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도로 목천IC 나들목을 나서 병천 방향으로 약 4km쯤 가게 되면 상량골 마을이 나온다. 기술대연구소 옆으로 난 좁은 도로를 따라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은지리 은석골을 만난다. 첩첩산중이라고 해야 맞을 듯한 산위로 향하는 이 비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은석골에서 거리를 둔 은석산의 남쪽계곡에 은석사가 자리하고 있다.

 

은석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이 은석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보이는 은석사와 동일한 사찰로 추정되며, 현재의 절은 와편 및 초석 등으로 볼 때 1530년 이전에 건립된 절로 보인다. 414일 이 은석사에서 9회 은석사 진달래 화전축제를 연다고 해서 구불구불 산길을 돌아 찾아갔다.

 

 

단출한 은석사에 손님들이 찾아들어

 

은석사를 찾아가는 초행길은 쉽지가 않았다. 몇 번을 여기저기 돌아 찾아가니 주차장이란 작은 푯말이 붙은 곳에는 수십 대의 차량들로 들어차 있고, 여기저기 차를 세울만한 곳에는 모두 차들이 들어차 있다. 이곳은 은석산을 산행하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라고 한다. 잔칫집답게 사람들이 모여 전이며 화전을 들고 있다.

 

절은 의외로 단출하다. 비구니 스님 두 분이 거주하고 계시다는 은석사는, 본전인 보광전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9호인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天安 銀石寺 木造如來坐像)>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2호인 <천안 은석사 아미타극락도(天安 銀石寺 阿彌陀極樂圖> 등 두 점의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형한 목조여래좌상

 

목조여래좌상은 은석사 보광전에 모셔진 조선조 후기의 목조불상이다.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135cm, 어깨 폭 27.6cm로 불상의 얼굴은 방형이다. 불신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나 좁은 어깨와 넓은 무릎 폭으로 인해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두 귀는 크고 목은 짧은 편이다. 짧은 목에 삼도가 뚜렷하다.

 

여래좌상의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하였고, 별개로 만든 왼손은 발 위에 놓아 중지와 약지를 구부렸다. 오른쪽에 어깨위로 둥글게 걸친 변형 우견편단식 법의와 옷주름은 단조롭게 표현하였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여래좌상은, 허리를 곧추세운 채 굽어보는 듯한 자세와 단정한 이목구비,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신체 묘사 등이 특징이다.

 

 

목조여래좌상의 후불탱화인 아미타극락도

 

원래 은석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이 은석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나, 정확한 연대는 알지 못한다. 조선 영종 때의 암행어사 박문수 묘가 절의 위편에 자리하고 있어, 은석사에서 이 묘를 지키는 일도 함께 맡아했다고 한다.

 

목조여래좌상 뒤편에 걸린 후불탱화인 아미타극락도는 가로 185cm, 세로 145cm로 견본채색(絹本彩色)을 사용하였다. 이 아미타극락도는 부분적으로 변색되어있고, 군데군데 훼손이 심한상태이다. 하단부 좌우에 화기(畵記)가 남아있어, 함풍 11, 즉 철종 12년인 186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이 후불탱화는 여래좌상의 후불탱화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화기에 적힌 것을 보면 태화산 마곡사 부용암에 봉안되었던 것을 옮겨온 것임을 알 수 있다. 화원의 이름 등은 훼손이 심해 알 수가 없다.

 

 

봄날 찾아간 은석산 은석사. 이날 진달래화전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짜장스님이 이곳에서 350명에게 스님짜장 봉사를 했다. 스님짜장을 맛보기 위해 길게 줄이 늘어진 것을 보고, 짜장스님의 인기는 갈수록 더해만 간다는 생각이다. 팔작지붕으로 조성한 보광전과 삼성각, 그리고 두어 동의 요사 등이 있는 은석사의 봄은 그렇게 무르익고 있었다.


4월 17일 하루 온종일 모악산은 몸살을 앓았습니다. 지난 해보다 더 많은 분들이 모악산을 찾았다고 합니다. 아침부터 축제가 끝나는 오후 5시경까지 모악산은 그야말로 사람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습니다. 특히 올 축제에는 송월주 큰 스님께서 직접 산사를 찾아 사람들을 격려해 주셨고, 김승환 전북교육감도 아이들 격려차 산사에 올라 그 어느 때보다도 값진 축제가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벌써 그 세월이 강산이 한 번 변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이제는 모든 것이 스스로 알아서 즐기고, 즐기게 하는 축제로 자리를 잡은 듯합니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길은 어린이들이 오르고 내리기에는 조금은 위험한 산길입니다. 부모님들이 동행을 하시지만 조금만 더 신경을 썼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제11회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 그 끝의 모습을 소개합니다.   

