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50호인 갑사석조약사여래입상(甲寺石造藥師如來立像)’은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52번지, 계룡산 갑사 경내 한편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석불입상이 만들어진 시대는 정확히 알 수가 없다. 갑사의 동쪽 계곡 약 100m 지점, 자연 동굴 안에 있는데, 원래는 갑사 뒷산의 사자암에 있었던 것이라고 한다.

 

이 갑사의 석조약사여래입상이 서 있는 자리는, 갑사 경내에서 우측 계룡산으로 오르는 등반길 곁이다. 여래입상이 바라보는 곳은 갑사계곡의 맑은 물이 흘러내리는 곳으로, 갑사구곡의 제6곡인 명월담의 물이 모이는 곳이다. 그만큼 차고 맑은 물이 바로 앞을 흐르고 있어, 이 자리에만 가도 절로 몸 안에 병이 씻기어 나갈 듯하다.

 

 

고려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

 

이 석조약사여래입상의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인 육계가 큼직하게 조성이 되어있고, 얼굴은 긴 편이다. 법의는 양 어깨에 걸쳐 입었으나, 가슴을 약간 노출시키고 있다. 법의는 무릎 아래까지 늘어져 있으며, 가슴 아래로는 반원형의 옷주름으로 표현하였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왼쪽 어깨 부근에서는 한 가닥의 주름이 어깨너머로 넘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양 팔은 가슴까지 끌어 올렸으며, 손 모양을 살펴보면 오른손을 가슴까지 들어 손바닥을 밖으로 하고 왼손에는 약그릇을 들고 있어 약사여래임을 알 수 있다. 제작 연대가 미상인 이 석조약사여래입상은, 전체적인 구성미와 조각수법으로 보아 고려 중기에 만들어진 석조불상으로 추정된다.

 

 

치성 드린 술, 그대로 계곡에 쏟아

 

공주 갑사를 다녀온 지도 꽤 시간이 흘렀다. 지난 7일에 다녀왔으면서도, 중간에 이것저것 기사를 쓸 일이 많다보니 제대로 살펴보지도 못했다. 벌써 20여 일이 훌쩍 지나버렸으니, 문화재 답사를 하고 글을 쓴다는 것이 그리 만만치가 않다. 30년 가까이 문화재 답사를 계속했으면서도, 아직도 이렇게 글을 바로 쓰는 버릇을 갖지 못하고 있다.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을 찾아가던 날, 그 곳에는 몇 사람의 여인들이 막 치성을 끝내고 있었다. 모습들을 보니 아무래도 무속인들 같다. 술병을 챙기고 있는 모습이 보였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불자들 같으면 약사여래입상에 굳이 술병을 들고 갈 일이 어디 있겠는가? 사진촬영을 하기 전 잠시 석조여래입상 앞에 고개를 숙이고 참례를 한다.

 

황급히 술병을 감추는 사람들 앞에서 사진을 함부로 찍을 수가 없어 잠시 기다린다. 카메라만보고도 놀라 술병에 담긴 술을 황급히 따라버리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다. 아래 계곡 가까이 가니 술 냄새가 진동을 한다. 이렇게 치성을 드리고 난 뒤 막걸리며 소주 등을 그냥 계곡에 버리고 가는가 보다. 명산이라는 곳 계곡에 들어가면 이런 일을 하도 많이 목격했기 때문에 이젠 나도 무엇이라고 말도 하지 않는다. ‘쇠귀에 경읽기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이다.

 

이 약사여래님 정말 효험이 있죠.”

 

잠시 계곡 촬영을 하고 있으려니 40대로 보이는 여인 한 사람이 약사여래입상 앞에 절을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절을 하는 것만 보아도 무엇인가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전국의 사찰을 문화재를 답사한다고 수없이 돌아다니면서, 이제는 절을 하는 모습만 보아도 간절함의 척도를 알 수가 있을 정도이다.

 

곁으로 다가서니 사진은 찍지 마세요.”라고 한다. 그럼 사진만 찍지 않으면 질문은 괜찮다는 말이 아니던가?

오늘 처음 오셨나요?”

아뇨, 여러 번 다녀갔어요.”

이 정도면 쾌재를 불러도 될 듯하다. 답이 시원하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무슨 일로 찾아오셨어요?”

잡 안에 환자가 있어서요.”

, 이곳에 와서 치성을 드리고 좀 나아셨나요?”

그럼요. 왔다가 가면 조금씩 나아지고는 해요. 그러니까 이 멀리까지 와서 불공을 드리죠.”

 

 

대답은 거기까지였다. 차 시간이 바빠서 얼른 불공을 드리고 돌아가야 하니, 더 이상은 말을 시키지 말라고 한다. 사실은 누가 아픈 것인지, 어떻게 아픈 것인지, 차도가 얼마나 있는지 등을 묻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인이 집안에 아픈 사람이 있고, 이곳을 다녀가면 좋아진다고 믿고 있으니, 더 이상 무엇을 물을 수 있으랴. 다시 한 번 발치 끝에서 고개를 숙이고 나서 걸음을 옮긴다. 나야 세상 모든 아픈 이들을 위해 통으로 드린 서원이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