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택답사를 하면서 가장 기분 좋은 것은 역시 한 곳에 많은 고택이 몰려있는 곳을 방문했을 때다. 경주 양동마을이 그렇고 순천 낙안마을이 그랬다. 온양 민속마을도, 강원도 고성에 있는 마을도 그랬다. 그런 곳을 방문하면 내 눈빛이 달라진다는 것이 동행한 사람들의 이야기다.


내가 그렇게까지 고택답사에 열을 올리는 까닭은 그 안에 우리의 삶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손 때 묻은 우리의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것들을 다 잊어버리고 사는 요즈음, 그 하나의 작은 것들이 새삼스럽게 소중하게 가슴에 와 닿기 때문이다. 벌써 전국에 있는 고택을 돌아본 것이 그동안 200여 채는 됨직하다.

 


특별환 날에 나선 답사, 수지맞았다


남들이 특별한 날이라고 하는 날도, 난 탑사를 떠났다. 그들이 말하는 생일이나 회갑이나 하는 날이, 나에게는 특별한 날은 아니라는 생각이다. 그저 내가 살아가는 일상의 연장일 뿐이다. 그런 날 오히려 문화재 답사 한 곳이라도 더 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이런 나를 두고 '이상한 사람'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그 이상함이 사실은 지극히 정상이다. 우리가 지켜야 할 우리 것을 찾아나서는 길이 '이상하다'는, 그 사람들이 오히려 내가 보기에는 이상할 뿐이다. 제천시에 있는 청풍문화재단지. 이곳을 몇 번이나 들렸지만, 그렇게 고가들이 있었는데도, 지금까지는 사진 몇 장으로 지나쳐버렸다.

 

뒷간

이번 답사에는 마음을 먹고 떠난 길이라, 세세한 것까지 보고 오리란 생각으로 들렸다. 오후 시간이라, 특별한 날 점심도 못 먹고 사진만 찍고 있는 나에게 '정신 차리라'는 일행. 그러나 난 정신을 놓은 것이 아니다. 오히려 배가 고픈 것을 잊을 만큼, 그 작은 아름다움에 빠져들었다.


시골의 양반집인 청풍 황석리 고가


청풍문화재 단지 안에는 모두 4채의 고가가 있다. 이 고가들은 충주 다목적댐의 건설로 인해 수몰이 된 문화재 중에서, 청풍면 일대에 있던 중요문화재를 1983년부터 옮겨 문화재단지를 조성한 곳이다. 황석리 고가는 청풍면 황석리에 있던 조선말기의 목조가옥이다. 수몰지역에 있던 것을 1985년 문화재단지로 이전하였다.

 

 

대문채

청풍문화재단지를 들어서면 우측으로 4채의 고가가 자리를 잡고 있는데, 제일 먼저 만날 수 있는 집이 황석리 고가이다. 대문을 초가로 꾸민 황석리 고가는, 입구부터 옛 이야기가 물씬 풍길 것만 같다. 


황석리 고가는 조선시대 시골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그러한 평범한 집이다. 초가로 지어진 대문채는 크고 작은 강돌을 이용해 아름다운 문양을 만들었다. 벽도 이중으로 된 심벽으로 되어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대문채의 방문이 있다. 적기는 해도 양반집이니 당연히 머슴이 있었을 터. 아마 이 방에서 밤새 새끼라도 꼬다가, 주인영감이 들어오면 문을 얼어주고는 했을 것이다. 그래서 방문이 대문 쪽으로도 나 있다. 비교적 원형을 잃지 않고, 방위까지 수몰되기 전 모습 그대로 옮겨왔다는 황석리 고가다.

 

 

안채

 

4칸의 일자형 양반집, 편의를 생각해 짓다


황석리 고가의 특징은 좁은 마당을 적절하게 잘 이용했다는데 있다. 4칸 규모의 일자형 안채는 부엌, 안방, 윗방, 사랑방으로 꾸몄다. 그런데 부엌을 들어가는 입구에 뒤주 간을 만들었다. 또한 안채의 앞에 놓은 마루에서 밖으로 신을 신고 나가지 않고, 바로 부엌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마루와 부엌이 연결되는 곳에 문을 내었다. 부녀자들이 어려운 살림살이에서 움직여야 하는 동선을,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한 흔적이 집안 곳곳에 배어있다.


황석리 고가의 또 하나의 특징은 사랑채와 안채가 붙어있다는 점이다. 일자형으로 길게 구성이 되어있는 황석리 고가는 안방과 윗방, 사랑방의 앞에 모두 마루를 깔았다. 사랑채와 안채의 구별이 되지 않는 일자형 집에서 흔히 보이는 형태이다.

 

 


오밀조밀한 부엌, 그래도 명색이 양반집인데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황석리 고가에는 흔한 헛간채나 광채가 없다. 그러다보니 여기저기 헛간을 대신할 공간을 꾸며 놓았다. 명색이 양반집인지라 함부로 밖에 늘어놓을 수는 없었는지, 부엌의 한편을 헛간으로 사용을 했다. 부엌문을 열고 들어서면 좌측 초입에 헛간에 둠직한 소쿠리며 농기구 등을 정리해 놓았다.


이런 것도 알고 보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부엌은 불을 떼는 곳이므로, 늘 불기운이 있어서 건조가 잘된다. 농기구나 소쿠리 등을 부엌에 두면, 녹이 슬지도 않을 뿐더러 습기가 차지 않아서 좋다. 작은 집이라고 하지만 나름대로 이점도 있다. 황석리 고가는 이러한 점을 최대한 활용을 한 기능성 맞춤집이다.  

 

 


또 하나 황석리 고가에서 볼 수 있는 부엌의 특징이 깊은 부엌이다. 그래서인가 까치구멍을 나뭇조각으로 막지를 않고, 그냥 통으로 구멍을 냈다. 깊은 부엌이 위에서 부는 바람을 아래까지 들어오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도 이 가옥의 특이한 건축법의 하나이다. 그저 평범한 고택인 듯하지만 꼼꼼히 따져보면 재미난 것이 많은 것도 황석리 고가가 주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다.


'이집은 잘 살던 집이 아닌가봐'라는 관광객의 말에 뒤를 돌아본다.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집 주인이 청렴한 양반이었다는 생각은 하지 못한 것일까? 그저 크기와 호화로움 만으로 가치를 따지려는, 요즈음의 사람들이 조금은 불쌍해 보이기도 한다. 자연과 더불어 살줄을 모르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