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역을 답사를 하다보면, 자주 만나는 작은 전각들이 있다. 들판에 외롭게 덩그마니 서 있는 것들이 있는가 하면, 대문에 걸려있는 것들도 있다. 바로 부모님께 효를 다한 효자에게 내리는 효자비와 효자정려이다. 비석에 효자임을 새긴 것은 효자비, 대문 위나 전각 안에 현판으로 걸어 놓은 것은 효자정려이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정자 중에서도 효자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거나, 충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들이 부지기수이다. 영모정, 사모정, 기영정 등, 이런 것들은 모두 충효에 관한 이야기 한 자리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소중하게 생각한 것이 바로 충(), (), ()이기 때문이다.

 

 

불효자를 엄격하게 다스렸던 옛 풍습

 

효자에게는 비를 세우거나 정려를 내려주었던 것과는 달리, 불효자는 그에 상응한 벌을 내리기도 했다. 옛날 마을에 망나니가 있으면 사람들이 관청에 끌고 가는 대신, 멍석에 말아놓고 뭇매를 가하던 사형(私刑)’이 있었다. 이를 흔히 멍석말이라고 한다. 전라남도나 경상남도 지방에서는 이를 두고 '덕석마리'라고도 하는데, 이는 멍석을 덕석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이 멍석말이는 멍석으로 감은 사람을 때리는 형벌로 주민들에 의해 행해진다.

 

멍석말이는 한 집안이나 동네에서 못된 짓을 저지르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고도 뉘우칠 줄 모르는 자가 있으면, 문중이나 동네의 회의를 거친 뒤 어른 앞에 끌고 간다. 그리고는 멍석을 펴서 눕히고 둘둘 말거나 뒤집어놓고, 온 집안 식구들이나 동네 사람들이 뭇매를 가해 버릇을 고쳐주는 습속이다.

 

 

합천 물산마을의 8가지 죄목

 

이 멍석말이는 관청에 신고하는 대신 이 같은 방법을 썼으므로 오히려 문중의 형벌이나 동리법(洞里法)’이 더 무섭다는 말이 생기기도 했으며, 마을의 사회규범을 유지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을 했다. 합천 영암사지를 찾아가는 길에 만난 선도대가 바로 그런 옳지 못한 사람들을 다스리는 멍석말이 장소였다.

 

물산마을이라는 곳에서는 옛 마을 규약인 향약에 이르기를 마을의 풍속을 어지럽히는 자들을 벌을 주게 하였는데, 모두 8가지의 죄목을 나열해 규범을 삼았다고 한다. 그 여덟 가지의 죄목은 다음과 같다.

 

一曰 불효지형이오(효를 행하지 않은 불효자를 벌하다)

二曰 불목지형이오(친척 간에 화목하지 못함을 벌하다)

三曰 불인지형이오(남녀사이(부부를 말하는 듯)에 화목하지 못함을 벌하다)

四曰 불제지형이오(윗사람에 대해 공경하지 않음을 벌하다)

五曰 불임지형이오(책무와 소임을 다하지 못함을 벌하다)

六曰 불휼지형이오(불쌍한 사람을 돌보지 않음을 벌하다)

七曰 조언지형이오(거짓말을 하는 자를 벌하다)

八曰 란민지형이라(주민을 괴롭히는 자를 벌하다)

 

 

수원에 유일하게 남은 효자정려

 

이때도 가장 먼저는 바로 불효였다. 그만큼 우리 역사에서는 효를 중히 여겼다. 수원에도 많은 효자들이 있었겠지만, 이제 흔적으로 남아 있는 것은 수원박물관 마당 한 편에 서 있는 정려각이다. 정려각이란 전각을 짓고 효자나 충신, 열녀 등의 덕을 칭송하고자 세우는 붉은 문을 말한다.

 

이 정려각은 전주 유씨 가문에서 기증한 것으로, 영조 19년인 1743년 우승지 류태명과 순조 12년인 1812년 류태명의 증손자인 호조참판 류의의 효자정려이다. 한 집안에서 이렇게 대를 이어서 정려를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그 집안의 내력이라는 뜻이다. 류태명(16661716)의 자는 도휘, 호는 현산웅, 본관은 전주이다.

 

29세 때 별시에 합격해 출사했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우승지를 지냈다. 이 정려각은 원래 호매실 택지개발지구내에 위치했으나, 그의 후손인 류원상이 기증하여 수원박물관으로 이전 복원했다. 요즈음처럼 사회가 각박해져만 갈 때 이 효자정려가 더 빛을 발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효가 무엇인지를 알려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에 대한 효가 남다르듯, 지금은 수원을 상징할 수 있는 효에 관한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한 때이기 때문이다. 수원박물관의 효자정려를 아이들의 효에 관한 교육장소로 알려야할 이유이기도 하다.

