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에 드는 액은 이월 영등으로 막아내고

이월에 드는 액은 삼월 삼짇날 막아내고

삼월에 드는 액은 사월초파일에 막아내고

사월에 드는 액은 오월 단오로 막아내고

오월에 드는 액은 유월 유두날 막아내고

유월에 드는 액은 칠월 칠석에 막아내고

 

정월 초사흘부터 대보름까지 수원의 각 가정에서는 홍수막이라는 의식을 치렀다. 물론 지금에야 이런 광경을 보기가 쉽지가 않다. 홍수막이는 일 년 간 사람에게 드는 나쁜 일들을 막아내는 일종의 제의식이다.

 

수원은 일찍 팔달문 안과 밖으로 장시가 섰던 곳이다. 자연 이곳은 많은 사람들이 모이게 되고, 장거리가 활성화되면서 한양에서 축출을 당한 무격(巫覡)들이 노들나루를 건너 이곳으로 모여들었다. 장시가 활성화 된 수원은 딴 곳보다 금전적인 여유가 있었을 테고, 그만큼 장사를 함에 있어서 궁금증도 많이 일어났을 것이다.

 

 

영동시장은 아예 거북산당을 섬겨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은 200여 년간이나 유서 깊게 전해 내려 온 지역의 전통굿으로, 경기도 수원 팔달문 인근의 영동시장 내에 신당이 있다. 시장의 역사는 1790년경 수원성 건립과 함께 하며, 그 때부터 터주가리 형태의 제당이 있었다고 한다.

 

영동 시장 내에 거북산당이 축조된 이유를 보면 화성 건립을 위해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고, 자연히 남문밖에 상포가 하나 둘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자연적인 시장의 형태를 갖추고 되면서 당이 선 것으로 보인다. 거북산당은 상인들을 주축으로 상가의 번영과 안녕을 위한 도당을 필요로 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지금도 시장 사람들의 전하는 말에 의하면 당고사를 지내지 않으면 시장에 불이 잘 나기 때문에, 예전부터 이 시장에서 터를 잡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은 세상없어도 당제는 올려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영동 거북산당 도당굿은 영동시장 상인들을 주축으로 근 200년이 넘는 시간을 전승이 되어 온 것이다.

 

 

당의 명칭이 거북도당 으로 불리는 것은 원래 이 곳에 거북이 모양의 돌이 있었다고도 하며, 또 인근의 구천동과 가깝고 주위에 물이 많은 곳이며 풍수지리적으로 불을 제압 할 수 있는 힘을 상징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근처에 거북산이라고 부르는 작은 구릉이 있었기 때문에 그 산 이름을 따 거북산당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인다.

 

정월에 홍수막이를 해야 안심이 돼

 

칠월에 드는 액은 팔월 한가위에 막아내고

팔월에 드는 액은 구월 중구절로 막아내고

구월에 드는 액은 시월 상당 무시루떡으로 막아내고

시월에 드는 액은 동지달 동지 팥죽으로 막아내고

동지에 드는 액은 섣달 악귀 쫓던 방포로 막아내고

섣달에 드는 액은 정월 방망이 맞은 북어 한 마리

소지에 둘둘말아 원주 원강에 던져 막아내고

 

예전에는 거북산당에서도 홍수막이를 하였다. 원래 홍수막이는 각 가정에서 대청과 부엌, 안방등에 고사상을 마련해 놓고 무격이 징을 치면서 달거리라고 하는 홍수막이 축원을 하였다. 하지만 요즈음은 집안에서 하는 경우는 드물고, 거의가 전문적인 무업(巫業)을 하는 무격의 전안을 찾아가 홍수막이를 한다.

 

 

정초에 이렇게 홍수막이를 하고나면 무엇인가 든든한 것이 있어요. 모든 일이 잘 풀릴 것 같이 든든하죠. 그래서 홍수막이는 빠트리지 않고 합니다. 벌써 저희는 수십 년을 이렇게 전통으로 이어오고 있어요.”

