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이론가이면서 판소리를 집대성한 동리 신재효(1812∼1884). 오위장을 지낸 신재효는 순조 12년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뛰어난 재질로 독공으로 소리명인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한다. 오위장을 지낸 뒤에 향리로 돌아온 신재효는 마흔 네 살부터 소리꾼마다 제각각 부르고 있는 판소리를 정리하고 후계자를 키우는데 몰두하였다. 춘향가, 박타령, 토끼타령, 가루지기타령, 적벽가, 심청가의 여섯 마당을 오늘날 명창들이 부르는 바와 같이 정리하여 완성시켰다.

현재 중요민속자료 제39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집은, 신재효가 고종 21년까지 살던 집이라고 전한다. 사랑채만 남아있는 이 집은 철종 1년인 1850년에 지은 것으로 짐작하며, 광무 3년인 1899년에 그의 아들이 고쳐지었다고 한다. 신재효의 집은 모양성 밖에 자리하고 있으며, 중요 민속자료 지정 전까지 고창 경찰서의 부속 건물로 쓰였다.


원래의 집은 주변의 물을 끌어들여 마루 밑을 통해 연못으로 들어가게 한 운치가 있는 집이었으나, 지금 건물은 많이 개조되고 변형된 것을 문화재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6칸 집 곳곳에 남아있는 운치

정면 6칸, 측면 2칸 규모에 一 자형 평면 초가로 지어진 이 집은 현재는 부엌 쪽에 초가 일각문을 두고 있다. 앞쪽에는 판소리박물관이 자리하고 있어, 담장 일부를 터놓았다. 왼쪽으로 부터 한 칸 부엌과 두 칸의 방, 그리고 대청 한 칸과 통 두 칸의 방으로 이루어졌다. 현재 통 두 칸의 방에는 판소리를 하는 모습을 한 사람모양을 만들어 관람객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집을 한 바퀴 돌아본다. 일각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조금 비켜 선 돌로 쌓은 우물이 보인다. 부엌은 까치구멍을 넓게 놓아 시원하게 보인다. 부엌과 방 사이에는 쌍여닫이 출입문을 만들었으며, 대청 양쪽 방으로 연결하는 문을 달지 않았다. 대청은 마루방으로 놓았으나, 밖에서 보면 대청이란 것을 쉽게 알 수가 없다. 전체적으로 집은 단출하면서도 소박하다.

부엌을 뺀 다섯 칸의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놓아 동선을 도왔다. 여기저기 많은 부수적인 장치를 하지 않은 것도 이 집의 특징이다. 뒤쪽에는 옹기 두 개를 올려놓은 낮은 굴뚝이 눈길을 끈다. 현재의 연못은 집 앞에서 배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이 차게 되어있다. 하지만 삭막하게 마른 연못은 왠지 을씨년스러워 보인다. 물이라도 좀 채워 두었으면 좋았을 것을.




광대가의 산실 신재효 생가

거려천지 우리 행락 광대 행세 좋을시고
그러하나 광대 행세 어렵고 또 어렵다

광대라 하는 것이 제일은 인물치레요

둘째는 사설치레 그다음 득음이요
그다음 너름새라

너름새라 하는 것이 구성지고 맵시 있고

경각에 천태만상 위선위귀 천변만화

좌중의 풍류호걸 구경하는 노소남녀

울게 하고 웃게 하는 이 귀성 이 맵시가 어찌 아니 어려우며


득음이라 하는 것은 오음을 분별하고

육률을 변화하야 오장에서 나는 소리

농락하여 자아낼 제 그도 또한 어렵구나(하략) / 판소리 단가 광대가 중





조선 고종 때 동리 신재효는 이집에서 광대가를 지었다. 광대가는 단가로 광대의 이론을 사설로 쓴 것인데, 광대노릇을 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또 광대가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인물치례, 사설, 목소리, 너름새를 그 조건으로 들고 있다. 오래 전에 ‘중고제’라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이 집을 처음 찾은 후 벌써 몇 번째인지. 몇 번 보수를 한 것을 빼고는 처음 본 모습과 다를 바가 없다. 다만 관람객들을 돕기 위해 판소리를 하고 있는 인형들을 전시했다는 것을 빼고는.



