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군 대신면 보통리에 소재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26호 김영구 가옥은, 조선 영조 29년인 1753년에 지어졌다. 이 김영구 가옥은 현재 거주하고 있는 김영구 옹이 40여년 전에 구입을 하여 살고 있다. 원래는 풍양 조씨들이 살고 있던 집으로 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조석우가 지은 집이라고 한다.

김영구 가옥은 세 번째나 방문을 했다. 김영구 가옥은 볼수록 폐쇄적이라는 생각이 드는 집이다. 마치 철옹성 같다고나 할까? 전체적으로는 ㅁ자형으로 구성된 본채는 앞에 누마루로 달아 만든 누정이 달린 시랑채가 있고, 사랑채의 서쪽에 붙여 대문을 만들었다. 그리고 안으로 들어가면 길게 ㅡ 자로 늘어선 안채와, 양편에 날개채를 달았다. 안채의 지붕이 높여 날개채와 구분을 한 것도 이집의 재미있는 모습이다.


철저하게 안채 출입이 통제된 가옥

날개채에는 양편 모두 광을 달았고, 서쪽 날개채는 부엌과 연이어져 있다. 동쪽의 날개채의 끝은 일각문과 연결이 되어 사랑채와 연결되고, 서쪽의 대문은 사랑채와 날개채를 연결하고 있다. 결국 두 곳의 문을 통하지 않고는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다. '50년 전만 해도 마을사람 반도 이 집을 드나들 수가 없었다'는 김영구옹의 설명대로 이 집은 어느 누구도 안채를 마음대로 출입할 수 없는 집이었다. 그만큼 외부와 철저하게 차단이 되어 있다. 경기지방의 보기 드문 가옥의 구조로 되어있다.

"우리 집은 정승 판서가 22명이나 나온 집이여"

집을 여기저기 꼼꼼히 들여다보고 있는데 집 주인인 김영구옹이 말씀을 하신다.



"여기 이 집은 신문 방송에서 많이 촬영해갔어. 이집에서 정승 판서가 22명이나 나왔거든."
"어르신은 어떻게 이 집에 살게 되셨어요?"
"우리 선대부터 이 마을에 살았는데, 이 집이 판다고 나왔어. 나도 자식들을 키우고 있으니 이집을 사면 아이들이 잘 될 것 같아서."
"그래서 자녀분들은 다들 잘되셨나요?"
"탈 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들 살고 있으니 그 정도면 됐지."

김영구 가옥의 비밀은 어디에 있을까? 과연 이 집에서 정승 판서가 22명이나 나왔는지는 확인할 수가 없다. 하지만 마을중앙에 조금 높게 앉아있는 이 집은, 얼핏 보기에도 명당자리라는 생각이 든다. 김영구옹의 말씀대로 이 집에서 그렇게 많은 정승 판서가 나왔을까? 좀 더 세세하게 이 집을 돌아보기로 마음을 먹는다.


집을 지은 석재나 기둥, 처마 등을 보면 이 집은 지방의 공인이 지은 집이 아니다. 석재는 모두 잘 다듬어져 있다, 계단을 쌓은 석재나 주추로 사용한 석재들이 모두 일반적인 자연석을 주추로 사용을 한 것이 아니다. 잘 다듬어진 석재와 누마루를 놓은 형태. 그리고 처마 등을 살펴보면 한양에서 집을 짓던 경장(京匠) 등을 데려다가 지었음을 알 수 있다.

해시계가 왜 여기 있을까?

김영구 가옥의 안채로 들어가면 사랑채 뒤에 붙은 높은 굴뚝이 있다. 그 굴뚝 앞에는 문화재 안내판이 서 있고, 경기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된 해시계가 있다. 별 장식이 없이 화강암으로 만든 이 해시계는 높이 0.76m에, 위 평면의 넓이는 25cm 정도가 된다. 가운데는 깊이 1cm 정도의 구멍 흔적이 있다. 아마 이곳에 나무 같은 것을 꽂아, 태양의 일주운동에 따라 그 그림자로 시간을 쟀을 것이다.

이 해시계에는 명문이 있으나 마모가 심하여 읽을 수가 없다. 이 해시계는 왜 이곳에 있는 것일까? 조선 세종 16년인 1434년 세종의 명에 의해 장영실이 해시계를 만들어, 흠경각에 처음으로 설치를 하였다. 그리고 서울 혜정교와 종묘 앞에도 설치를 했다고 하는데, 이 집에 있는 해시계는 언제 제작된 것일까? 명문이 없어 제작 년대를 정확히 알 수 없어 아쉽다. 다만 이 집을 지었다는 조석우는 고종 때 판서를 지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 해시계도 당시에 이집에 두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랑채에 달아낸 누정이 압권

김영구 가옥의 사랑채 서쪽에는 누정이 붙어있다. 마루로 놓인 이 누정은 김영구 가옥의 모습을 뛰어나게 만든다. 누정은 밑을 잘 다듬은 돌로 주추를 하고 그 위에 정자를 올렸다. 정자는 삼면이 모두 들창으로 되어있으며, ㅡ 자로 되어있는 사랑채에서 앞으로 돌출이 되어있다.


그 누구도 집안의 허락을 받지 않고는 안으로 들어갈 수가 없도록 구조가 되어있다. 대문을 열어놓아도 안을 들여다보기가 힘든 것도 이집의 특징이다. 대문 안은 바로 서쪽날개채의 벽이기 때문이다. 대문을 열어도 외부에서 안을 들여다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 날개채의 벽이 바람을 막는 방풍의 역할도 하고 있다. 둘러볼수록 빠져드는 집이다.

김영구 가옥의 또 하나 특징은 바로 작은 사랑채다. 사랑채와 동편 날개채가 붙은 일각문 옆으로 사랑채와 같이 ㅡ 자로 붙어있는 작은 사랑채. 이곳도 방과 마루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작은 사랑채도 사랑채와 마찬가지로 외부의 사람들을 접대하기도 하고, 이곳에서 손들이 묵기도 했다고 한다. 그런 점으로 보아 이집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작은 사랑채도 일각문을 열어야 안으로 출입을 할 수가 있어, 결국 이집은 밖에서 외부인들이 안으로 들어가기는 쉽지가 않다.



행랑채 앞에 솟을대문이 있었다고 하는 여주 김영구 가옥. 그 안에서는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또 안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지 밖에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그러나 이제 열린 대문 안을 들여다보면 그 집 하나하나에 참으로 대단한 정성이 깃들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