 

연무동에 산다는 이모씨는 정월에 홍수막이를 하지 않으면 불안하다고 한다. 홍수막이를 하고나면 일이 터져도 자신이 생겨 쉽게 넘길 수가 있다는 것이다. 지금은 사라져가고 있는 우리네의 풍습인 홍수막이. 단순히 우상숭배로 치부를 할 것이 아니라, 우리의 예부터 전해지는 풍속으로 받아드려야 할 것이다.

답사를 다니면서 가장 마음이 푸근해 지는 것은 고택이나 절집 등에서 만나게 되는 장독대이다. 물론 절집보다야 고택에서 만나는 장독대, 그것도 사람의 온기가 서린 집안에서 만나게 되는 장독대야말로, 따듯한 어머니의 품을 느끼게 된다.

 

집집마다 집 뒤편으로 돌아가면 윤기를 내며 가지런한 모습으로 놓여있는 장독대. 지금이야 아파트들을 선호하면서 이런 정취어린 모습들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하지만 옛 것을 쉽게 버리지 못하는 우리 어머니들은, 아파트 베란다 한편에도 윤이 나게 잘 닦은 독 두 어 개쯤은 갖고 계신 것을 볼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우리네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위는 경북 영덕 의병장 신돌석장군 생가지 장독 아래는 경주 김호장군의 생가지 장독


장독대를 보면 집안의 가풍을 알아

 

장독대는 집 뒤편이나, 안채의 옆에 단을 쌓고 그 위에 가지런히 독을 늘어놓는다. 장독대에는 간장을 비롯한 된장과 고추장, 김치나 장아찌 등 우리의 식생활을 윤택하게 할 식품들을 보관하는 곳이다. 하기에 장독대가 갖는 의미는 그 무엇보다 크다고 하겠다. 사람들은 어느 집을 찾아갔을 때 이 장독대가 윤기가 반지르르하게 나면, 그 집안의 주부의 됨됨이를 알 수 있다고 한다.

 

장독은 어머니의 마음이다. 그리고 온 가족의 안위가 장독대에서 만들어진다. 아이가 아프면 장독대 앞에 상을 놓고 맑은 정화수 한 그릇을 떠놓고, 자성으로 비손을 하는 어머니의 모습이 있다. 또한 자손들이 만 길을 떠나거나 큰일을 앞에 두고 있을 때도, 일이 잘 되게 해달라고 지성으로 비는 일도 이 장독대에서 다 이루어졌다.

 

 

 

 

위는 논산 명재고택 사랑채 앞 장독들, 가운데는 서천 이하복 가옥의 장독대, 아래는 음성 감곡 서정우 가옥의 장독


장독은 단순히 찬거리를 보관하는 곳이 아니다.

 

왜 장독대에서 그런 일들을 한 것일까? 어머니들은 왜 집안에 일이 생기면 장독대에 정화수를 떠 놓고 촛불을 켠 후, 지성으로 비손을 한 것일까? 그것은 장독대가 갖고 있는 직능 때문이다. 장독대는 집안에서 가장 신성한 곳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장독대에는 집안 식구가 먹고사는 찬거리의 맛을 내는 것도 이 장독 안에 들어있는 고추장, 된장, 간장과 각종 반찬 등이다.

 

 

 

 

위는 전남 무안 나상렬 가옥의 장독, 가운데는 충북 괴산 청천리 고가의 장독, 아래는 함양 지곡 오담고택의 장독


하지만 이 찬거리들인 장들은 단지 반찬의 맛을 내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다. 이 장들은 바로 ‘축사(逐邪)’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하기에 이 장독대는 집안에서 주부들과 가장 가까우면서도, 가장 신성한 곳 중 한 곳이다. 이러한 장독대는 한국인의 사고 속에는, 어머니의 마음이 담겨져 있는 정 깊은 곳이다.

