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들만의 공간인 사랑채와 외별당

99칸 양반집은 독립된 전각만 해도 9동이나 된다. 그 독립된 건물들이 대지의 여기저기 자리를 잡고 있으면서, 나름대로의 특성에 맞게 건물이 지어졌다. 현재는 한국민속촌 안에 자리를 잡고 있지만, 이 많은 건물들이 수원 팔달산을 배경으로 남아있었다고 하면 장관이었을 것이다.

2월 18일 답사를 한 한국민속촌. 사진을 촬영하면서 양반집을 한 바퀴 돌아보는데 만도, 아마 족히 한 시간은 더 걸린 듯하다. 솟을대문을 들어가 우측으로 바라보면 바깥사랑채와 줄행랑이 이어진 곳이 있다. 그곳에 문이 있으며, 그 문을 나서면 사랑채가 있고, 담장을 사이로 외별당이 있다.

사랑채

바깥사랑채 뒤편

교육과 생활을 위한 사회적 공간


사랑채는 ㄱ 자형이다. 9칸 정도의 큰 공간을 마현한 사랑채는 집안의 가장이 사용하는 곳이다. 이곳은 바깥사랑이 손님들이 묵어갈 수 있는 곳이라고 한다면, 사랑채는 집 주인이 기거를 하면서 자녀들의 교육을 시키는 곳이기도 하다. 한 마디로 이곳은 남자의 사회적 공간이다.

99칸 집의 사랑채는 큰 대청을 사이에 두고 사랑방인 큰 방과 건넌방이 있다. 큰 방 아래는 복도를 통해 마루방으로 된 서고가 있으며, 옆에는 상노가 거처하는 작은 온돌방이 한 칸 마련되어 있다.

너른 대청과 마루방을 둔 사랑채

건넌방 끝에도 마루방을 두고 있다

일각문을 통해 대문을 거치지 않고도 출입이 가능했던 사랑채

이 사랑채의 특징은 잘 다듬은 장대석으로 기단을 놓은 맞배지붕이다. 큰 방인 사랑방은 주인이 사용하지만, 건넌방은 자녀들 중 남자아이들이 이곳에 묵으면서 학습을 하던 곳이다. 건너방 옆으로는 넓은 마루방이 또 마련되어 있다. 일반적인 반가의 사랑채보다 그 규모가 더 크기 때문에, 6,25 한국전쟁 뒤에는 이 사랑채를 검찰청으로 사용을 하기도 했다.

풍류를 즐기던 외별당

아마 이 99칸의 남창동 양반집에서 가장 멋스러운 건물을 꼽으라고 한다면, 당연히 외별당이 될 것이다. 외별당은 남자들의 공간이다. 사랑채에서 일각문을 통해 담장 너머로 있는 외별당은 안채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이다.

풍류를 즐기던 곳 외별당

외별당 앞에는 무정과 연못 등이 있다

높은 기단 위에 세운 외별당은 양반집 안에서 가장 멋지게 구성이 되었다 

외별당은 ㄱ 자형의 마루 중심의 건물이며, 온돌방과 대청, 누마루로 구성이 되어있다. 이 외별당은 한편에 작은 방 4개를 꾸며놓고, 대청과 누마루를 드렸다. 이 집에 이렇게 작은 방이 많거나 대청을 넓게 둔 것은, 특별한 손님을 맞이하거나 모임, 풍류 등을 즐기던 곳이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이 외별당은 주인의 사회활동이 이루어지던 곳이다.

날렵하게 처마가 솟아오른 팔작지붕도 아름답지만, 외별당 앞에는 누정과 연못을 두어 온치를 더했다. 누마루는 장초석을 밑에 놓고 올려 지었으며, 남은 면은 기단을 높이 쌓아올려 외별당을 지었다. 외별당은 또 다른 특별함이 있다. 바로 사방에 난간을 두르고, 돌계단을 놓아 어느 곳에서나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마도 풍류를 즐기다가 쉽게 건물의 밖으로 이동을 하기 위함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팔작지붕의 날렵한 처마 끝이 아름답다

풍류를 즐기던 외별당은 사방에서 출입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별한 남성들만의 공간인 외별당. 독립적인 공간으로 가장 화려하게 꾸며져 있는 곳이다. 수원 남창동 팔달산 밑에서는 한 때 이 외별당에서 흘러나오는 풍류소리가, 팔달산을 울리지나 않았을까? 괜스레 외별당 주위를 맴돌면서 별별 생각을 다해본다.