일생을 판소리를 정리하기 위해서 노력을 한 동리 신재효. 고창에 많은 명창이 배출이 된 것도 신재효 선생의 그 깊은 뜻이 있었기 때문은 아니었을까? 집안을 돌아보면서 아무런 의미도 모르고 기웃거리는 사람들에게, 안내판이라도 좀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집을 돌아 나오는데 뒤편에서 판소리 한 대목이 들리는 듯하다. 광대가 한판이라도 좀 들을 수 있도록 시설이 되었으면 좋았을 것을.

대전 동구 가양동 65번지에는 우암사적공원이 자리하고 있다. 이 사적공원 안에는 우암 송시열과 관계되는 건물들이 함께 자리하고 있어서, 조선시대 건축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사적공원의 정문을 들어서면 좌측으로 작은 솟을대문이 보인다. 이 솟을대문 안에는 기국정과 남간정사가 자리하고 있다.

남간정사는 낮은 야산 기슭의 숲이 우거진 골짜기를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남간정사 앞으로는 남간사가 자리하고, 뒤편으로는 작은 연못을 파 놓았다. 남간정사는 우암 송시열(1607 ~ 1689) 선생이 후학들에게 강학을 하던 유서 깊은 곳이다. 우암 선생은 사계 김장생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연마하였는데, 사계 김장생은 율곡의 첫째가는 제자이다.


대전시 유형문화재 제4호인 남간정사

우리나라 정원사에 멋스러움을 이룩한 남간정사

우암 선생은 율곡의 학통을 이어받았으며, 선생이 동구 소제에 살고 있는 동안 흥농촌에 서재를 세워 능인암이라 하였고. 그 아래에 남간정사를 지었다. 남간정사는 선생이 많은 제자들을 길러 낸 곳이기도 하지만, 선생의 학문을 완성시킨 곳으로 치기도 한다.

이 남간정사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팔작지붕이다. 남간정사는 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왼편은 앞뒤 통 칸의 온돌방을 들였다. 남간정사는 계곡의 샘에서 내려오는 물이 대청 밑을 통하여 연못으로 흘러가도록 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조경사에서도 매우 중요하고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평가받고 있다.



남간정사는 마루 밑으로 물을 흘려 연못으로 들어가게 하였다. 지금은 물길을 막아버리고 구멍만 남았다.
 
용과 닮은 괴이한 나무 한 그루

남간정사를 찾아갔으나 문이 굳게 잠겨 있다. 안을 기웃거려 보지만, 들어갈 방도가 없다. 정사 밑으로 난 물길을 통해서 들어갈 수 있으려나 했지만, 물구멍만 남겨놓고 축대로 막아버렸다. 안으로 들어갈 수 없으니 밖에서만 빙빙 돌 수밖에. 돌다가보니 대문 앞에 서 있는 나무 한 그루가 누워있는 형상이 보인다.

수령이 꽤 되었을 것만 같은 나무 한 그루. 대문을 막아서 비스듬히 누워있는 나무를 찍으려고 나무 옆으로 돌아갔는데, 이게 웬일인가? 흡사 한 마리 용이 비천을 하려고 날아오를 듯한 모습이다. 어떻게 그 오랜 세월 이렇게 불편하게 자라고 있는 것일까? 그런데 그 불편함이 오히려 남간정사를 지키고 있는 용과 같아 보인다.

뒤편에서 보면 꼭 용과 같이 생겼다.


남간정사 출입문 앞에있는 나무는 한 마리 용이 승천하는 형상이다.
 
나무줄기에 돌출된 옹이에는 푸른 이끼가 가득 끼어있고. 누워있는 나무줄기의 한편이 뒤에서 보면 마치 용틀임을 하면서 승천을 하는 듯한 모습이다. 남간정사도 우리 정원의 조경에 독특한 구성이지만, 이 나무로 인해 남간정사의 멋스러움이 한결 더해진 듯하다. 답사를 하면서 많은 정자와 가옥들을 보았지만, 이렇게 집과 나무가 멋진 조화를 이루는 것은 처음인 것만 같다. 이 나무 한 그루로 인해 답사 길이 즐겁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