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법전에서 울진으로 가다가 보면 삼거리에 이정표를 만날 수 있다. 울진금강소나무 군락지라는 이 이정표를 따라 좌측으로 10km 정도를 들어 가다가 보면 포장이 안 된 곳도 나오고, 좁은 길이라 차가 마주치면 뒤로 물러나기도 한다. 그렇게 찾아들어간 곳에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0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소광리황장봉계표석'이 있다.

울진군 서면 소광리 산262에 속하는 이곳을 가다가 보면 우측에 MBC대하드라마 <영웅시대>의 야외 세트장이 있다. 퇴락한 이 세트장을 둘러보고 길을 재촉해 찾아 간 황장봉계표석. 자연암석에 글을 새겨 놓은 경계표시다. 그리고 보니 벌써 다녀온지가 꽤 오래되었다.

처음만난 봉계표석, 기대를 하고 찾아가

솔직히 이 황장봉계표석을 찾아갈 때는 기대에 부풀어 있었다. 처음으로 이런 표석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일반문화재와 같은 멋진 부분을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수도 없이 많은 문화재를 만나면서도, 정작 이런 부분에는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그 기대가 컸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막상 앞에 도착해보니 계곡을 흐르는 하천가에 커다란 자연암반이 있고, 그 주위에 철책을 둘러놓았다. 이것이 우여곡절 끝에 찾아온 황장봉계표석이란다.

황장봉계표석이라는 말에 난 ‘금표비(禁標碑)’ 같은 것으로 생각을 했다. '모르면 물어보라, 그리고 찾아보라'는 나름대로의 문화재 답사에 대한 나만의 방법이 있었지만, 집 한 채 없는 곳으로 들어갔으니 물어 볼 곳도 없다. 그저 안내판을 참고하는 수밖에.

그동안 황장표석은 원주시 소초면 학곡리 치악산 입구, 영월 황장골, 인제 한계리 등에서 발견이 되었지만, 울진소광리 황장금표는 이보다 시기가 앞선다고 한다. 황장금표가 있는 바위에서 안으로 들어가면 울진 금강소나무 군락지가 있으니, 이곳에 금표석을 세웠을 것으로 생각이 든다.


무지한 답사, 그래도 계속하면 눈을 떠

안내판을 몇 번이고 읽어본 다음에 바위를 찬찬히 돌아본다. 자세히는 볼 수 없는 음각을 한 글자들이 보인다. 설명에는 "황장봉계 계지명생달현 안일왕산 대리 당성 산직명길"이라고 쓰여 있다고 하나, 글이 마모가 되어 쉽게 판독이 되지 않는다. 그 내용은 오른쪽 5행 19자, 왼쪽 1행 4자로 되어 있으며, 황장목을 벌채할 수 없는 지역이 생달현(生達峴), 안일왕산(安一王山), 대리(大里), 당성(堂城)의 네 지역이며 관리 책임자는 명길(命吉)이라는 산지기라는 것이다

자연암반에다가 글을 새겨 넣은 봉계표석. 지금은 냇물이 흐르는 쪽에 글이 있고 그 위에 길이 있지만, 예전에는 이 냇가에 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황장봉산의 경계를 표시하는 이 제도는 숙종 6년인 1680년 처음으로 시작이 되었으며, 그 후 여러 지역으로 확대가 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이 소광리황장봉계표석을 시작으로 원주, 인제, 영월 등에도 봉계를 정했다는 이야기가 된다.



조선시대 왕실에서 관곽으로 사용하기 위한 황장목을 확보하기 위해 벌채를 금지한 조치였다. 아마 당시에는 나무가 유일한 땔감이었으니 벌채가 심했을 테고, 그런 벌채를 막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금강송 베면 다쳐', 그때나 지금이나 벌목은


이 자연암반에 새겨 넣은 19자의 봉계금표석이 참 고맙다고 느낀 것은 바로 울진금강소나무 군락지가 이 안쪽에 있다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 봉계표석으로 인해 이곳의 소나무 군락지가 보호를 받았으니 말이다. 조선조 때는 사람들이 집을 지으면서 사람들이 소나무를 선호하였기 때문에 소나무 보호정책을 펴기도 했다. 이러한 내용은 조선왕조실록 등에도 수차 거론되고 있다.

기록에 의하면 조선 현종 9년인 1668년에는 백성들이 큰 소나무를 마구 베어가므로 엄단할 것을 공포하였다. 사복이 범법을 하였을 때에는, 그 주인까지 논죄 를 따진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 바로 송금사목, 송금절목, 송계절목, 금산, 송전, 봉산 등 소나무를 지키기 위한 강력한 법이 만들어진 것이다



무지함으로 인해 실망을 하고, 그 뜻을 알고 난 후에는 또 한 가지를 배웠다는 뿌듯함으로 돌아설 수 있는 것이 바로 문화재답사의 묘미다. 황장봉계표석의 답사를 마치고 돌아서면서 날이 저물어 금강소나무 군락지를 못 들어 간 것이 내내 서운하지만, 다음번 답사 때는 군락지까지 꼭 들어가겠다는 생각을 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