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여강길 걷기가 열렸다. 이날 여강길을 걷는 사람들은 우만리마을회관을 오전 10시에 출발하여, 부라우나루터-우만리나루터로 돌아오는 길을 걸었다. 우만리나루에는 서종훈(, 52. 전 민예총경기지회장)이 깎아 세운 장승과 솟대가 서 있고, 앞에는 간단한 고사상이 차려졌다.

 

장승제는 남한강 물을 정귀영(여주중학교)교사가 떠다가 그 물을 올리고 장승제를 지냈다. 장승제는 간단하게 20여분 만에 마쳤는데, 축문을 읽고 모인 사람들이 장승에 배례를 하고 그쳤다. 장승제에 여강길 걷기를 마친 사람들이 마을회관에 도착하자 풍물패(대표 김미진)들이 길놀이를 하면서 사람들을 인도를 했다.

 

 

1972년까지 나룻배가 다녔던 우만리나루

 

우만리나루는 여주읍 우만리 우만이마을에서 남한강 건너편의 강천면 가야리를 연결했던 나루이다. 우만리나루는 마을의 명칭에 따라 우만이나루라고도 불렀다. 나루터 입구에는 커다란 느티나무 보호수 1기가 있어 여름철이면 주민들의 휴식처가 되고 있다. 1972년 홍수로 나루가 없어지기 전까지 우만이나루에는 20명이 탈 수 있는 나룻배와 최대 10명까지 승선할 수 있는 거룻배가 각각 1척씩 있었다고 한다.

 

이 나룻배는 우만이마을에서 관리하였으며, 강천면의 적금리와 굴암리, 가야리의 주민들이 여주장을 이용할 때 사용을 하였다. 또한 여주읍 우만리와 멱곡리 주민들이 강천면으로 땔감을 구하러 갈 때 주로 이용하기도 하였다. 우만이나루는 원주장에서 소를 구입한 소장수들이 우만이나루를 경유하여 여주장과 장호원장으로 이동하였는데, 특히 여주장으로 가는 소들이 많았다고 한다.

 

 

우만이나루의 마지막 사공은 작고한 송부성씨였는데, 나룻배를 자주 이용하는 주민들에게서 1년에 겉보리 1말과 벼 1말을 거두었는데, 볏가마를 지고 다니면서 받았다고 한다. 곡식을 내지 않는 승객은 요금을 내었는데, 1970년경 배삯은 편도에 300원이었다고 한다.

 

배를 건조하고 수선하는 비용은 모두 사공이 부담하였다. 배의 수명은 약 10년이었으며, 여주장에서 송판을 구입하여 목수에게 맡겼다고 한다. 송부성 사공은 부라우에 거주하던 목수를 불러서 배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하루 세끼를 제공하고, 하루 일당으로 쌀 1말을 주었다고 한다. 거룻배의 경우 1주일 내외, 나룻배는 보름 이상 걸렸다고 한다.

 

 

붉은 바위가 있는 부라우나루

 

여주읍 단현리 60-7 일대에 고려 때부터 조성이 된 나루. 한 때는 소금배가 드나들기도 해서 강원도 지역으로 오가는 상인들이 줄을 잇던 곳이다. ‘부라우나루는 여주읍 단현리 부라우마을과 남한강 건너편의 강천면 가야리 지역을 연결하던 나루이다. 나루 주변에는 붉은 기운을 띤 바위들이 있어 단암(丹岩)’ 이라고 부른데서 부라우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한다.

 

나루는 마을에서 약 25m의 나지막한 고개 너머 급경사를 이룬 강가에 위치하고 있다. 강가로 돌출한 바위가 거센 물결을 막아주지만 홍수가 나면 나루터 주변에 가까이 있던 가옥들이 침수 피해를 입었다고도 한다. 이 마을로 들어서는 고갯마루에는 민참판댁 외가가 있었다고 하는데, 인근의 능현리는 명성황후의 생가가 있는 여흥 민씨의 집성촌이었다.

 

지난 해 616일 무더운 날 찾아간 부라우 나루터. 강가 바위 위에는 육모정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까지도 주춧돌이 있었던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정자 주변 암벽에는 단암(丹嵓)’ 이라고 새긴 각석이 남아 있다. 이곳을 기점으로 남한강을 오가는 나룻배는 단현리 부라우마을에서 관리하였는데, 길이는 15m 내외로 약 40명이 승선할 수 있었다고 한다.

 

지난 해 616일 부라우나루굿 모습

 

부라우나루는 1975년경부터 사용을 하지 않았다. 부라우나루는 주로 여주군 강천면 주민들이 여주장을 이용하기 위해 부라우나루를 건넜고, 단현리 부근 주민들은 남한강 건너 강천면에서 땔나무 채취를 하기 위해 나루를 이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소장수들이 원주장에서 소를 구입하여 부라우나루를 건너 여주장으로 이동하였다고 한다.

 

단현리 부라우마을의 고갯마루에는 99칸의 민참판댁이 있었다고 전한다. 민참판댁 옛터에서 조금만 걸으면 남한강이 나오는데, 강가의 바위 절벽위에 침석정지의 흔적이 남아 있다. 바위 위에는 침석정의 기둥자리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육각형 홈이 3개가 남아 있다. 이곳 남한강의 마을사람들은 단강(丹江)’이라고 부른다. 아마도 단암 때문인 듯하다.

 

 

장승, 엣 기억을 더듬다

 

우만이나루에 세워진 장승은 여주군에서 제작비를 대고, 북내면 서원리에서 작업을 하는 서종훈 작가가 제작을 했다. 그리고 사람들이 강길을 걷는 날에 맞추어 장승제를 지낸 것이다. 우만이나루에 서있는 장승은 장승4기와 솟대 12본이다. 아마도 이 장승과 솟대들은 우만이마을의 평화와 죽어가고 있는 여강을 살릴 수 있는 희망이 될 것이다.

 

우만이나루에 서 있는 장승. 그것은 잃어버린 우리의 정체성을 되찾고, 공동체를 되살리는데 일조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정월이나 10월 상달이 되면 이곳에다 떡 한 시루와 물 한 동이 떠놓고 비손이라도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것이 우리들의 가슴 속 깊은 곳에서 고함치는 옛 기억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