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에 소재한 칠장사는 국보와 보물 등을 소유한 고찰이다. 이 칠장사 대웅전 옆에는 보물 제983호인 안성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이 서 있다. 이 입상은 원래 ‘봉업사지’에 있던 것을 죽산중학교로 옮기고, 그 뒤 다시 현재의 칠장사로 옮겨서 보관을 하고 있다.

 

칠장사는 선덕여왕 5년인 636년에 자장율사가 세운 고찰이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인 칠장사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5호로 지정이 되어있기도 하다. 칠장사가 위치한 칠현산은 원래 ‘아미산’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 고려시대 혜소국사가 이 산 아래 아란야를 짓고 기도를 하던 차에, 선량치 못한 7인이 찾아와 교화가 되었다고 하여 칠현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고려 초기 작품

 

현재 보물 제983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은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여래입상은 불상과 광배가 같은 돌로 만들어졌으며, 불상의 높이는 1.57m이고 총 높이는 1.98m이다. 현재 대웅전 좌측에 자리하고 있는 이 석불입상은 눈과 코, 입은 심하게 닳아 제 모습을 판가름하기가 수월하지 않다.

 

얼굴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비교적 식별이 가능하다. 양 어깨에 걸친 법의는 어깨를 감싸 며 밑으로 흘러내린다. 옷 주름은 여러 겹의 U자형 모양을 이루며 자연스럽게 흐르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치마가 양다리 사이에서 지그재그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석불의 형태는 비교적 비례가 원만한 편이며, 전체적인 신체표현에 있어서 손이 다소 큰 편이다. 하지만 머리와 어깨의 너비 등의 신체비례가 비교적 좋은 편이다. 불상의 뒷면에는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상징하는 광배를 조각하였는데, 두광과 신광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몸 전체를 감싸고 있는 거신광으로 표현을 하였다.

 

지방의 특징을 보이는 봉업사지 석불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보면 중앙의 문화재와 지역의 문화재가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앙의 기능이 뛰어난 석공들이 참여하여 조성한 석불이나 탑 등은 그 화려함이나 섬세한 조각이 뛰어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거기에 비해 지방의 석공들이 조성을 한 석불이나 탑 등은 나름대로의 지역적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은 당당한 어깨와 발달된 신체표현, 그리고 U자형의 옷주름 등과 그 밖의 조각기법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 불상은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안성지방 인군의 불상양식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자료로 높이 평가된다. 지방은 그 지방 나름의 기능공들이 자기만의 독창적인 기법을 사용하여 조성을 하기 때문에, 그런 점을 잘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다.

 

받침돌의 표현이 두드러져

 

받침돌은 아래받침돌과 위바침돌로 구분이 되어있다. 위 받침돌은 둥글게 조성을 하고 조각을 하였는데, 심하게 마모가 되어 조각을 잘 알바보기가 힘들다. 아마도 아래받침돌의 문양으로 볼 때 위받침돌에는 꽃과 구름 등을 새겨 넣었을 것 같다. 또 이 위받침돌이 심하게 훼손이 된 이유가 무엇인지도 정확지가 않다.

 

 

 

아래받침돌은 문양이 그대로 살아있다. 밑으로 된 넓은 앙련을 새기고 그 안에 꽃을 새겨 넣었다. 이렇게 연꽃잎에 꽃을 사긴 것은 흔히 볼 수 만날 수가 없다. 아래받침돌의 위부분은 돌출을 시켜 그 곳에도 8장의 꽃잎을 가진 꽃을 돌아가면서 조각하였다. 이 받침돌 하나만 보아도 당시 봉업사지 석조여래입상이 많은 공을 들인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은 제 자리를 떠나 안성 칠장사 대웅전 옆에 서 있는 봉업사지 석불입상. 우리의 많은 문화재들이 이런저런 이유로 제 자리를 떠났다. 그 앞에 머리를 조아리고 속으로 기원을 한다. 앞으로는 이렇게 제자리를 떠나는 문화재들이 없게 해달라고.

답사를 하다가 보면 가끔 황당한 일을 당하기도 한다. 종교적인 편향을 갖고 사는 사람은 아니지만, 문화재를 함부로 취급할 경우는 정말 짜증스럽다. 9월 7일 안성에 취재를 하는 길에 고찰 칠장사에 들렸다. 칠장사는 안성시 죽산면 칠장리 764번지에 있는 칠현산에 소재한다.

