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원적산은 오대산의 끝자락이라고 한다. 그만큼 명산이라는 이야기다. 이 원적산의 산자락인 여주군 도곡리 산 7번지에 소재한 도곡리 석불좌상은, 9세기의 통일신라 불교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석불좌상이다.

 

산자락에 외로이 앉은 석불좌상

 

도곡리를 지나면서 이정표를 보고 찾아들어간 석불좌상. 1998년도에 여주군에서 보호각을 만들어 놓았다. 그런데 돌려가면서 살창을 만들어 놓아 사진을 찍기가 불편하다. 전체를 보려면 이 보호각의 살창으로 인해 다 찍을 수가 없다. 그래도 맨 땅에 세워놓은 것보다는, 보호각이라도 있다는 것이 보기에도 나아 보이니 어쩔 것인가?

 

 

원적산의 산자락에서 북동쪽을 향하고 앉아있는 이 석불좌상은, 팔각대좌 위에 결가부좌의 자세로 앉아 있다. 두툼한 코와 팽팽한 뺨, 어깨까지 늘어진 귀 등에서 자연스러운 부처의 모습을 느낄 수 있고 상태도 비교적 양호하다.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고 수인은 왼손을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얹고, 오른손은 가슴 부근에서 2개의 손가락을 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보아 알맞은 신체비례를 갖고 있는 통일신라 말의 석불로 보인다.

 

삼단으로 된 대좌의 뛰어난 조각

 

세 매의 화강석으로 구성된 대좌는 위에 올린 불상에 비하여 작은 편이다. 하대석은 연화문을 두르고 있다. 중대석은 육각형으로 되어있으며, 상대석과 하대석에 비해 너무나 얇게 조각이 되어 보기에도 불안해 보인다. 중대석의 여섯 면 중에 앞면에 있는 사면에는 신장상을 돋을새김 하였다. 많이 마모가 되긴 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힘이 넘치는 모습이다. 이렇게 돌에다가 느낌을 들 정도의 조각을 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상대석은 4단의 받침을 갖춘 복엽연판문이다. 각 연잎마다 두광과 신광을 갖추고 선정인을 한 불상이 조각되어 있어 특이하다. 상대석에 이렇게 불상을 조각을 했다는 것은, 당시 이 석불좌상을 조성한 장인의 기능이 뛰어나다는 것을 말한다. 9세기 통일신라 말의 이 석불좌상은 주변이 평편하고 석재들이 남아있다. 그리고 20m 정도 떨어진 곳에 절터가 있는 점 등으로 볼 때, 당시 이곳에 자리한 사찰의 대웅전에 모셔졌던 석불좌상으로 보인다. 다만 이 석불좌상이 모셔져 있던 절의 명칭이나 규모를 알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자연을 훼손하는 이런 일은 삼가야

 

도곡리 석불좌상은 그동안 몇 번이나 답사를 했다. 항상 지나는 길마다 근처에 있는 문화재를 찾아보는 것이 습관처럼 되어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얼마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 변화는 없었는지, 또는 관리가 잘못되어서 훼손을 당하지나 않았는지 등을 관찰하기 위해서다. 요즈음은 문화재로 지정만 해놓고 관리가 되지 않는 소중한 자원들이 많다. 그런 것을 볼 때마다 관계당국에 연락을 하고 질책을 하기도 하지만, 워낙 많은 숫자이다 보니 일일이 그런 일을 하는 것도 버겁다.

 

 

석불입상을 보고 내려오는데, 길옆 풀숲에 무엇인가가 보인다. 여름철 풀이 무성하면 볼 수 없었을 테지만, 마른 풀 숲에 드러난 것들이 있다. 좁은 내를 건너 숲으로 가보니 촛대와 대야 등이다. 누군가가 이것을 버리고 간 것이다. 옆에는 붉은 천들이 있는 것으로 보아, 신을 모시는 사람들이 이곳을 찾아 갖다 버리고 간 것이란 생각이다.

 

 

전국의 문화재 중에서 석불이나 마애불, 그리고 탑 등을 돌다가 보면, 주변에 이런 것들이 심심찮게 눈에 띤다. 심지어는 의식을 마치고 난 돼지머리 등을 버리고 가기도 해, 여름철이면 심한 악취가 나기도 한다. 신을 모신다는 사람들이 이런 짓을 하다니. 마침 어르신 한 분이 밭으로 올라오신다.

 

이곳에 사람들이 와서 기도를 하느냐고 물으니, 몰래 와서 뚱땅거리고 가기도 한단다. 그렇게 기도를 하고 기물(器物)을 버리고 가는 심사는 무엇인지. 이런 것 하나도 우리문화재를 훼손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그 오랜 천년세월, 이 자리에 앉아 원적산 산봉을 바라보는 석불좌상은 우리에게 무엇이라고 하실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