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년이 넘는 세월을 한 자리를 지키고 있는 탑비 한기.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리 78에 소재한 국보 제8호인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사적 제307호인 성주사 터에 남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 낭혜화상 무염의 탑비이다. 신라시대인 890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비를 만난 것은 106일이다.

 

낭혜화상은 신라 무열왕의 8세손이다. 신라 애장왕 2년인 801년에 태어나, 열세 살이 되던 해에 출가하였다. 헌덕왕 13년인 821년에 당나라로 유학하여 수도를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되었고, 문성왕 7년인 845년에 귀국하여 당시 웅천(지금의 보령)에 있던 오합사(烏合寺)’의 주지가 되었다.

 

 

중요한 신라역사를 알 수 있는 탑비

 

무염이 이 이 절에서 선()을 널리 알리고 점점 크게 번성하게 되자, 왕은 성주사라는 절 이름을 내려주었다. 그 뒤 이곳에서 생활을 하고 있던 무염이 진성여왕 2년인 888, 89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니, 왕은 시호를 낭혜라 하고 탑 이름을 백월보광이라 내려주었다.

 

비문에는 낭혜화상의 업적이 자세히 적혀 있다. 비 몸돌에 새겨진 비문은 최치원이 글을 짓고, 그의 사촌인 최인곤이 글씨를 썼다. 비를 세운 시기는 적혀 있지 않으나 낭혜화상이 입적한 지 2년 후인 진성여왕 4년인 890년에 그의 사리탑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 이 때 비도 함께 세웠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비를 세운지 벌써 1,123년이나 되었다.

 

 

이 비에 적힌 기록을 보면 진골이던 낭혜화상의 가문이 아버지 대에 이르러 6두품의 신분으로 낮아지는 대목이 나타나 있어, 당시 신라골품제도의 연구 자료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이 비는 성주사 절터 서북쪽에 세워져 있는데, 거북 모습의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우고 그 위로 머릿돌을 얹은 모습이다. 받침돌이 심하게 부서진 채 흙에 묻혀 있던 것을, 1974년에 해체, 보수하였다.

 

다양한 문양과 힘 있게 조성한 탑비

 

6, 12일의 보령시로 답사를 떠나, 가장 먼저 도착한 곳이 성주사지이다. 국보 1점과 보물 3, 그리고 지방문화재가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한 자리에서 이렇게 많은 문화재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그리고 성주사지에서 제일 먼저 만난 것이, 바로 국보 제8호인 낭혜화상 탑비이다.

 

 

벌써 몇 번째 찾아 본 낭혜화상 탑비지만 볼 때마다 새롭다. 그만큼 문화재를 보는 안목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탑비는 보호각 안에 자리하고 있는데, 얼굴의 일부분이 깨져 있다. 받침돌인 귀부는 머리의 위쪽에 둥근 뿔이 나 있고, 뒤로 째진 눈에는 눈썹이 휘말려 있다. 귀두 부분이 깨어진 부분이 있어 전체를 파악하기가 힘들지만, 입은 마치 불을 내뿜으려는 기세이다.

 

통일신라시대 탑비의 백미

 

귀부의 등에는 선명한 이중의 육각무늬인 문양을 새기고, 중앙에는 굵직한 구름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구름무늬 위로는 비몸을 꽂아두는 네모난 홈을 높게 마련하여 각 면을 장식하였는데, 안상을 파고 그 안에 꽃을 새여 넣었다. 귀부 위에 올린 비몸은 앞면에는 비문을 새기고, 위쪽 양 모서리를 둥글게 깎아 놓았다.

 

 

맨 위에 올린 머릿돌인 이수는 밑면에 연꽃을 두르고, 그 위로 구름과 용이 서로 뒤엉킨 장면을 입체적으로 조각하였다. 이수에는 힘찬 용틀임과 웅장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다. 앞면에는 받침돌의 거북머리와 같은 방향으로, 용머리가 앞으로 불거져 나와 있어 흥미를 자아낸다.

 

문화재답사는 문화재와 함께 호흡을 하고 문화재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다면 불가능하다. 시간이 날 때마다 찾는 것이 아니고, 시간을 내어 찾아가야 한다.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탑비 중에서 가장 거대한 풍채를 자랑하는 낭혜화상 탑비. 화려하고 아름다운 조각솜씨로 조성한 이 탑비는 통일신라시대 최고의 백미로 꼽힌다. 모처럼 찾아가 만난 그 탑비 앞에서 쉽게 떠나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