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군 부안읍 서외리에는 중요민속문화재 제18호인 부안 서문안 당산이 자리하고 있다. 당산이란 민간신앙에서 신이라고 섬기는 신앙의 대상물이다. 서문 안 당산은 높은 돌기둥과 돌장승이 각각 1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는 도로변에 자리한다. 당산이라고 부르는 돌기둥은 마을 밖에서 마을로 들어오는 부정한 것에 대한 침입을 막고, 마을의 안과태평을 위해 세운 솟대의 일종이다.

이 서문 안 당산은 부안군청 서쪽 약 40m 지점에 큰길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고 서 있었던 것을, 할머니 당의 자리에 모아 놓았다. 이 두 쌍의 솟대와 장승은 부안읍성의 서문 안을 보호하는 것으로 조선조 숙종 15년인 1689년에 세워졌다. 원래는 사문으로 통하는 길 양편에 서 있던 것을 1980년 현재의 자리로 옮긴 것이다.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은 돌기둥

이 두 개의 돌기둥은 각각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이라고 한다. 할아버지 당산은 서문 안 당산의 주신으로, 꼭대기에는 돌로 조각된 새가 얹혀 있다. 할아버지 당의 받침돌에는 '알받이 구멍'이라는 작은 구멍이 여러 개 파여져 있다. 이 알받이 구멍은 당산제를 지낼 때 쌀을 담는 곳이다.

할머니 당산은 새를 따로 얹지 않고 돌기둥 윗부분에 새겨서 표현한 특징을 보인다고 했다. 또한 할머니 당산의 윗부분에 새는 머리를 바다 쪽으로 향하게 해, 부안 읍내의 화재를 예방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 할머니 당산을 보면 당산의 허리 부분이 떨어져 나가, 위에 있는 오리를 확인할 수가 없다.



길에서 바라보면 좌측에 할아버지 당이 서 있고, 그 옆에 위가 유실된 할머니 당이 서 있다. 그리고 돌장승 한 쌍이 나란히 서 있다. 할아버지라고 하는 남장승은 복판에 '상원주장군(上元周將軍)'이라 음각했으며, 머리에는 탕건을 쓰고 수염이 있다. 눈썹은 굵게 표현을 했으며 눈은 앞으로 튀어나온 왕방울 눈이다. 코는 주먹코에 볼은 불거져 있어, 흡사 입 안에 사탕이라도 물고 있는 형상이다. 상원주장군은 '당산하나씨' 또는 '문지기장군'이라고도 부른다.

우측에 있는 할머니는 할아버지보다 조금 작은 형태로 조성이 되었다. 복판에는 '하원당장군(下元唐將軍)'이라 새겨져 있다. 할머니 석장승은 할아버지 석장승보다 많이 마모가 된 상태이며 복판에 글씨도 알아보기가 힘들다.


알받이 구멍, 그런 것이었구먼

이 마을에서는 돌장승 2기와 돌기둥인 솟대 2기를 묶어 마을의 수호신으로 모시며, 매년 음력 정월초하루 자정을 당산제를 시작해 다음날까지 지낸다. 예전에는 공동체의식이 강해서 마을사람들이 함께 모여 제사를 드렸다. 그리고 부안 동문 안과 남문의 당산을 함께 모시는데, 이는 서문 안 당산이 주신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세월이 지나면서 마을마다 지내던 마을제가 사라져버렸다. 하지만 마을의 모든 사람들이 참석해 지내던 마을제는 단순히 의식으로서의 기능만 갖고 있었던 것이 아니다. 그 안에서 공동체를 창출하고, 그 공동체가 서로를 위하는 상부상조의 기틀이 되었던 것이다. 사라져버리고 약식화 되어가는 마을제가 소중한 것은, 바로 그 안에 공동체의 무한한 힘이 있기 때문이다.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 마을 안으로 들어갈 때가 있다. 마을에 옛 민속자료 등이 전해지고 있다고 하는 곳을 찾아서이다. 아직도 마을에서 지성으로 당제 등을 모시고 있는 곳이 한 두 곳이 아니고 보면, 나로서는 그렇게 전해지는 우리 것이 고맙기 한이 없다. 거창군 남상면 무촌리는 그런 면에서는 정말 몇 개의 지정 문화재보다 더 값진 마을이란 생각이다.

무촌리는 조선시대 남상면의 서남쪽에 자리했던, 고천방에 있었던 ‘무촌역’을 중심으로 한 마을들이다. 그 인근을 ‘무촌역리’라 한데서 마을 이름이 생겼다. 예전에는 역이 있는 곳에는 파발마를 두고, 원 등을 두어 공무를 보는 관원들이 말을 바꿔타기도 하고 쉬기도 했다. 아마도 이 무촌리에 그런 역이 있었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곳이었다는 것이다.


