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통영시 명정동에 소재한 사적 제236호인 충렬사. 이순신 장군의 제를 지내기 위해서 선조의 명에 의해, 1606년에 제7대 통제사인 이운룡이 세운 사당이다. 지난 10월 13일 아침 찾아간 충렬사. 입구를 들어서면서부터 많은 문화재들이 있어, 들어가면서부터 행복을 느낀 곳이다.

 

우선 충렬사의 입구를 들어서면 정당으로 올라가는 우측에 몇 그루의 동백나무가 보인다. 이 동백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7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나무로, 수령이 400년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곳에 동백꽃이 필 무렵이면 일 년 간의 어업의 안녕을 위해 풍신제(風神祭)를 지냈다고 한다,

 

 

 

강한루에서 아픔을 느끼다

 

정당으로 오르는 길에 이층 누각 한 채가 서 있다. 앞에서 보면 ‘강한루’요, 뒤로 올라가면 ‘영모문’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강위는 강한루에 올라 다음과 같이 이곳의 풍광을 읊었다.

 

물길 거슬러 신선의 꿈 어렸더니

강한루 다시 올라 흉금을 활쫙연다

외로운 달 먼 하늘 떠가고

개울물 모두 흘러 깊은 바다로 가는 구나

사람 만나서 옛 땅 물어보고

술 나누는 첫 마음 아련도 하여라

여기 충렬사 있어

찾아온 지 벌써 두 번째렸다.

 

 

 

강한루 누마루 밑으로 난 통로를 지나 계단을 지나야 정당으로 오를 수가 있다. 그런데 계단으로 오르다가 뒤를 돌아보니 강한루의 지붕에 기와들이 많이 흐트러져 있다. 아마도 이 일대를 강하게 휩쓸고 간 태풍 때, 저리 기와가 제 자리에서 벗어났는가 보다. 그 때가 언제인데 아직도 저렇게 볼썽사납게 놓아둔 것인지.

 

적어도 사적으로 지정이 되어있는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인데 좀 심하단 생각이 든다. 물론 문화재의 보수는 절차를 거쳐서 한다고 하지만, 이렇게 기왓장들이 흐트러져 있는 것을 보고도, 어찌 정리조차 하지 않았을까? 그런 모양새를 보면서 참으로 마음이 아파온다.

 

장군께 향을 올리다

 

강한루를 지나 외삼문을 들어서면서 좌우측을 보면 충렬묘비명을 비롯한 몇 기의 비석들이 줄을 지어 서 있다. 제111대 통제사 이언상 사적비, 충무공 이후로 덕수 이씨 후손들 중에서 12명의 통제사가 있었는데, 그 중 121대 통제사 이태상, 138대 이한창, 143대 이한풍, 167대 이항권, 172대 통제사인 이승권 등 5명의 공적비 등이 서 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계단 위에 내삼문이 서 있다. 내삼문에는 문의 처마를 받치고 있는 기둥인 활주는 육각형의 장초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밑에 해태상을 조각해 놓아 특별하다. 통용문인 양편에 협문을 낮게 만든 것은, 스스로 자신을 낮추고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라는 뜻이라고 하니, 그 또한 선조들의 마음자세를 배워야 할 듯.

 

 

 

정당은 충렬사이다. 이춤무공의 영정을 모셔놓은 곳으로 선조의 명에 의해 1606년에 지어져, 300년이란 긴 시간동안 역대 통제사들이 봄, 가을로 제향을 모시던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정당의 지붕 용마루에는, 주역의 팔괘를 기와로 그려내었다. 아마도 이런 충렬사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큰지도 모르겠다.

 

 

 

사당 앞에 향이 놓여있다. 장군께 향을 올린다. 뒤에서는 해설사의 장황한 설명이 이어진다. 그러나 그런 것이 귀에 들어올 리가 없다. 들어올 때 본 강한루의 망가진 지붕이 내내 마음을 아프게 하기 때문이다. 벌써 이곳을 다녀온 지 보름이 지났는데, 이제는 말끔히 수리가 되었길 속으로 빌어본다.

