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제471호 위봉산성은 조선 후기 변란을 대비하여 주민들을 대피 시켜 보호할 목적으로축성된 산성이다. 이 산성은 험준한 지형을 이용하여 조선조 숙종 원년인 1675년부터 숙종 8년인 1682에 걸쳐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위봉산성을 쌓을 때는 이웃 7개군민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한다. 위봉산성의 성벽 높이는 1.8 ~ 2.6m 이고 길이는 16km에 달한다.

 


 

 

산성 내 시설물로는 성문 4개소, 암문지 6개소, 장대 2개소, 포루지 13개소와 그 외에 추정 건물지 15개소, 수구지 1개소가 확인되었다. 위봉산성은 다른 산성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뿐만이 아니라,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시기 위한 행궁을 성 내부에 두는 등 조선 후기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위봉산성은 완주군 소양면 천녀 고찰 송광사 곁을 지나 고개를 넘어 위봉사로 가는 길에 만난다. 산을 굽이굽이 돌아 오르는 길을 숨가쁘게 올라가면 그 고개마루에 위봉산성이 자리한다. 산성의 좌측으로는 성문자리가 있고, 우측으로는 30m 정도의 성벽을 정리했다. 성문지는 잘 보존되어 있으나, 성문지 위에 있을 누각이 사라져 네모진 구멍으로 위가 올려다 보인다. 성문은 외성을 쌓아 적이 성문에 접근 할 수 없도록 하였다.

 

산성 성문지 부분이 보존되어 있다. 위봉산성의 성벽 높이는 1.8 ~ 2.6m 이고 길이는 16km에 달한다

위봉산성 의 성문지. 비교적 잘 보존이 되어있다

성문지 위에 누각이 소실되 구멍이 뜷려있다

 

도로가 성벽을 끊고 있는데 건너편에 보면 성벽위로 여장, 총안을 둔 것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성 안으로 찬찬히 훑어보면 다른 성과는 다른 것을 느낄 수가 있다. 성벽을 쌓은 돌이 다듬지 않은 자연석 그대로를 쌓아놓았다. 자연미가 풍기는 성벽은 오히려 다듬은 성벽보다 아름답다. 울퉁불퉁한 성 돌을 그대로 맞추어 쌓아놓은 성벽이 친근감을 느끼게 하는 성이다.   

 

성문을 보호하는 옹성. 옹성은 적으로부터 성문을 보호하는 중요한 시설이다

성문을 부수기 위해 옹성 안으로 적이 들어오면 사면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다

 

위봉산성은 전투에서 적을 방어하기 위한 목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주 경기전에 있는 태조의 어진과 패 등을 옮겨 보호하기 위한 성이기도 하다. 또한 변란이 일어나면 백성들을 피신시키기 위한 곳이기도 하다. 가파른 산등성이를 따라 축조된 위봉산성은, 1894년 갑오농민혁명 때, 전주성이 농민군에게 함락이 되자 태조의 어진을 옮겨 모셔 제 역할을 톡톡히 하기도 했다. 성 안에는 위봉폭포와 위봉사가 있어 늦가을 바람 따라 찾아가 볼만한 곳이다. 역사를 따라 길을 간다는 것은 또 다른 즐거움을 주기 때문이다.

‘하마비(下馬碑)’라는 것이 있다. 하마비는 궁궐이나 향교, 혹은 사찰이나 옛 고택 등의 앞에도 서 있다. 이 하마비가 서 있으면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타고 가던 말에서 내리라는 뜻이다. 하마비의 한편이나 뒤쪽을 보면 ‘대소인원개하마(大小人員皆下馬)’라고 적혀있다.

 

여기서 ‘대소인’이란 당하관인 종 3품 이하의 관원을 뜻한다. 또한 원(員)이란 당상관을 말한다. 우리가 옛 각판 등에서 볼 수 있는 정3품 통정대부 이상을 말하는 것이다. ‘개(皆)’는 ‘모두 다’ 라는 뜻이니, 결국은 누구를 막론하고 모두 말에서 내리라는 뜻이다. 이 하마비가 서 있는 곳에서는 누구를 막론하고 말에서 내려 걸어가란 뜻이다.

 

자연석을 이용한 하마비도 있어

 

물론 전국에 있는 하마비는 거의 위와 같은 ‘대소인원개하마’라고 각자를 했다. 하지만 가끔은 예외도 있다. 고을의 방백 등이 자신의 위치를 과시하기 위함인지는 몰라도, 자신의 직급을 적고 그 밑으로는 다 말에서 내리라고 적은 글귀도 보인다. 이런 예외인 하마비는 고을의 수령이 근무를 하는 입구에 놓여있기도 하다.

 

이러한 하마비는 어디를 가나 흔히 볼 수가 있다. 하마비는 대개 일석으로 조성을 한다. 길게 세운 위를 둥그렇게 조형을 해 세우는 것이 일반적인 하마비의 모습이다. 하지만 특별하게 만든 하마비도 있다. 자연석을 그대로 이용해 하마비를 만든 곳도 있고, 돌에다가 하마비라고 각자를 해 놓은 것들도 보인다.

 

 

하마비는 조선조 태종 3년인 1413에 종묘의 궐문 입구에 표목을 세운 것이 처음이다. 이곳에는 ‘대소관리과차개하마(大小官吏過此皆下馬)’라고 적어,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모두 말에서 내려야 한다.’ 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는 궁이나 종묘, 문묘, 왕장이나 성현, 고관의 출생지나 분묘 앞에 세워졌다.

 

전주 경기전 앞의 하마비는 특이해

 

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102번지에 소재한 경기전은 ‘어용전(御容殿)’이다. 어용전은 조선 태종 10년인 1410년에 완산과 계림, 평양에 건물을 짓고 태조의 어진을 모신 곳으로 세종 24년인 1442년부터 지역마다 이름을 달리 불렀다고 한다. 경기전은 전주에 있던 어용전을 가리키는데 선조 31년인 1598년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광해군 6년인 1614년에 고쳐지었다.

 

경기전 입구에 보면 특이하게 생긴 하마비가 서 있다. 일반적으로 하마비는 일석으로 조성을 하는 것에 비해, 경기전 앞의 하마비는 밑에 두 마리의 행태가 비를 받치고 있는 형태이다. 두 마리의 해태가 사각형의 넓은 판석을 이고 있으며. 그 위에 하마비를 세웠다. 판석에는 사방에 안상을 새겨 넣었다.

 

 

하마비의 표석에는 ‘지차개하마 잡인무득입(至此皆下馬 雜人毋得入)’이라고 적혀있다. 즉 이곳에 이르거든 누구나 다 말에서 내려야 하며, 잡인을 일체 들이지 말라는 뜻이다. 이 하마비는 1614년에 세웠으며, 그 후 1856년에 증각을 하였다.

 

하마비라고 해서 다 같지는 않다. 대개는 비의 중앙에 ‘하마비’라고 음각을 한 후, 한 편에 대소인원개하마란 글귀를 적어 놓는 방법을 택한다. 하지만 경기전 앞에 서 있는 하마비는 하마비라는 글자를 음각하지 않고, 양편으로 나누어 글귀를 내리 음각했다. 아마도 이 경기전이 태조의 어진을 모셔놓은 곳이기 때문에, 이렇게 특별한 하마비를 세운 듯하다.

 

전국을 다니면서 보면 많은 곳에서 만날 수 있는 하마비. 때에 따라서는 하마비에 얽힌 재미있는 사연도 들을 수가 있다. 이제는 이와 같은 하마비도 훌륭한 하나의 문화유산으로 인정해야하지 않을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