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조(石槽)’란 돌로 만든 물을 담아두는 용기를 말한다. 꼭 물을 담아 두기 위한 것이 아니라고 해도, 돌로 만든 물을 담아 목욕을 하는 용기도 석조라고 한다. 예전에는 욕조를 돌이나 나무 등으로 만들었다. 석조는 주로 절에서 많이 사용을 했다고 생각한다. 요즈음에 남아있는 석조의 대부분이 절터에서 많이 발견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여에서 발견된 수많은 석조를 보면, 대개 크기가 그리 크지 않아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소재하는 부여국립박물관 경내에는 많은 백제시대의 석조들이 전시되어 있다. 아마도 그 당시 사람들은 이런 석조를 하나 쯤 갖고 있는 것이 신분의 고하를 상징하는 것이나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많은 석조들이 현 부여읍 일대에서 발견이 되었기 때문이다.

 

 

사지에서 발견이 된 석조들

 

우리나라의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 있는 석조는 대개 옛 절터에서 많이 발견이 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흔히 석조가 절에서 사용을 한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하기도 한다. 보물 제64호인 경주 보문사지 석조는 물을 담아두는 용기의 용도로 사용이 되었다. 보물 제102호인 서산 보원사지 석조 역시 절에서 물을 담아 쓰는 용기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절에서 많이 사용한 물을 담아두는 석조는 장방형, 원형, 팔각형 등 다양하다. 공주 중동 석조처럼 특이한 석조도 있다. 보물 제148호인 공주 중동 석조는 공주 대통사 터에서 보물 제149호인 반죽동 석조와 함께 있었던 것이다. 이 석조는 원형으로 물통을 만들고, 중간에 간주석을 놓고 밑에 받침을 두었다. 연꽃을 담아 장식을 하던 용기로 사용이 되었다고 한다.

 

 

부여에도 보물로 지정 된 석조가 있다. 부여국립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94호인 부여 석조이다. 이 석조는 ‘공(工)’자 형태로 되어있는데, 왕궁에서 연꽃을 심어 즐겼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이 외에도 보물 제1523호인 경주 불국사 석조,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0호인 법주사 석조,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50호인 도갑사 석조, 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10호인 보문사지 석조 등이 있다.

 

자연석 그대로를 이용한 백제인들

 

부여국립박물관 경내에 전시가 되어있는 석조들은 그 모양이 그리 크지 않다. 원형이나 네모나게 조형을 한 것들도 있으나, 자연석 그대로를 이용한 석조들이 눈에 띤다. 백제시대인 6~7세기경에 현 부여읍 일대에서 발견이 된 석조들이다.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석조를 만들어 사용한 백제인들은 뛰어난 석조물을 조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그 석조 중에는 자연석 그대로를 이용한 것들이 눈에 띤다. 아마도 당시 백제인들은 자연을 사랑했던 것이란 생각이다. 자연석을 다듬지 않고, 있는 그대로 조형을 한 석조들. 부분이 깨어지고 떨어져 나갔지만, 그 안에서 백제인들의 자연사랑을 알아볼 수가 있다면 너무나 비약적인 생각일까?

 

부여국립박물관 야외에 전시가 되어있는 석조들을 보면서, 다양한 그 모습에 절로 감탄이 터져 나온다. 자연을 사랑한 백제인들. 그 작고 볼품이 없어진 많은 석조에서, 당시 사람들의 마음을 읽어내기란 어렵지가 않다. 비록 백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그들의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은 이렇게 오랜 시간 후손들에게 전해지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