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체구이긴 하지만 풍물패의 맨 앞에 서서 꽹과리를 열심히 두드려댄다. 풍물패가 들어오는 것을 기다렸다는 듯 사람들은 어깨를 들썩인다. 2일 오전 수원시 권선구 고색동 381 - 4에 소재한 수원시 향토유적 제9호인 고색동 도당앞에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매년 가을이면 열리는 고색동 도당굿의 당제 날이기 때문이다.

 

넓지 않은 고색동 도당 안에 들어 온 풍물패들이 열심히 풍장을 울려댄다. 그 앞에선 상쇠 김현주(, 49. 오목천동)씨가 풍물패를 인솔해 도당을 한 바퀴 돈다. 그리고 도당 앞에서 한 바탕 놀이판을 벌린다. 고색동 도당굿은 이렇게 풍물패와 굿을 주관하는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98호 경기도당굿 회원들이 이끌어 간다.

 

 

작은 체구에 15년 된 당당한 쇠잽이

 

김현주씨는 어려서부터 춤을 배웠다고 한다. 그런데 중간에 춤을 잠시 중단을 했다고.

어려서부터 춤을 배웠어요. 중학교 1학년 때까지 추다가 춤을 중단했는데 지금은 다시 배우고 있죠. 결혼을 하고나서 고색동으로 이사를 왔는데 사물을 가르친다는 거예요. 그래서 처음으로 시작을 했죠. 아줌마들이 모여서 1년 만에 정월 대보름에 여는 고색동 줄다리기에 나가서 호남우도 농악으로 마당놀이를 했어요. 그런대 고색동에서 저희들을 보고 고색농악에 들어오라는 거예요. 그때부터 고색농악대로 많은 행사에 동참하게 된 것이죠.”

 

20015월부터 고색동에 있는 새마을금고에서 연습을 하던 농악팀은 지금은 노인회관으로 자리를 옮겼다고 한다. 마을에서 적극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연습을 편하게 할 수 있다고. 처음에는 일주일에 한 번 연습을 했으나, 지금은 일주일에 목요일을 뺀 나머지는 매일 연습을 한단다.

 

 

월요일은 기초반 연습이 있고요. 화요일은 중급반이 모여서 연습을 해요. 수요일은 북반이 연습을 하고 금요일은 전체적으로 다 모여서 연습을 하는데. 요즈음은 중보뜰 공원으로 나가서 야외에서 신나게 연습을 하죠. 그만큼 40여 명 정도의 단원들이 열심을 내고 있어요.”

 

쇠잽이와 천성적으로 맞아 떨어져

 

고색농악이 일 년에 담당하는 행사만 해도 적지 않단다. 정월 대보름에는 근동 사람들이 다 모여드는 줄다리기를 하고, 5월에는 어버이날 행사에서 판굿을 벌인다고. 그런가하면 매년 10월에 열리는 고색동 도당굿에서 한마탕 질펀하게 놀기도 하고, 지금은 중단되었지만 고색동 체육대회에서도 빠지지 않았다고 한다.

 

올해는 9일에 열리는 화성문화제 시민퍼레이드에 허수아비를 들고 나가려고 준비하고 있어요. 그동안 줄다리기도 하고 지난해는 모심기 노래를 하면서 퍼레이드도 해보았는데, 올해는 오목천동에서 허수아비 축제를 하잖아요. 그래서 허수아비를 들고 시민퍼레이드에 참가를 하려고요.”

 

이날 마당놀이에서는 상쇠노릇을 했지만 자신은 부쇠라고 한다. 상쇠를 담당하시는 분이 바쁜 일이 있어 이날만 상쇠를 맡은 것이라고. 여자가 쇠를 치는 것이 쉽지가 않았을 텐데 어떻게 쇠를 치게 되었느냐고 물었다.

 

 

처음에 사물놀이반에 들어갔는데 저는 장구를 치고 싶었어요. 그런데 장구는 이미 사람들이 다 차고 쇠잽이 자리가 비어 있는 거예요. 그래서 꽹과리를 맡았는데 지금 생각하니 그게 더 잘된 일인 듯해요. 제 적성에도 딱 맞고요.”

