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우만동에 자리하고 있는 천년고찰 봉녕사. 비구니 사찰인 봉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 2교구 용주사의 말사로서, 광교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고려시대 1208년에 원각국사가 창건하여 성창사라 하였고, 조선시대 1469년 혜각 국사가 중수하고 봉녕사라 하였다.

 

1971년 묘엄스님이 주석하신 이후, 40여 년 동안 비구니 승가교육의 요람으로 발전을 거듭하였다. 1974년도 봉녕사 강원(승가대학)을 개원하였으며, 19996월 세계 최초로 비구니 율원인 금강율원(금강율학승가대학원)을 개원하였다. 봉녕사는 승가교육과 율학연찬을 통한 수행도량으로서 사격을 갖추고 대가람을 이룩하였다.

 

 

세계사찰음식 다 모여

 

이 비구니 가람인 봉녕사에서 매년 가을이 되면 세계 각국에서 모여들어 잔치를 벌인다. 바로 봉녕사 세계사찰음식 대향연이 열리기 때문이다. 올해로 5회 째를 맞이하는 사찰음식 대향연은 4일과 5일 이틀 동안 봉녕사 경내에서 열린다.

 

봉녕사 세계사찰음식 대향연의 웹툰에는 사찰음식에 관한 소개가 올라와 있다. 한 마디로 그럴 것이라고 공감이 간다.

절 행사가 고루하다는 편견, 사찰음식이 심심하다는 관념, 내 종교만 최고라는 이념, 머릿속 복잡한 상념, 요즘애들 부족한 개념, 다 떠나서 여기 천년고찰 봉녕사에서 자연이 준 감사한 먹거리에 전념이란 소개 글이다. 그 밑에는 오늘 하루는 치맥(치킨과 맥주)을 거두고, 내 몸에게 자연을 선물하자. 그것도 안되겠니?’라는 문구이다.

 

 

사찰음식이란?

 

모든 법은 음식으로 말미암아 존재하고, 음식이 아니면 존재하지 않는다.’(중일아함경 중에서 부처님 말씀). ‘사찰음식은 기본에 충실한 음식이며, 그 기본이란 바로 자연과의 조화이다.’(묘엄스님)이라고 했다. 우리가 먹는 음식은 나에게 오기까지 흙, , 햇볕, 바람, 농부의 노고 등 무수한 인연을 따른다는 것이다.

 

사찰음식을 먹는다는 것은 이러한 인연에 감사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생명존중사상을 실천하는 수행방편이다. 사찰음식은 자연의 입맛을 잃어버리고, 인스턴트와 가공식품으로 건강이 무너져가는 현대인들에게, 단순 종교음식이 아닌 대안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세계사찰음식 대향연에는 이러한 우리나라의 사찰음식 외에도 베트남, 중국, 미얀마, 스리랑카, 태국, 일본, 네팔, 티베트, 부탄 등 동남아 불교국가들의 음식도 선보이고 있다.

 

 

다양한 부대행사도 눈길

 

축제 첫날인 4일애는 사찰음식 경연대회 시식, 평가회를 시작으로, 우관스님의 사찰음식 강의로 이어졌다. 또한 대적광전 앞에서는 수원의 여성으로 대표적인 인물인 나혜석이 즐겨먹던, 봉녕사 비빔밥 퍼포먼스도 펼쳐졌다. 스님들의 수행식인 사찰음식은 화학조미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으며, 제철에 나는 음식재료를 활용해서 조리한다. 또한 동물성 식품이나 파·마늘·부추·달래·양파 등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아, 조리를 할 때 사용하는 원재료의 맛을 그대로 느낄 수가 있다.

 

사찰음식 대향연 장에서 만난 한아무개(, 45)

사찰음식이라고 해서 단순히 심심한 음식일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곳에 와서 보니 다양한 음식을 보게 되어 즐겁다. 더구나 이곳 강원의 학승들과 외국인들, 우리나라의 사찰음식 연구가들이 만들어 전시를 해 놓은 음식들을 보니, 어떤 요리경연대회보다도 훨씬 좋다는 생각이다. 내 몸을 위해 앞으로 이런 사찰음식과 같은 요리를 먹어야 할 것 같다.”고 한다.

 

둘째 날인 5일에는 지견스님의 부적강의와 비빔밥 퍼포먼스가 대적광전 앞 부스에서 열린다. 또한 일본과 중국, 스리랑카, 미얀마의 사찰음식 소개와, 봉녕사 사찰음식교육관 개관식, 산사음악회가 열릴 예정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