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있는 문화재를 답사를 하면서 느끼는 점은 참 묘하다는 생각이다. 문화재란 우리에게 당장은 큰 즐거움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하지만, 오랜 역사 속에서 나름대로의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들이다. 하기에 이 문화재를 우선적으로 보호하야 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상주시 사벌면 화달리에 가면 사벌국의 왕릉이라고 전해지는 능이 있다. 이곳을 들어가는 입구에 보면 삼층석탑이 1기가 보인다. 그저 색다를 바 없는 석탑이지만 보물 제117호로 지정이 되어 있는 화달리 삼층석탑이다. 석탑은 1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통일신라 때의 작품이다.

 

 

1층의 몸돌이 유난히 큰 삼층석탑

 

전반적으로 비례가 불균형하고 기단부의 일부가 훼손되어 기이한 형태가 되었다. 흥미롭게도 기단 위에는 머리가 없는 1구의 석조여래좌상이 1층 몸돌에 기대어 앉아 있는데, 탑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나, 이곳이 옛 절터임을 말해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 화달리 삼층석탑은 탑신의 몸돌과 지붕돌이 한 개의 돌로 이루어진 형태다. 1층의 몸돌은 그 높이가 유난히 높고 커서 기단보다도 큰 형태이다. 지붕돌의 귀퉁이는 처마처럼 위로 솟아 석탑에 날렵함을 불어 넣었다. 석탑의 위에 올리는 상륜부는 아무런 장식도 남아 있지 않다.

 

기단부 위에 올려놓은 목 없는 석불

 

그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소박한 이 탑이 눈길을 끈 것은 바로 탑의 기단부 위에 놓여 진 목 없는 석불 때문이다. 목이 없는 석불좌상은 얼핏 보아 탑과 같은 석질인 것으로 보인다. 그런 점에서 보면 이 일대가 혹 절터였을 것으로도 생각하지만, 아직 정확한 발굴이 이루어지지는 않은 것 같다.

 

이곳이 혹 비사벌 왕릉을 지키는 원찰이 있었던 곳은 아니었을까? 생각은 다시 생각을 하게 만든다고 했던가? 저 석불이 왜 하필 저곳에 앉아 계신 것일까? 그리고 누가 저렇게 석탑의 기단부 위에 목 없는 부처님을 올려놓은 것일까? 석탑의 기단부도 한쪽이 깨어져 나가 기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그 위에 목이 없는 부처님까지 좌정을 하셨다니. 아마 어떤 재화에 이렇게 훼손이 된 것에 대한 시위를 하는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 더욱 석탑 기단부의 깨어져 나간 면을 보니 이건 최근에 깨어진 듯 하다.

 

 

 

문화재 보존, 좀 더 적극적이어야

 

그동안 수많은 문화재를 보아왔다. 그 문화재의 현실은 한마디로 ‘어렵다’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다. 여기저기 산재해 있는 모든 국보나 보물을 다 관리를 못한다고 한다. 한 마디로 예산이 없고, 인력이 부족하다는 판에 박은 소리들이다. 일 년이면 축제를 한다고, 수억에서 수십억을 사용하는 지자체들도 같은 소리들이다.

 

한 마디로 축제할 예산은 있어도, 문화재를 관리할 예산은 없다는 것이 납득이 가질 않는다. 그러다가 보니 산 중에 있는 문화재, 혹은 마을 한편에 아무렇게나 있는 문화재들은 언제든지 손을 탈 수가 있다. 꼭 무슨 일이 벌어지고 나서야 부랴부랴 대책을 강구한다고 하지만, 그것 역시 시일이 조금 지나면 까맣게 잊어버린다. 그것이 우리 문화재의 현주소다.

 

 

화달리 석탑과, 그 기단 위에 좌정한 목 없는 부처님. 이 모습이 바로 우리가 그토록 애지중지 해야 한다고 입만 벌리면 되뇌는, 우리 문화재의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마음이 아프다. 언제나 우리의 수많은 문화재들이 제대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것일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