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인 이목대와 오목대는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1-3번지에 소재한다. 교동 한옥마을의 동편 언덕 위에 자리한 이 이목대는 조선 태조의 5대조인 목조(穆祖) 이안사의 출생지로 전하여 오는 곳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 공 이후 목조에 이르기까지 누대에 걸쳐 이곳에서 살았으나, 목조대에 이르러 관원과의 불화로 함경도로 이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러한 이목대에는 사실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운 이성계와는 땔 수 없는 많은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이목대에서 밑으로 즐비하게 지붕을 맞대 잇고 있는 한옥촌들도, 그러한 이성계의 뜻을 정하는데 일조를 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풍운가’에 건국의 뜻을 담아

 

이목대는 잘 지어진 정자로 언덕 위에 서 있다. 이목대의 누각에 오르면 밑으로 전주한옥마을의 지붕들이 펼쳐진다. 그 또한 멋스럽다. 정자 안에는 두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그 중 하나에는 '대풍가'라고 하여서 '풍운 속을 일어섰다. 위세천하에 떨치고 고향에 돌아오니 모두 수그려 우러러 맞네'라고 적혀있다.

 

이는 오목대가 이성계가 고려의 3도순찰사로 있을 당시 군사를 이끌고, 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금강으로 침입한 왜구가 퇴로를 찾아 남원으로 내려오자, 장군이 이들을 맞아 운봉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는 길에 오목대에서 개선 잔치를 베풀었다고 전하는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한 시문으로 보인다.

 

 

 

오목대는 누각 안에 고종황제의 친필로 썼다는 '태조고황제주필유지(太祖高皇帝駐필遺址)'라는 비석이 서있다. 이 비석은 고종황제에 의하여 광무 4년인 1900년에 건립된 것이다. 한옥마을을 돌아보고 나무로 만든 계단을 올라 찾아간 오목대. 비문을 촬영하려고 안으로 들어가니 경보가 울린다.

 

황당한 문화재 보호, 볼 수 있도록 해주어야

 

문화재를 답사하는 사람들이 안을 들어가 비문을 볼 수 없다고 하면, 그 친필을 확인조차 할 수 없는데, 그저 밖에서만 보라는 것인지. 요즈음 문화재를 과잉보호 하는 것을 보면 가끔은 짜증이 나기도 한다. 필요에 의해서 그것을 보려고 하면 복잡한 주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문화재들이 이렇게 보지도 못하고 촬영도 못하게 한다. 시간을 내고 많은 경비를 들여가면서 하는 문화재 현장답사. 이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래서 가끔은 막무가내로 촬영을 하다가 다투기도 한다. 보호를 한다고 무조건 막을 것이 아니라, 좀 더 노력을 하여 사람들이 충분히 보고 그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으면 좋을 듯하다.

 

이목대 누각 위에서 내려다본 한옥마을의 지붕들이 머리를 맞대고 이어져 있어 더욱 이곳이 아름답다. 긴 세월 이 근동은 전주이씨들의 터전이었다. 아마도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이곳에서 깊은 뜻을 정한 것은 아니었을까? 밑으로 보이는 한옥마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길을 누비고 즐거움을 느끼고 있지만, 정작 이 이목대에서 600여 년 전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알고는 있을까? 바람 한 점이 땀을 씻어간다.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일대에는 사적 제471호인 위봉산성이 있다. 위봉산성은 조선 후기 변란을 대비하여, 주민들을 대피 시켜 보호할 목적으로 축성한 산성이다. 험준한 산의 지형을 이용하여 숙종 원년인 1675년에 시작하여, 숙종 8년인 1682년에 걸쳐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위봉산성을 처음 찾아갔을 때는 벌써 7 ~ 8년 전 이었나보다. 당시에는 지방문화재였던 이 산성이, 2006년 4월 6일자로 사적으로 변했다.