 

칠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의 말사이며, 경기도 문화재 자료 24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찰이다. 현재 칠장사가 위치한 칠현산은 본래 아미산 이었는데, 고려시대 혜소국사가 7명의 도적을 교화해 일곱 현인을 만들었다고 하여 칠현산으로 바꿔 불렀다고 한다. 현재는 칠현산을 칠장산이라고도 한다.

 

 

 

 

문화재의 보고 칠장사

 

칠장사는 7세기 중엽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고려 현종 5년에는 혜소국사가 왕명으로 칠장사를 중창했고, 고려 우왕 9년에는 왜구의 침입으로 충주 개천사에 있던 고려의 역조실록을 이곳으로 옮겨와 보관하기도 했다. 그만큼 칠장사는 불교문화를 지켜내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 고찰이다.

 

칠장사에는 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과 원통전을 비롯한 15동의 전통건축물과 석탑, 동종 등이 있으며, 국보 296호인 오불회 괘불, 보물 1256호 삼불회 괘불, 보물 488호 혜소국사비를 비롯, 보물 983호 봉업사 석불입상, 보물 1627호 인목왕후어필 7언시와 경기 지방문화재 114호인 칠장사 사천왕, 경기도 지방문화재 39호인 칠장사 철당간 등이 있다.

 

 

 

많은 이야기가 전해오는 칠장사

 

칠장사는 여느 절과는 다르다. 절 안에 많은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어, 사람들은 꼭 불자가 아니라고 해도 칠장사를 즐겨 찾는다. 칠장사 명부전 벽화는 색다르다. 벽화에 임꺽정이 그려져 있는가 하면, 궁예가 활을 쏘는 모습도 있다. 이는 궁예가 칠장사에서 10세까지 활쏘기를 하며 유년기를 보냈기 때문이다.

 

또한 의적 임꺽정과 7명의 도적이 가바치 스님인 병해대사의 설법에 마음을 바로잡고 의적이 되었다고도 한다. 이 모든 것이 바로 칠장사에서 일어난 이야기들이다. 암행어사 박문수는 과거시험을 보기 전에 나한전에서 기도를 드리고 잠이 들었는데, 꿈에 나타난 나한이 과거시험 구절을 가르쳐주어 장원급제 했다는 설화도 전해지고 있다.

 

 

 

이렇게 칠장사는 사람들이 찾아오면 볼거리와 들을 이야기들이 많기 때문에, 수시로 사람들이 찾아들고는 한다. 접에서 키우고 있는 커다란 개는 사람들이 찾아와도 무신경하다. 딴 곳이 여기저기 출입을 통제시키는데 비해, 칠장사는 모든 곳을 개방하고 사람들이 관람을 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것도 이 절의 특징이다.

 

“선생님, 거기서 담배를 피우시며 안됩니다.”

 

이런 칠장사이다가 보니, 지나치는 사람들이 누각에 올라가 앉아 쉬기도 한다. 그런데 문제는 개방을 한 전각 마루에 걸터앉아 쉬는 것은 좋은데, 버젓이 담배를 피워 물고 있다는 점이다. 기본적으로 경내에서 담배는 금하고 있다. 더구나 칠장사에는 많은 문화재들이 있어, 더 더욱 화재 등에 민감한 곳이다.

 

“선생님 거기서 담배 피우시면 안됩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대개는 ‘몰랐다’거나 ‘미안하다’고 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이 양반 들은 체도 하지 않고 담배를 피우고 있다. 슬슬 부아가 치민다. 얼굴 사진이라도 찌거 대문짝만하게 광고를 해주고 싶은 심정이다.

 

“아저씨 거기 담뱃불 끄세요.”

 

 

 

 

말이 조금 험악해지니 그때서야 슬그머니 담배를 비벼 끄고 절 마당에 휙 집어 던진다. 이 정도면 참을 만큼 참았다는 생각이다. 버린 꽁초를 주어 다시 가져다주었다. 경내를 나가서 쓰레기통에 버리라고. 물론 오지랖 넓게 별 것을 다 신경 쓴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같이 문화재를 힘들여 답사를 하는 사람들은, 이런 것이 용납이 되질 않는다.

 

결국 사람들은 서둘러 밖으로 나가버렸지만, 답사 하는 내내 마음이 편치가 않다. 이 소중한 문화재들이 자칫 화재라도 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렇지 않아도 동화사 사태 등으로 내내 심기가 불편한 사람인데 말이다. 도대체 언제나 제대로 우리 문화재에 대한 인식들이 들을 것인지. 맑은 하늘을 쳐다보면서 깊은 한숨만 쉰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