아저씨 나 폼이 어때요? 제법 그럴 듯 하지 않아요?

모두가 즐거운 축제, 이것이 진정한 축제다

언제나 인기가 좋은 진달래 화전

사진촬영대회 대상 한 번 먹어봐!!

이번 종합대상은 당연히 내것...

한 손으로는 그림을... 또 한 손에는 먹을 것을...축제는 즐거워

'한 마리 잡았다!!' 산사 작은 연못의 올챙이와 개구리들의 수난 

고등학교 언니들도 산사에 올라 멋진 춤판을..

초등학교 어린이들도 뒤질세라 아름다운 춤을...
 

모두가 즐거운 축제. 그래도 우리가 제일이지....
 

 산사로 오르는 길 양편은 그야말로 흐드러진 꽃 길


(주) 지난 해보다 더 많은 분들이 찾아주셨답니다. 미리미리 올려드리지 못했습니다. 컴이 워낙 늦는 바람에

4월 17일(오늘) 아침 9시부터 전라북도 완주군 구이면 원기리 모악산에 자리한 신라시대의 천년고찰 대원사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바로 제11회 모악산진달래 화전축제가 시작이 되기 때문이다. 당일 축제로 전국에서 5만 여명이 다녀간다는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 전통과 젊음이 넘치는 아름다운 축제이다.

아침 일찍부터 모여들기 시작한 학생들은, 저마다 자리를 잡고 앉아 글쓰기와 그림그리기 등 경연종목에 열심을 내고 있다. 곁에는 함께 동행을 한 부모님들이 아이들과 함께 열심을 내어본다. 진달래화전축제에는 글짓기, 그림그리기, 동영상, 사진촬영 등 다양한 경연에 문화관광체육부장관상을 비롯해 교육감, 교육장, 지자체단체장 등의 상이 있다.


살아있는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는 올해로 11회 째가 되었다. 전국 봄 축제 중 가장 아름다운 축제라고 하는 화전축제. 초등학생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들의 공연모습도 화전축제의 생동하는 모습이다. 아름다운 화전축제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아냈다.


사진 위로부터
화전, 화전을 기다리는 아이, 페이스 페인팅, 그림을 그리는 아이, 대회에 참가한 아이들, 송호, 월주 큰 스님의 화전축제 축하 휘호, 아이들을 격려하기 위해 참석한 김승환 전라북도 교육감, 밸리댄스를 추는 공연팀 

모악산 화전축제가 아침 8시 경부터 사람들이 산사로 오르기 시작하더니, 9시가 조금 지나자 여기저기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5만 여명이 다녀간다는 모악산 진달래화전축제는 10시에 전 조계종 총무원장이신 송월주 큰 스님께서 격려차 방문을 하시면서 시작이 되었다.

모악산 화전축제의 이모저모를 소개한다.
(주) 화전축제의 이모저모를 실시간으로 올려드립니다 


화전축제의 캐릭터도 더운 날에 어린이들과 함께



아이들에게 인기가 좋은 것은 역시 페이스페인팅이다


어린이들의 공연이 시작되고..


전라북도 교육감님도 아이들 격려차 화전축제에 참석을 하시고


10시가 가까와오자 산사로 오르는 길은 만원이다


산사에 특별하신 분이 찾아오셨다. 송월주 큰 스님께서 산사를 방문하셨다


송월주 큰 스님을 영접하고 있는 이상직 화전축제 제전위원장


아이들의 눈에 비친 산사의 축제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동심의 세계에 비친 자연 그리고 사람들과 동식물. 그것은 아름다움의 표현이었다. '피카소도 울고 갈' 아름다운 동심의 세계. 그 내면의 세계에는 무엇이 있을까?

 

아이들의 눈에 비친 자연

 

아름다움은 아이들의 손끝에서 살아난다. 아이들은 자신의 마음 속에 그리는 모습 그대로를 도화지에 그려낸다. 그래서 그 그림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저절로 아득한 지난 시절의 모습들을 찾아 낼 수가 있다.

 

전북 전북예술회관 1층 전시실에서는 5월 22일부터 26일까지 제10회 모악산진달래화전축제 그림그리기 부문 입상작 전시회가 열린다. 아이들의 눈에 비친 자연과 산사 그리고 축제의 모습을 들여다 본다.  

