳은 짚으로 엮어 만든 터주가리인데, 터주는 대개 집의 뒤뜰이나 장독대 옆에 세운 터줏자리에 모셔진다. 터주가리란 작은 단지나 항아리에 햅쌀이나 볍씨를 담아서, 빗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고깔모양의 주저리를 덮은 것이다. 그리고 주저리가 날아가지 않도록 왼새끼를 꼬아 터주 허리에 두른다.

 

10월 상달에 드리는 터주고사

 

예전에는 농사를 지으면 햇곡식을 먼저 터주에 바쳤다. 볍씨를 새로 넣을 때는 제일 먼저 턴 벼를 주부가 키에 까불러서 터주에 넣는데, 묵은 쌀은 밥이나 떡을 해먹으며 복을 빈다. 이때는 터주가리 안에 있는 단지에서 꺼낸 쌀로 떡을 해서 이웃집에도 나누어주는데, 이를 가을떡이라고 했다.

 

터주가리의 곡식을 교체할 때는 주저리도 새 짚으로 틀어서 바꾸어 두르는데, 묵은 주저리는 산에 버리거나 마을 성황당에 걸쳐놓아 자연스럽게 없어지도록 한다. 때로는 불에 태우거나 논의 거름으로 쓰기도 한다. 터주단지에는 벼를 넣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근래에는 벼 대신 동전을 넣기도 하고 벼와 동전을 같이 넣기도 한다.

 

터주에 대한 고사는 음력 10월 상달에 좋은 날을 잡아서 지낸다. 가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상달고사 때는 대개 콩을 넣은 콩시루 떡과 팥을 넣은 팥시루 떡을 쪄서 터주와 성주에 올린다. 수원의 각 가정에서도 10월 상달고사를 지낼 때는 지난해에 넣어두었던 곡식을 꺼내어 시루떡을 만들어, 정화수를 그 앞에 떠놓고 촛불을 밝히고 절을 하고 축원을 한다.

 

 

동티를 막아주는 터주신

 

터주신은 주부들의 신이다. 대개 터주가리가 좌정을 하는 곳이 장독대나 집의 뒤편이기 때문에, 터주고사를 드릴 때는 주부들이 주체가 된다. 터주축원을 할 때는 짚을 십자(十字)로 놓고 그 위에 떡시루와 정화수를 놓는다. 이날은 대문 밖에 금줄을 쳐서 잡인의 출입을 막고 문 앞이나 터주단지 앞에도 황토를 깔아서 잡귀를 쫓는다.

 

터주신을 모시는 날이 되면 제주(祭主)인 부녀자는 목욕을 하고 근신한다. 터주신은 집안의 동티를 막아주는 신이다. 터란 집안의 사람들이 생활을 하는 공간이다. 하기에 터주신은 집터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 존재하는 신이다. 집에서 흙을 다루거나 돌을 다룰 일이 있으면, 사전에 터주신을 모신 터주가리 앞에서 간단한 비손을 한다.

 

이는 집터에서 일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터주신께 고해 노여움을 사지 않게 하는 것이다. 터주신이 노하면 동티가 난다고 한다. 터주신은 땅 속에서 올라오는 사악은 기운을 막아내는 신이기 때문에, 가솔들의 안녕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이다. 가신 중의 으뜸은 가옥에 좌정하는 성주신이라고 하지만, 집안 전체를 지켜내는 것은 터주신이다.

 

옛 드라마 등을 보면 집안에 주부가 장독대에 촛불을 켜고, 정화수를 떠 놓고 열심히 비손을 하고 있는 모습들이 보인다. 이는 모두 터주신께 집안의 안녕을 위해서 기원을 하는 것이다. 이 가신의 주체가 바로 터주신을 모신 터주가리이다.

 

음력 10월 상달이 되면 집집마다 새로 주저리를 틀어 모시는 터주가리. 집집마다 행하던 풍습이 사라진 것이 아쉽기만 하다. 그나마 수원에 이 터주가리가 남아있는 곳은, 신을 모시고 있는 무속인들이다. 그들이라도 이렇게 옛 풍속을 지키고 있다는 것이 고맙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