상매마을 입구에 있는 당산과 이야기를 들려준 마을주민들

네 곳의 당(堂)이 마을을 보호하고 있어

현재 무촌리는 상매 · 하매 · 무촌 · 인평 · 성지 · 지하 등 여섯 개의 마을이 모여 이루어진 행정리이다. 길가에 있는 무촌마을에서 연수사 방향으로 내를 건어 들어가다가 보면 ‘하매’마을이 있고, 그 안으로 ‘상매’마을이 나온다. 매산이란 이름은 이곳이 ‘매화낙지형’의 명당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이다.

도로변 우측에 자리하고 있는 상매마을. 마을 앞으로는 내가 흐르고 있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네그루의 소나무가 탑을 에워 쌓듯 길가에 서 있다. 누석탑으로 쌓은 이 탑에서 내를 건너면 바위 암벽 위에 또 하나의 돌탑이 있다. 소나무 밑에 있는 탑은 ‘아들탑’이고 내를 건너 바위 위에 올린 탑은 ‘며느리탑’이다.

마을 안으로 들어가니 정자에 마을 주민들이 모여 한담을 나누고 있다. 아직도 마을에서 당제를 지내느냐고 물었더니, 한 해도 거르지 않고 지내고 있다고 한다. 마을에서는 예전과 같지는 않아도, 정월 대보름이 되면 네 곳에 있는 당을 돌면서 제를 올린다는 것이다.


마을 윗쪽에 있는 윗당산인 할아버지당과 할머니당

오랜 세월 전해진 전통, 그대로 남은 풍습

경남 거창군에는 아직 마을에 옛 풍습인 당제를 지내는 곳이 많이 남아있다. 일제의 문화말살정책과 새마을운동, 그리고 종교적인 갈등으로 인해 많은 곳이 마을에서 내려오는 풍습을 버렸는데도, 이곳은 옛 전통을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 분들에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물어본다. 혹 마을에 재미있는 일이라도 있지 않을까 해서이다. 상매마을에는 모두 네 곳에 당이 있다고 한다. 윗당산과 아랫당산으로 구분이 되는 네 곳의 당은, 마을 위편으로 올라가 암벽 밑으로 맑은 물이 마을로 흘러드는 곳에 할아버지 당이 있다. 그리고 마을이 끝나는 곳 산자락에 할머니당이 자리한다.

비가 오지 않으면 큰 애기들이 키를 쓰고 뛰어다녔다는 내. 그러면 비가 왔다고...

당에는 모두 정월에 제를 지내면서 금줄을 처 놓아 쉽게 구분이 된다. 마을주민들께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는가 하고 물어보았다.

“이 마을은 비가 안 오면 앞내에서 키를 뒤집어쓰고 뛰어다녔어”
“누가요?”
“마을 큰 애기들이”
“그러면 비가 왔나요?”
“하모. 오고말고.”

농사철에 가뭄이 들어 비가 오지 않으면 집집마다 밀가루를 걷어 빵을 한다는 것이다. 그 빵을 마을에 사는 큰 애기들에게 나누어주고 키를 하나씩 뒤집어쓰게 한단다. 그리고 마을 앞에 있는 내로 나가, 돌로 만든 징검다리를 건너면서 비를 오라고하면 비가 온다는 것이다. 듣기만 해도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내를 바라보며 괜한 웃음을 짓는다. 그 광경이 떠올라서이다.


아랫당인 아들당과 내 건녀 암벽 위에 쌓은 며느리당

영험한 당산나무를 자르고 나더니...

무촌리의 무촌, 상매, 하매는 모두 정월보름날 자정을 기해서 당제를 올린다. 시간상으로는 열나흩날 밤이 되는 것이다. 상매마을에서는 먼저 할아버지당에서 제를 지낸 후, 할머니당을 거쳐 아랫당으로 내려온다는 것이다. 자정에 시작한 당제가 아랫당으로 오는 시간은 아침 6시경이라고 한다. 그곳에서 음식을 새로 장만을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 아들당 주변에는 원래 소나무가 다섯 그루가 서 있었지"
“지금은 네그루뿐이던데요.”
“한 그루는 더 컸는데 그 당 옆에 있는 논 주인이 나무그늘이 생겨 농사가 잘 안된다고 잘라버렸어. 그러고 나서 두 부부가 이유도 없이 죽고 말았지.”

뫼를 지어 제를 올리고 난 뒤 한지에 싸아 돌틈에 넣어 놓은 뫼

마을주민들은 신령한 당산의 나무를 잘라서 벌을 받았는가보다고 이야기를 한다. 마을 입구와 뒤편을 에워 쌓고 있는 네 곳의 당산. 아들당에서는 그 자리에서 뫼를 지어, 제를 마치고나면 한지에 쌓아 탑 안에 넣어 놓는다고 한다. 내려오는 길에 아들당산의 탑 주변을 자세히 살펴보니, 정말로 탑돌 틈 사이에 한지에 쌓은 것이 보인다.

아주 오랫동안 마을주민들이 정성을 다해 모시는 있는 상매마을 당산제. 오늘도 마을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이야기를 한다.

“우리 마을에는 아직 한 번도 변고가 일어난 적이 없어”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