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녀 주논개가 심었다고도 하고, 남편인 최경희가 심었다고도 전하는 소나무. 수령은 약 500년 정도가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천연기념물 제397호인 징수 의암송(義岩松)’은 전북 장수군청 청사 입구 앞에 자리하고 있다. 42일 장수군을 답사하면서 가장 먼저 달려가 보고 싶은 곳은, 바로 의암송이 자리하고 있다는 장수군청이었다.

 

장수군청 청사 현관 앞에 서 있는 의암송. 15936, 임진왜란 때 남편인 최경희를 따라 진주로 간 논개. 왜군과의 전투에서 최경희와 7만 민관군이 모두 전사를 하자, 기녀로 신분을 속이고 왜장들의 승전연에 참석을 한다. 그곳에서 왜장 게야무라 후미스케를 끌어안고, 남강으로 몸을 던져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장수의 상징인 의암송

 

이 때 논개가 촉석루 아래 바위에서 남강으로 몸을 던진 곳을 의암(義岩)’이라 부르는데, 그 이름을 따서 의암송이라고 부른다. 이 의암송은 1,500년 후반쯤에 장수현감이던 최경희가 심었다고도 하고, 논개가 심었다고도 한다. 누가 심은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나무에 얽힌 뜻이 중요한 것이 아닐까? 이 나무를 장수군민들은 장수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섬기고 있다는 점이다.

 

이 소나무에는 논개의 의로운 정기가 깃들어 있다고 하며, 논개의 절개를 상징한다고 한다. 하기에 장수군민들은 이 나무를 신성시한다. 현재 나무가 서 있는 곳은 옛날 장수현의 관아였다. 이곳에서 자라고 있는 의암송을 논개가 심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하지만 주논개를 기리는 뜻에서 의암송이라고 부른다는 것에 대해서는 어느 누구도 무엇이라 할 수가 없다.

 

용트림을 하는 의암송

 

장수군청으로 마음 급하게 찾아갔다. 현관 앞에 당당한 모습으로 서 있는 천연기념물인 의암송. 아래서 한 줄기가 올라오면서 지상으로부터 2m 정도에서 두 갈래가 갈라진다. 줄기는 시계방향으로 뒤틀어져 나선형을 이루고 있다.

 

 

나무의 전체 높이는 그리 높지가 않다. 9m 정도의 높이에 가슴 높이의 둘레는 3.2m 정도이다. 두개의 큰 가지가 남북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는데, 북쪽가지의 직경은 80이고 남쪽가지의 직경은 50정도이다. 그 위로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마치 우산형과 같은 수관을 이루고 있다.

 

장수군의 사람들은 이 나무를 굳이 주논개가 1592년에 심었다고 이야기를 한다. 아마도 이 나무로 논개의 의로움을 상징하고 싶어서일 것이다. 그런 마음이 있기에 이 의암송이 더욱 당당해 보인다.

 

 

의암송은 마치 승천하려는 용과 같은 형태이다. 연륜이 지나 껍질은 갈라지고, 한편에는 사람 머리만한 옹이도 보인다. 줄기는 뒤틀어진 모습이 말로 형용하기가 어렵다. 어떻게 이런 모습으로 자라났을까? 자연의 오묘함에 감탄을 한다. 연신 속으로 멋지다라는 말만 해댄다. 정말로 그 안에 알지 못하는 기운이 가득한 것만 같다.

 

한 가지는 청사 쪽으로 바라고, 또 한 가지는 중간에서 방향을 바꾸어 구부러졌다. 곡예를 하듯 자라고 있는 장수 의암송. 아마도 저 두 가지에 주논개와 남편 최경희의 마음을 담아 낸 것은 아니었을까? 의암송 곁에서 오래 머물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