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장마 통 장대비가 내리는 날 미치지 않고서야 무슨 문화재 답사람?”

나를 두고 하는 말이다. 비가 내리는 날에는 난 거의 어김없이 문화재 답사를 떠난다. 그것이 어디가 되었거나, 그것은 별로 중요하지가 않다. 그런 날 꼭 문화재를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왜 하필 장대비가 내리는 날 문화재를 보아야만 할까? 남들은 미쳤다고 손가락질을 하지만, 나에게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비를 맞은 문화재들은 부조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그 선명하게 드러난 문화재들을 잘 살피다가 보면, 그동안 미처 보지 못했던 것들을 샅샅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장맛비에 찾아간 고달사지

 

7월 12일(금) 중부지방에는 정말로 장대비가 내렸다. 그 빗속에 찾아간 고달사지.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에 있는 사적 제382호인 고달사지를 찾은 것이다. 혜목산 기슭에 자리한 고달사지는, 그동안 몇 번의 발굴과 정비작업으로 인해 주변 정리가 되어 있다. 아직도 발굴 중인 이 고달사지에는 국보를 비롯한 보물들이 소재해 있는 옛 절터이다.

 

혜목산 고달사는 처음에는 ‘봉황암’이라는 이름으로, 신라 경덕왕 23년인 764년에 창건이 되었다. 처음에 절이 창건된 지 벌써 1250년이 지난 옛 절터이다. 이 절은 고려시대에는 왕실의 비호를 받는 절로, 광종 1년인 950년에는 원감국사가 중건을 했다.

 

 

고종 20년인 1233년에는 혜진대사가 주지로 취임을 했고, 원종 1년인 1260년에는 절을 크게 확장을 했다. 실제로 고달사지의 발굴조사에서도 남아있는 절터자리를 보면, 3차에 걸쳐 절을 중창한 흔적이 남아있다. 이 고달사는 임진왜란 때에 병화를 입은 것으로 보인다. 굵은 빗줄기 속에 희뿌옇게 모습을 보이는 고달사지. 그 안쪽 한편에는 보물 제6호인 원종대사 탑비의 귀부와 이수가 남아있다. 탑비는 없이 귀부 위에 이수만 얹힌 모습이다.

 

바람이 날 것 같은 콧구멍과 왕방울 눈

 

보물 제6호인 고달사지 원종대사 탑비의 귀부와 이수. 원종대사는 신라 경문왕 9년인 859년에 태어났다. 90세인 고려 광종 9년인 958년에 인근 원주의 거돈사에서 입적을 하였으며, 광종은 그의 시호를 ‘원종’이라 하고 탑 이름을 ‘혜진’이라고 할 정도로 극진한 대우를 하였다. 몸돌은 깨어져 딴 곳으로 옮겼으며, 비 몸돌에는 가문과 출생, 행적 등이 적혀있다고 한다.

 

 

몇 번이나 들린 고달사지이다. 그러나 갈 때마다 이 귀부를 보면 딴 곳으로 바삐 걸음을 옮기지 못한다. 이렇게 이 귀부에 마음이 가는 것은 귀부의 모습 때문이다. 문화재를 바라보는 사람들마다 그 느낌이 다르겠지만, 난 이 귀부를 볼 때마다 알 수없는 힘을 느낀다. 마치 금방이라도 땅을 박차고 앞으로 내딛을 것만 같은 발. 격동적인 발은 발톱까지 사실적으로 표현을 하였다.

 

장맛비에 들어난 조각, 정말 장관일세

 

머릿돌인 이수에는 명문에 혜목산 고달선원 원종대사의 비임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그리고 그 밑에는 귀면이 조각되어 있다. 이 원종대사 탑비의 이수에는 용들이 용틀임을 하고 있는데, 비를 맞은 용의 비늘이 장관이다. 돌에 새겨놓은 비늘이 바로 꿈틀거릴 것만 같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장관을 보기 위해 비속을 뚫고 답사를 다닌다.

 

 

발을 본다. 두려움이 느껴진다. 비에 젖은 앞발이 힘 있게 대지를 움켜잡은 모습이다. 어떻게 저렇게 표현을 했을까? 탑비의 뒤편으로 돌아가 웃음을 터트린다. 힘이 넘치는 앞모습과는 달리, 뒤편에 말려 올라간 꼬리가 웃음을 자아내게 만든 것이다. 비가 오는 날이라야 이러한 것들이 사실적으로 다가온다.

 

 

“이래도 비가 오는 날 답사를 나간다고 난리를 칠 것이여?”

미쳤다고 하는 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다. 비가 오는 날, 그것도 장대비가 쏟아지는 날, 답사를 해보지 않은 분들은 그 멋을 모르니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