 

▲ 김효빈 그림 다솔어린이집에 다니는 유치부 김효빈의 그림. 효빈이는 자연속에 색깔을 그려냈다. 회색빛 탑도 종각도 그리고 나무도 모두가 색을 입었다.

▲ 한수현 그림 공주남광유치원 한수현 그림. 수현이의 그림에는 산애는 각종 동물과 새, 그리고 꽃들이 살아있음을 표현했다. 그대로 자연이다.

▲ 김혜인 그림 이서별설유치원 김혜인 그림. 혜인이의 그림에는 많은 새들과 나무, 그리고 동물들이 그려져 있다. 자연이 살아있는 모악산을 동심으로 표현을 했다.


아이들의 눈에 비친 자연은 생명이 있다. 그리고 어른들이 들여다 볼 수 없는 세상을 보는가 보다. 아름답게 채색을 한 모든 사물이 그 안에 있어 흥미롭다. 모든 사물을 아름답게 그려낼 수 있는 순수함이 있다.  그래서 아이들의 눈은 더 많은 것을 그려낼 수 있는가 보다.

 

꿈과 현실이 조화를 이루는 동심의 세계

 

꿈을 먹고 산다고 했던가? 아이들의 그림 속 세상에는 모든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아이들의 그림은 어른들의 눈과는 다르다. 꿈과 현실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세상. 그 또한 아름다움이다.

 

▲ 유승우 그림 완주 봉동초 1학년 유승우 그림. 그림속의 아이들 머리가 가 젖혀있다. 아마 꿈을 바라보고 사는가 보다. 요즈음 아이들의 그림속에는 얼굴을 젖힌 그림이 유난히 많이 보인다.

▲ 박서현 그림 전주 인봉초 3학년 박서현 그림. 서현이는 절집 전각의 벽이 수영장이 되었다. 그 안에서 신나게 물놀이를 한다. 그리고 섬이 떠 다닌다. 어른들이 생각지 못하는 세계가 있다.

▲ 최윤아 그림 전주 인후초 2학년 최윤아 그림. 윤아의 그림 속에는 현실과 꿈이 공존한다. 화전과 막걸리. 그리고 술잔을 내밀고 청탁을 하는 어른. 그것을 찍는 사람. 그리고 화전축제 캐릭터들을 함께 표현했다.

꿈과 현실이 함께 나타나는 동심의 그림 속 세상. 유치부보다는 조금 더 현실적인 그림들로 변하고 있다. 색깔도 더욱 화려해졌다. 그러나 그 속에 그려진 자연과 사람 그리고 많은 동식물들이 아직도 아름답게 표현이 되어 있다. 아이들의 눈에 비친 세상은 그대로 자연이 된다. 그리고 아이들은 항상 그 안에 주인공으로 자리를 하고 있다.
 
부처님도 친구가 되요!
 
아이들의 눈에는 모든 것이 다 친구가 된다. 산도 물도, 그리고 작은 동식물 하나도 모두가 스스로이기 때문이다. 어려움이 있을 이유가 없다. 그저 하루를 그리고 즐기면서 보낼 수 있고, 모처럼 엄마 아빠와 함께 했음이 즐거울 뿐이다. 그래서 모든 사물을 아름답게 그려낼 수 있는 마음을 갖게 된다. 부처님도, 절집의 스님도 그림의 소재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모두가 아이들에게는 친숙하기 때문이다.
 
▲ 김솔래 그림 전주부설초 3학년 김솔래 그림. 모악산 대원사 안에 좌정한 문화재인 삼존불이 색다른 옷을 입었다. 구도자인 부처님도 아이들에게는 친근한 이웃 할아버지로 보이는가 보다.

▲ 김보헌 그림 전주 용흥초 3학년 김보헌 그림. 절집에는 당연히 스님이 계시다. 전각과 함께 그려진 노스님과 젊은 스님. 보헌이는 절집의 모습을 재미있게 그려냈다.


아이들의 눈에는 세상 모든 것이 다 아름답다. 그리고 모든 사물은 다 자신들과 같은 마음이다. 그래서 무엇을 표현하든지 그 안에는 자신이 존재한다. 그림 속의 주인공이 아이들 스소로가 되기 때문이다. 그것이 곧 자연이 아닐까? 동심속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그림 속 세상. 그래서 더욱 아름답다고 느낀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5, 26)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