참 까다로운 샘도 다 있다. 샘을 보호하기 위해 샘 위에 전각을 지으면 마을에 돌림병이 돌고, 상여나 시신이 근처로 지나가면 물이 탁해진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샘 이름도 ‘명정(明井)’이라고 한단다. 통영시 명정동에 소재한 충렬사의 입구 길 건너편에 자리하고 있는 샘이다.

 

이곳 사투리로 ‘정당새미’라고 부르는 이 샘은 현재 경상남도 기념물 제273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이 우물이 언제부터 이곳에 있었는지는 정확하지가 않다. 다만 그 전부터 있던 샘을 1670년 제51대 통제사인 김경이 중수하여 지금의 샘처럼 조성을 했다고 한다. 샘을 조성한지가 벌써 350년 가까이 되었다.

 

 

 

두 개의 샘이 나란히 자리해

 

샘은 네모나게 조성하여 두 개가 나란히 있다. 위샘은 ‘일정(日井)’이라 부르고, 아래샘은 ‘월정(月井)’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월정 안에는 푸른 이끼가 가득 끼어있다. 아마도 청소를 한지가 꽤나 오래 된 듯하다. 월정은 비교적 깨끗한 편이다. 두 개의 샘의 물은 맑은 편이며, 샘의 아래쪽에는 길고 네모난 큰 물 가둠 장소가 있다.

 

이렇게 두 개의 샘이 있는 것은 처음에 위샘을 팠는데, 물이 탁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그 밑에 샘을 하나 더 팠더니 물이 맑아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두 개의 샘을 판 후 물의 배출량까지 많아졌다는 것이다. 이 두 개의 샘을 합하여 ‘명정’이라고 부른다. 원래 이 명정은 충렬사에서 전용을 하였으나, 이 근처에 민가가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식수로도 사용했다고 한다.

 

 

 

정당새미에 얽힌 전설

 

문화재 담사를 하면서 우물에 얽힌 전설을 많이 들었다. 마을마다 공동우물에는 한 가지씩의 전설은 꼭 있는 법이다. 그 전설 중 가장 많은 것은 ‘샘이 넘치면 마을에 경사가 있고, 마르면 마을에 흉사가 생긴다.’거나 ‘샘의 물자리를 찾는데 지나가는 백발노인이나 노승이 샘 자리를 가르쳐 주었다.’ 라는 등의 이야기이다.

 

지금은 그런 곳이 없겠지만, 옛날에는 물이 있는 곳에 마을이 생겨났다. 물은 그만큼 우리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것이다. 하기에 마을에서 사용하는 우물이 탁해진다는 것은, 곧 그 마을의 폐허를 불러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통영의 명정샘에도 이런 전설이 전하고 있다.

 

 

 

명정은 두 개의 우물이 나란히 있다. 일반적인 샘처럼 깊지도 않다. 그러나 물은 얕지만 매우 맑다. 이 우물은 주위로 시신이나 상여가 지나면 물이 탁해진다고 한다. 지금도 이 명정샘 곁으로는 상여가 지나지 못한다고 한다. 또한 샘을 보호하기 위해서 두 개의 샘 위에 팔각정으로 지붕을 만들었더니, 마을에 질병이 돌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 샘은 그대로 노천 샘으로 남아있다. 이 두 개의 샘인 일정과 월정은 그 용도가 다르다. 일정은 충렬사에서 제향을 지낼 때 사용하고, 월정은 주민들이 식수로 사용했다고 한다. 우물을 촬영하고 있는데 어느 어르신이 무엇을 하느냐고 물으신다. 우물 기사를 쓰려고 사진을 찍는다고 했더니, 얼른 나오라는 것이다.

 

 

 

“다 찍었습니다. 나갈께요.”

“거긴 외부사람이 들어가면 안 되는 우물인데”

“무슨 이유가 있나요?”

“이순신장군의 제향 때 사용하는 우물인데, 외지사람들이 드나들면 부정타거든”

 

그 이야기에 할 말이 없다. 아직도 이곳 우물을 신성한 것으로 여기는 명정샘 주변 사람들. 세월이 그렇게 흘렀는데도 전설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는 생각이다. 오히려 마을주민들이 그렇게 영험한 샘으로 믿고 있기에 보존이 잘 되는 것이겠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