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150에 소재한 보원시지. 보물 제12호인 서산 보원사지 석조 (瑞山 普願寺址 石槽)’는 서산 보원사 터에 위치한 석조이다. 보원사는 고란사라고도 하며 사찰에 대한 역사는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1959년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발견되면서 큰 관심을 끌었던 곳이기도 하다.

 

석조는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돌그릇으로, 원형과 팔각형, 장방형 등이 있다. 이 석조는 화강석의 통돌 일석을 파서 만든 직사각형 모양으로, 통일신라시대의 일반적인 석조의 형식을 보인다.

 

 

크기가 거대한 보원사지 석조

 

보원시지 석조는 규모가 거대하며 표면에 아무 장식이 없어 장중해 보인다. 내부 각 면에도 조각한 흔적이 없으며, 밑바닥 면은 평평하고 한쪽에 약 8정도의 원형 배수구가 있을 뿐이다. 이 석조는 안쪽과 위쪽에만 정교하게 다듬고, 바깥쪽에는 거칠게 다듬은 자국이 그냥 남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석조는 땅에 묻어두고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적 제316호인 보원사지는 상왕산 보원마을에 있는 절터이다. 보원사는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지만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 사이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백제의 금동여래입상이 발견되어, 백제 때의 절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 석조는 고려 경종 3년인 978년에 창건된 보원사의 석조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 석조

 

석조란 승려들이 물을 담아 쓰던 용기를 말하는데, 그 용도는 여러 가지가 있다. 금당 앞에 자리를 한 석조는 승려들이 예불을 들이기 위해 금당에 오를 때 손을 정갈하게 씻기 위한 것으로 사용했으며, 그 외에도 목욕을 하거나 마실 물을 담아두기도 했다. 또는 음식을 조리하기 전에 씻을 때 사용하기도 했다.

 

보원사지 석조는 장방형의 것으로, 길이 3.48m, 너비 1.75m, 높이 0.65m의 크기이다. 이 석조는 당시 보원사라는 사찰의 규모를 알려주는 좋은 유물이다. 석조의 벽 두 곳에 커다란 갈라짐 현상이 일어 깨어져 있는 보원사지 석조. 오랜 세월 속에서 자연스런 훼손이 되었을 수도 있겠지만, 그런 모습을 보고 있자니 마음이 아프다. 좀 더 일찍 우리 문화재에 대해 신경을 썼더라면 더 완벽한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으려나? 하는 생각에서이다.

 

 

각종 보물들이 즐비한 보원사지

 

보원사지에는 몇 기의 보물이 남아있다. 그 중 법인국사 보승탑비의 기록에 보면 승려 1,000여명이 머물렀다고 했다. 그런 기록을 유추해 볼 때 보원사 당시에는 매우 큰 절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보원사지에는 보물 제102호인 석조를 비롯하여, 보물 제103호 당간지주, 보물 제104호 오층석탑과 보물 제105호 법인국사보승탑 등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보원사지 가까이에는 국보인 서산 마애삼존불을 비롯해 불교유적이 집중 분포하고 있어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유적으로 손꼽힌다. 석조 하나가 주는 고찰의 의미. 문화재란 그것으로 인해 그 문화재가 갖는 역사적인 면들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상당히 소중하다. 그런 문화재를 작 보존하는 일이야말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의 책임이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