위봉산성은 성벽 둘레가 약 8,539m에 성벽 높이는 1.8 ~2.6m 정도이며, 높은 곳은 5 ~ 8m에 이른다. 성 안의 관련 시설물로는 성문 4개소와 암문지 6개소, 장대 2개소와 포루지 13개소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추정 건물지 15개소에 수구지 1개소도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 완주군 소양면에 있는 사적 제471호 위봉산성

비가 오는 날 위봉산성을 향하다

2월 27일, 토요일에 온다던 비가, 일요일 아침 일찍 눈을 떠보니 후줄근하게 내린다. 카메라가방을 몇 번이고 들러 매었다가 다시 내려놓는다. 가까운 곳은 몇 번이고 다녀온 터라, 갈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다. 저녁시간이 다 되어서야 길을 나섰다. 위봉산성에서 조금 더 지나면 있는 위봉사라도 다녀올 마음에서다.

위봉사를 가기 전에 먼저 만나게 되는 위봉산성이다. 비가 와서 그런지 산에는 비구름이 가득 끼었다. 정작 고개 정상에 있는 위봉산성 서문지 일대는, 그래도 짙은 구름은 끼지는 않았다. 우산을 들고 차에서 내려 산성을 한 바퀴 돌아본다. 저 멀리 산봉우리에는 가득 비구름이 끼어있다.



위봉산성은 일부 성벽을 제외하고는 성문, 포루, 여장, 총안, 암문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 위봉산성을 축성한 것은 다른 산성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뿐만이 아니라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축성한 성이라고 한다. 전주 경기전에 모셔진 이성계의 영정을 모셔 둘 행궁을 성 내부에 두는 등, 조선 후기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실제로 1894년 동학혁명 때 전주부성이 동학군에 의해 함락이 되자, 이곳으로 경기전에 모셔둔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옮긴 적이 있다.



7개 군의 군민이 동원되어 쌓은 위봉산성

위봉산성을 다 돌아보지는 못했다. 올 봄에 날이 풀리면 시간을 내어 한 바퀴 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지금 서문일원은 성문의 성벽과 옹성, 그리고 성벽의 일부만이 남아있다. 도로를 내느라 끊어진 산성은 산 위로 길게 쌓아올렸다. 길 건너편 성곽을 둘러본다. 급한 경사면을 이용해 축성을 한 위봉산성은, 경사면이 바로 성벽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산성을 축성할 때는 인근 7개 군민이 모여서 쌓았다고 한다. 8년이나 걸쳐서 쌓은 성은 산에 있는 돌을 그대로 이용한 듯하다. 이 일대의 민가 축대에서도 성벽을 쌓은 돌과 같은 석재들로 쌓은 축대가 보인다. 골짜기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으로는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내었다.




여장을 쌓은 돌도 다듬은 돌이 아니고, 성벽을 쌓기에 적당한 돌을 이용했다. 위에는 큰 돌을 올려 무게를 주었는데, 이 돌은 전투시에는 공격용 무기로 사용도 할 수 있었을 것 같다. 총안으로 밖을 내다본다. 저 밑 계곡에서 밀려오는 적을 공격하기에는 적당할 듯하다.

옹성이 있는 서문지를 돌아보다

서문지를 돌아본다. 아치형으로 문을 만들고, 그 위는 서문의 위에 섰던 누각이 있었던 곳이라 위가 뚫려있다. 서문 밖으로는 옹성을 쌓았다. 대개 옹성은 낮은 편으로 쌓지를 않는다. 적이 공격을 하기가 어렵도록, 높은 곳을 골라 출입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위봉산성 서문지의 옹성이 터진 곳도, 가파르게 성벽이 산을 타고 올라가는 쪽에 내놓았다.



만일 적이 성문을 깨기 위해 옹성 안으로 들어온다면, 사방에서 공격을 받게 되어있다. 옹성은 성을 보호하고 적을 섬멸하는데 있어서는, 꼭 필요한 구조였을 것 같다. 이 산성을 돌아보는데 빗줄기가 더욱 강해진다. 괜한 걱정을 한다. 예전에 이렇게 비가 오는 날, 성벽 위에서 파수를 보던 병사들은 어떻게 비를 피했을까? 비가 오는 날 오른 위봉산성에서, 지나간 옛 시간을 돌아본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