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생각해보니 사람의 인연이라는 것이 질기기도 하다. 17일 오전 막히는 길을 이리저리 돌고 돌아 여주로 향했다. 여주군 북내면 서원리에 사는 아우를 오랜만에 만나보고 싶어서이다. 아우는 이곳에서 정착을 한 지가 벌써 20년 세월이 훌쩍 넘었다. 처음 아우네 집을 찾았을 때는 마을에 달랑 아우네 집 밖에는 없었다.

 

전 민예총 경기지회장을 맡았던 서종훈(, 52)을 처음으로 만난 것이 벌써 20년 세월을 훌쩍 넘겼다. 당시는 대전에서 방송 일을 할 때였으니, 참 세월이 빨라도 너무 빠르다. 예전 PC통신 모임에서 만난 것이 인연이 되어, 마치 친 형제처럼 그렇게 지냈다. 무슨 일이 있으면 서로 왕래를 하면서 살아 온 세월이 벌써 이렇게나 지났으니, 그동안 둘 사이의 이야기를 하려고 하면 한이 없을 듯하다.

 

 

설치미술, 도자기, 그리고 화가

 

아우는 가끔 설치미술도 하고 행위예술도 한다. 물론 전공은 그림이지만, 아우네 집은 3대째 전해지는 도공의 집안이기도 하다. 전통 가마를 만든다고 해서 대전서부터 여주까지 참 뻔질나게 찾아들었던 기억이 난다. 공주대 학생들과 함께 토요일마다 여주로 올라가 망생이라는 흙덩어리를 만들어, 그것으로 전통 가마를 만들기도 했다.

 

사람 좋아하는 아우는 어디를 가나, 사람들과 금방 친해지고는 한다. “아우는 그냥 아무데나 던져 놓아도 살아서 올 것 같다늘 이런 말을 하고는 했다. 그만큼 세상사람 누구나 다 포용을 할 수 있어 성격을 가졌다. 그래서인지 아우네 집에는 늘 많은 객들로 북적이고는 했다. 술이라도 한잔 걸치면 그 자리에서 휴지를 길게 풀어 멋들어지게 살풀이 한 판을 출 수 있는 멋을 지닌 사람이다.

 

 

섭지코지를 그리다

 

몇 년 만에 아우네 집을 들렸다. 변함없이 작업실에 앉아 작업에 열중하고 있는 아우. 서원리 맨 위편 양평군 양동면으로 넘어가는 고개 밑에 작업실은 넓은 편이다. 한편에는 전시실이 마련되어 있고, 한편으로는 차를 마실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 집 작업실에는 온돌방이 함께 달려있다.

 

피곤할 때면 늘 이 집을 찾았다. 그리고 술 한 잔 마시고 뜨끈하게 불을 땐 온돌방에 올라 누워있으면, 온 몸에 찌든 피로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꼭 그래서만 이 집을 찾았던 것은 아니다. 내가 살아오면서 가장 힘들었을 때, 아우네 집에서 몇 달 동안 기거를 한 적이 있다. 바로 현재의 작업실이 그곳이다. 그래서 이 작업실은 나에게는 아픔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오랜만에 찾아 간 곳이라 차를 한잔 마셨다. 그리고 전시실을 둘러보니 전시실 안이 온통 섭지코지그림으로 가득하다. 섭지코지를 그린 많은 그림들은 각기 계절과 시간, 크기 등이 모두 다르다. 그런 섭지코지의 그림들을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당시 제주의 아픔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싶어 섭지코지만 그리고 있다고 한다.

 

더 많은 작품 그려 전시할 계획이라고

 

그림으로 그려내는 섭지코지의 아픔. 섭지코지는 4,3 양민 학살 때 252명을 학살한 곳이다. 이우의 그림 중에 여명이 밝을 무렵의 섭지코지 그림이 눈에 띤다. 섭지코지의 그림 위에 많은 반점이 있다. 학살당한 양민들의 눈물인지, 아니면 그들이 흘린 피인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그 그림 앞에 서면 싸한 아픔이 밀려온다.

 

 

오래 머물 수가 없어 바로 작업실을 뒤로 했지만, 그런 그림 속에 배어있는 아픔 때문인가 발길이 무겁다. 작업실 앞에 마련한 작은 연못에서 뿜어 나오는 물줄기의 소리도, 더운 5월의 한 낮의 뜨거움을 삭이지는 못하는 듯하다. 아우와 20년 넘는 세월을 함께 살아오면서 변한 것이라고는, 얼굴에 늘어난 주름뿐이다. 인연이란 참 질긴 것인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