 

대담을 하고 있는데 농악대 단원들이 찾는다. 그 소리를 듣고 곁에 있던 마을 어르신들이 한마디 거드신다. “상쇠 찾는데 얼른 가봐. 저 사람은 재주가 좋아. 그리고 어떻게 늙지도 않아.”

 

가을은 공연의 계절이다. 사실 우리나라의 축제 중 상당수가 9월과 10월에 열린다. 수원의 경우 생태교통 수원2013’이 한 달간 행궁동 일원에서 열리기 때문에, 많은 행사들이 생태교통 기간 중에 열리고 있다. ‘9회 수원예술인축제 - 예술의 맛, 한눈에 즐기다역시 92일에 개막공연을 연 후, 915일까지 곳곳에서 가을을 즐기고 있다.

 

13() 참 억세게 비가 퍼붓는 날이다. 오후 730분부터 수원국악협회(지부장 나정희)에서 주관하는 가을 우리음악여행이 수원 제2야외음악당(만석공원) 무대에 오르기로 하였으나, 그 전까지도 비가 내려, 제대로 시작을 할 것인지 걱정스러웠다. 하지만 다행히 한 방울씩 내리던 비도 시간이 되자 멈추어 버린 것.

 

 

가을이 되면 춤과 소리가 땅에 붙는다.’

 

아주 오래전에 들은 말이다. 고등학교 2학년 때인가 공부를 마치고 혼자 연습실에서 연습을 하고 있을 때, 지나던 선생님께서 연습을 문을 열고 들어오셨다.

아직도 연습을 하고 있나?”

, 며칠 안 있으면 전공시험이 있어서요.”

그래 가을이 되면 참 중간고사가 있지?”

가을이 되면 춤도 소리도 땅에 붙는단다.”

선생님 무슨 말씀이신지

가을은 모든 것이 땅으로 내려앉는 계절이지. 가지에 달렸던 모든 실과도 땅으로 내리고, 나뭇잎도 꽃들도 모두 땅으로 내려앉지. 그만큼 땅이 풍성한 계절이아, 땅에사는 사람들도 풍성해지는 것이지.”

, 선생님.”

 

그 때는 그 말뜻의 깊이를 잘 몰랐다. 하지만 나이를 먹고 나니, 이제 그 말뜻을 조금은 알 듯도 하다. 그런 가을에 춤과 음악, 소리의 한 마당이 만석공원에 내려앉은 것이다.

 

 

1시간 반이 흥겨운 무대

 

국악협회 무용분과(위원장 고성주)의 출연자들이 첫 무대로 한오백년을 무대에 올린 뒤, 국악실내악연주로 이어졌다. 어린 꼬마들이 부르는 소리가 초가을의 밤을 더 깊이 느끼게 한다. 비가 내린 후 한결 서늘해진 공원무대 앞에 300여명의 청중들도 함께 가을이 오는 소리를 느끼는 듯하다.

 

이효덕, 이슬 두 사람이 부르는 국악가요 쑥대머리배 띄어라를 들으면서 아주 오래 전 북 하나를 앞에 놓고 앉아 소리를 하는 제자들에게 장단을 쳐 주시던, 명창 고 박동진 선생님을 생각을 했다. 졸업 후에도 선생님과의 인연이 깊었지만, 처음으로 판소리를 접한 것이 바로 쑥대머리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악가요로 거듭난 쑥대머리야 어디 깊은 판소리에 당할 수가 있으랴. 다만 판소리를 전공한 이효덕이라는 소리꾼의 성음에 귀가 솔깃해진 것이지.

 

 

이어서 무대에 오른 장타령과 재인청의 명인인 고 이동안 선생에게서 전해진 춤인 무녀도. 그리고 풍물판굿으로 무대가 달아올랐다. 하나하나 무대가 진행되는 동안 조금은 미숙한 면도 있었지만 그것이 무슨 대수랴. 가을이 시작되는 9월의 밤에, 그것도 하루 종일 비가 억수로 퍼붓고 난 뒤 열린 가을이 내려앉은 무대가 아니던가.

 

한 시간 30여분 동인 관객들이 덩달아 즐거워하고, 무대에 오른 버나잽이의 재주가 사람들을 즐겁게 했으면 그것으로 만족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가을은 어디를 가나 풍요로운가 보다. 오랜만에 옛 기억을 되새겨볼 수 있는 무대에, 마음 한 자락을 남겨두고 싶기만 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