수많은 사람들이 글을 썼다. 글마다 광한루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한다. 광한루는 조선조 세종 원년인 1419년에, 황희가 '광통루'라는 누각을 짓고 산천경계를 즐기던 곳이었다. 1444년에는 전라도 관찰사 정인지가 광통루를 거닐다가 아름다운 경치에 취하여, 이곳을 달나라 미인이라는 '항아'가 사는 월궁속의 <광한청허부(廣寒淸虛府)>라 칭한 후 ‘광한루’라 이름을 고쳐 부르게 되었다.

그 후 광한루는 1461년 부사 장의국에 의해 보수가 되고, 1582년에는 전라도 관찰사인 정철이 광한루를 크게 지었다. 현재의 광한루는 정유재란 불에 탄 사라진 것을, 인조 16년인 1639년 남원부사 신감이 복원하였다. 광한루원 전체는 명승 제33호로 지정이 되어있지만, 광한루만은 보물 제281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호남제일루'라 명성을 얻어

'호남제일루', 광한루는 그런 명성에 조금도 뒤처지지 않는 누각이다. '누(樓)'란 사방을 트고 마루를 한층 높여 지은 누각을 말한다. 밑으로는 사람이 서서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높인 전각이다. 광한루의 규모는 정면 5칸에 측면이 4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누마루 주변에는 난간을 둘렀고 기둥 사이에는 4면 모두 문을 달아 놓았는데, 여름에는 사방이 트이게끔 안쪽으로 걷어 올려 걸 수 있도록 해 놓았다.

또한 누의 동쪽에는 정면 2칸, 측면 1칸의 부속건물인 날개채를 들였다. 주위로는 툇마루와 난간을 둘렀고 안쪽은 온돌방으로 만들어 놓았다. 뒷면 가운데 칸에 있는 계단은 조선 후기에 만든 것이다. 춘향전의 무대로도 널리 알려진 강한루.앞으로는 넓은 인공 정원과 인공 섬, 그리고 정자들이 서 있어 한국 누정의 대표가 되는 문화재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광한루 뒤집어 보기, 문화재 관리의 양면성

누구나 광한루를 가면 그 누정에 올라 춘향이와 이몽룡의 사랑을 한 번쯤 흉내를 내보고 싶어한다. 한 때는 광한루를 개방하였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소중한 문화재를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어째 우리나라 문화재의 보존 관리는 공무원들의 사고에 의해서 멋대로 바뀌는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출입을 시켰을 때는 문화재 보호가 되지 않는 것인지.

그렇게 문화재 관리를 통제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면 입장료 받고 광한루원에도 출입을 시켜서는 안되는 것이 아닐까? 정작 광한루원은 돈을 받고 출입을 시키고, 광한루는 보존을 해랴하기 때문에 출입을 시킬 수 없다는 것은 납득이 가질 않는다.




광한루의 주추는 특이하다. 밑에는 네모난 덤벙주추를 놓고 그 위에 막다듬은 장초석을 올렸다. 다시 원형의 기둥을 놓고 누마루를 받치게 하였다. 일부는 장초석으로 대신하기도 했다. 동편에 붙여지은 날개채는 온돌방이다. 그런데 그 밑에는 네모난 장초석으로 받쳐놓고 있다. 그 날개채 밑을 한 바퀴 돌아본다. 그러나 온돌방 밑에 있어야 할 아궁이가 보이지 않는다. 모두 돌 담으로 막아 놓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아궁이만 볼 수 있어도 한결 문화재를 아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문화재 관리의 양면성을 본다. 한편에서 보존이라는 허울아래 출입을 통제시키면서, 정작 온돌방의 밑 부분은 모두 돌담을 쌓아 막아버리다니. 이런 양면적인 모습을 보면서 참으로 씁쓸하다. 아마도 저 막아버린 돌담 안에는 한편을 높게 싼 아궁이가 있었을 것이다.




아름다운 광한루, 월궁의 선녀인 항아가 노닐만 하다는 곳. 그리고 춘향전의 무대가 되었던 곳. 그 무대 주변만 맴돌다가 결국엔 열어서 위로 붙들어 맨 창틀만 찍고 말았다. 느껴야만 하는 문화재를 보존이라는 명목으로 단절시키는 이런 행위, 이것만이 정말 보존일까? 제대로 된 문화재 정책이 아쉽다. 어느 곳은 보물인데도 사람들을 출입시켜 더욱 마루가 반들거리고 보존만 잘 되던데...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