충북 괴산군 괴신읍 검승리에 가면 ‘애한정(愛閑亭)’이라는 정자가 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정자는, 박지겸(1549~1623)이 광해군 6년인 1614년에 지은 정자 겸 학동들을 가르치는 서당이었다.

 

조선조 중기의 유학자인 박지겸은 본관은 함양으로 자는 익경, 호는 애한정이다. 임진왜란 때 백의(白衣)로 왕을 의주까지 모시기도 했으나, 광해군 때 정치가 문란해지자 이곳으로 낙향하여 정자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 애한정이라 하였다. 애한정은 그 뒤 원 정자 뒤에 새롭게 조성이 되었다.

 

 

몇 차례 중수를 한 애한정

 

애한정은 현종 15년인 1674년에 옮겨지었고, 숙종 38년인 1712년과 44년인 1716년에 중수를 하였다. 그 후 1979년에 크게 보수를 하여 현재 모습을 갖추었다. 애한정은 새롭게 축조한 현재의 애한정 앞에, 예전의 애한정이 그대로 남아있다.

 

애한정을 오르려는데 앞에 작은 전각 하나가 풀숲에 가려져 있다. 계단은 있으나 풀들이 자라 가리고 있다. 풀숲을 헤치고 올라가니, 고종 28년인 1891년에 건립한 박상진의 효자문이다. 박상진은 애한정을 창건한 박지겸의 9대손이다. 낙향한 선비가 부유하게 살지는 못했을 테니, 그 9대손인 박상진 또한 생활이 궁핍했는가 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한 박상진은 품을 팔아 부모를 정성껏 봉양하였다. 부친이 술을 즐겨했으므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계속 술을 드실 수 있도록 하였단다.

 

 

피를 내어 부친을 간구한 효자 박상진

 

후에 부친이 병이 들어 자리에 눕게 되자, 백방으로 약을 구해 부친의 병 구환을 위해 노력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친이 위독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내어 부친을 연명케 하였다고 한다. 부친이 돌아가시자 피눈물로써 3년 상을 마쳤으며, 그의 나이 85세에 이르렀어도 부모의 이야기만 나오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러한 그의 효심을 충청도 선비들이 예조에 보고하자, 나라에서는 그의 효행을 후대에 알리기 위해, <동몽교관조봉대부>란 벼슬을 추증하고, 효자 정문을 세웠다. 애한정을 오르다 보면 계단 우측에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는 느티나무 한 그루가 녹음을 자랑한다. 위로 오르면 담장에 둘러싸인 원래의 애한정이 있다. 보수를 하여 말끔하게 정리가 되어있다.

 

 

뒤편에는 현재 애한정의 현판을 단 정자가 있는데, 아마 이곳에 걸렸던 현판을 옮겨간 듯하다. 원 애한정과 옮겨지은 애한정을 잘 보존해 놓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애한정이 역사 속에서 변화한 형태를 알 수가 있다. 바람직한 문화재의 보존이란 생각이 든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지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고 했던가? 오늘 갑자기 애한정이 그리워지는 것은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홀연히 마음을 비우고 낙향을 하여, 학동들을 가르치면서 「애한정기」와 「애한정팔경시」 등을 쓴 박지겸과, 부친의 병환을 고치려고 손가락을 잘라 피를 낸 효자 박상진의 이야기가 생각이 나서다.

 

없는 살림 가운데서도 이렇게 사람답게 사는 모습을 보여준 애한정의 주인들을 생각나게 만드는 것은, 요즈음 세태가 하도 어이없게 돌아가서인가 보다. 어린 생명을 다치게 하는가 하면, 나라 살림을 하겠다는 사람들이 돈 버는 일에 눈이 벌게, 남이야 죽든지 말든지, 자신의 배만 채우겠다는 생각들로 온통 나라가 검어지는 듯해서다.

 

대선이 2일 남았다. 대선 도전하는 사람들, 우선 이곳부터 가서 마음을 내려 놓고 오기를 바란다. 그 자신들이 과연 이 애한정에서 무엇을 느끼고 올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이곳이 가서도 깨닫는 것이 없다고 한다면, 그들은 이미 이 나라의 국민을 이끌고 갈 아무런 자질도 없다는 것일게다. 요즈음에는 윗물은 맑아도 아랫물이 똥물일 때가 비일비재한데, 윗물까지 맑지 않다면 그 아랫물이야 뻔하지 않겠는가?

 

작은 시골 정자 하나가 이렇게 사람이 살아가야 하는 모습을 알려주고 있지만, 우리들은 그 곁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것 같다. 오늘 이곳 애한정을 가슴속에 담는 것도, 나리들께서 꼭 이 시골의 작은 정자 애한정과 효자문을 찾아보고, 사람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가를 깨달았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