 

이러한 장독대가 점차 사라지기 시작하면서, 장독대에 깃들었던 어머니의 마음과 정도 함께 사라져가는 것만 같다. 어머니의 따스한 마음을 읽을 수 있는 장독대. 그리고 집안의 모든 간구하는 일이 이루어지던 소중한 곳이었던 곳. 이 봄, 어머니의 마음이 가득 담겨있던 아름답고 정이 넘치는 장독대를 찾아, 길을 나서는 것도 새봄을 맞이하고 느끼는 한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


음력 정월 보름을 대보름이라고 한다. 정월 대보름은 우리의 풍속에서는 설날과 추석 다음으로 치는 큰 명절이다. 이렇게 정월 대보름을 중요하게 여기는 까닭은, 정월의 모든 놀이문화가 이 대보름을 기해 마무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월 대보름은 입춘이 지나서 맞이하기 때문에, 농촌에서는 일 년의 시작을 준비하는 때이기도 하다.

정월 대보름 하루 전날은 다리밟기, 달집태우기 등 각종 놀이가 행해진다. 이 중에서 달집태우기는 정월 15일이 아닌, 하루 전인 14일에 행해진다. 달집태우기는 전국을 통해 연희가 되었던 놀이이다. 그만큼 우리들에게는 정월 대보름 전에 하는 달집태우기가 상당한 의례에 준하는 놀이였다.


달집태우기는 겨울을 녹인다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지원리에서는 ‘해동화(解冬火)놀이’라고 달집태우기를 부른다. 이 말은 ‘겨울을 녹이는 불’이란 뜻을 갖고 있다. 혹은 ‘해동홰놀이’라고도 하는데, 이 말 역시 ‘겨울을 녹이는 홰’라는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홰’란 막대나 짚을 이용해 만든 불을 말하는 것이다. 즉 짚을 길게 묶어 불을 붙이는데, 그것을 홰라고 부른다.

광지원리의 해동화놀이는 일제강점기에도 계속되어졌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어 하루를 즐기는 놀이로 발전을 하였다. 이러한 달집태우기는 그 외에도 ‘액을 태운다’는 속설을 갖고 있다. 정월 열나흘 날이 되면 사람들은 소나무와 대나무 등을 갖고 달집을 만든다. 이 달집에 생대나무를 이용하는 것도 다 나름의 이유가 있다.



생대가 타는 소리에 놀란 잡귀가 달아나

우리 풍습에는 섣달 그믐날 생대를 태우는 습속이 있다. 이것은 일 년 동안 집안에 묻어 든 잡귀를 쫒아내기 위함이다. 즉 대나무가 불에 탈 때 ‘탁탁’소리를 내는데, 그 소리에 놀란 잡귀들이 도망을 간다는 것이다. 정월 대보름에 달집을 만들 때도 소나무와 대나무를 사용하는데, 바로 그런 속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종이에 자신이 필요한 기원을 적는다. 그리고 달집에 묶어놓은 새끼줄에 그 길지를 달아 놓는다. 달집이 타면 그 기원지가 함께 타면서 서원을 이룬다는 것이다. 달집태우기는 달맞이에 이어서 하게 된다. 손에 작은 홰를 들고 달맞이를 하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달을 본 사람이 ‘망월(望月)이요’를 외치면서 달집으로 달려가, 손에 든 홰를 이용해 불을 붙이는 것이다.


서로가 연결되는 정월의 민속

정월의 민속의 특징은 하나하나가 따로 떨어져 있지만, 그 내용은 모두가 연관이 지어진다. 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리는 사람들은 그 달을 바라다보면서 가장 먼저 소리를 칠 수 있기를 고대한다. 처녀가 먼저 보면 그 해에 시집을 가고, 총각이 먼저 보면 그 해에 장가를 가게 된다는 것이다.

임신부가 먼저 보고 소리를 치면 아들을 낳을 수가 있으며, 몸이 아픈 사람이 먼저보고 소리를 치면 병이 낫는다는 속설이 있다. 하기에 저마다 홰를 손에 들고, 먼저 달맞이를 하려고 애를 쓴다. 이렇게 다양한 정월의 큰 대동놀이는 사실 달집태우기로 막을 내리게 된다.


요즈음은 대보름의 놀이가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달집태우기 등 많은 대보름 놀이가, 올해는 구제역으로 인해 취소가 되었다. 하지만 달집이라는 것이 그리 어렵게 만드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조그맣게 만들어 놓고 개인놀이라도 해보는 것이 어떨지. 겨울을 녹이고 일 년 간의 액을 막는다는 사고는, 꼭 집채만 한 달집이라야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