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군 홍천읍 진리 구인당한약방 옆에 보면,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14호인 홍천 진리 석불이 있다. 좁은 보호각 안에 있는 이 석불입상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높이는 2,28m에 받침대인 대좌나 광배도 없이 발견되었다. 발견될 당시 머리가 없던 것을 주민들이 만들어 놓았다고 한다.

 

석불입상이 입고 있는 옷의 형태나, 양편 팔목에 팔찌가 표현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보살상일 것으로 추정한다. 어깨에는 보살상의 옷인 천의가 길게 발목까지 늘어져 있고, 허리 아래서 부터는 치마인 군의가 여러 겹 주름치마로 표현이 되어 있다. 머리가 없어 시대를 정확히 판단할 수는 없으나, 거친 조각기법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불입상으로 보인다.

 

 

좁은 보호각 창살, 답답해

 

문화재를 보호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그렇다고 문화재를 제대로 볼 수 없도록 막아놓거나, 좁은 살창 등으로 첩첩히 싸놓으면 그도 또한 불편하긴 마찬가지이다. 좁은 보호각 안에 석불입상이 있어 전체를 찍기가 어렵다. 그리고 전면은 목책으로 만들어져 있어, 전체 석불을 찍기도 어렵다.

 

부분을 나누어 찍다가 보니, 밑에는 누가 치성을 드린 흔적도 보인다. 그런데 이 석불입상 역시 머리를 주민들이 만들어 붙였다고 하는데, 그 모양새가 이상하다. 머리는 민머리에 얼굴이 넓적한 것이, 보살이라고 하기보다는 나한상에 가까운 머리를 올려놓았다.

 

어울리지 않는 머리가 슬프다

 

요즈음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머리가 없는 석불들이, 부지기수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머리는 과연 언제 어떻게 해서 사라진 것일까? 숭유정책을 편 조선조 때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그리고 각종 정변을 통해서도 훼파가 되었을 것이다.

 

 

 

그것만이 아니다. 종교적인 이념이 다르다는 이유로도, 훼손이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 목 없는 석불들의 처리 방법이다. 석불은 지역마다 그 조각기법이 차이가 난다. 또한 시기적으로도 차이가 난다. 하기에 어느 지역, 어느 시기에 조성된 석불인지를 알아볼 수 있다.

 

그렇다보니 목이 없는 석불이 보기가 좋지 않아, 새로운 두상을 올려놓을 경우도 생긴다. 그럴 때는 가급적이면 전문가와 상의를 하여, 그 몸체에 걸 맞는 두상을 올려야 할 것이다. 자칫 전문가의 참여 없이, 보기가 흉하다가 하여 아무 두상이나 올려놓는다고 하면, 그는 차라리 아니함만 못하다. 지나침은 오히려 부족함보다도 못하다고 하지 않던가.

 

 

수난을 당해 목이 사라진 석불을 보기도 마음이 아픈데, 거기다가 아무런 두상이나 마구 올려놓아 더 마음을 아프게 만든다. 이왕이면 전문가의 고증을 거쳐서, 어울리는 머리 부분을 얻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