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죽으면 어디로 갈까? 우리는 흔히 사람이 죽으면 저승을 간다.’라는 표현을 한다. 그 저승이란 곳이 어디일까? 상여소리의 사설에 보면 이런 대목이 있다. “저승길이 멀다더니 대문 밖이 저승일세.”라는 대목이다. 저승이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다는 것을 강조한 대목이다. 우리 소리가 갖는 극단적인 여유요, 어찌 보면 표현의 잔치라고 생각한다.

 

우리는 흔히 사람이 죽으면 천도 의식이라고 하는 지노귀(진오기)굿을 한다. 전문적인 무격(巫覡-무는 여자무당, 격은 남자무당을 말한다)에게 굿을 일임하여, 망자의 넋을 위로하고자 함이다. 사람이 죽어서 49제 안에 하는 굿을 진진오기라 하고, 49일이 지난 다음에 굿을 하면 묵은 진오기라고 한다.

 

 

일본에서까지 찾아 온 경기도 굿판

 

823(). 수원시 팔달구 지동 271에 소재한 고려암. 고려암이라고 이름을 붙였으나 대문 앞에는 경기 안택굿 보존회라는 현판이 걸린 것으로 보아, 전문적인 무격이 전안(신령을 모셔 놓은 신당)을 모셔놓은 집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집은 4대 째 경기도 전통 안택굿을 이어오고 있는, 남무 고성주의 집이다.

 

고성주(, 58)18세에 내림을 받은 강신무이다. 어려서부터 춤과 소리를 배운 탓에, 내로라하는 굿 잘하는 무격으로 소문이 나 있다. 이날 진오기굿을 의뢰한 사람들은 남양주시에 사는 여흥 민씨의 자손들이다. 돌아가신 조상님들의 천도굿을 뒤늦게 하는 묵은 진오기 굿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날 굿판에는 굿을 하는 무격과 악사, 그리고 집안에서 일을 보는 사람들 외에, 멀리 일본에서 이 굿을 보기 위해 찾아왔다. 동경에서 찾아 온 Efubun-no-ichi-inc 의 디렉터인 Ayumu Yasuhara(安原 步)이다. 사전 답사를 나왔다고 하면서 굿을 하는 것을 유심히 보면서 질문을 하고, 일일이 카메라에 담기에 바쁘다.

 

이른 아침부터 준비한 상차림

 

고성주의 전안은 상당히 넓다. 아마 우리나라의 무격들의 전안 중에서는, 가장 넓고 깨끗하다고 악사들이 말을 한다. 악사들은 굿판을 전문적으로 다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많은 무격의 집을 방문하기 때문에 많은 무격들의 전안을 보기 때문이다. 이른 새벽부터 전을 부치고 과일을 씻어서 쌓고, 각종 떡을 진설한다. 그렇게 모든 준비를 다 마친 것이 오전 930분경.

 

 

이날 굿판에는 주무 고성주를 비롯해, 여무(女巫)인 서정숙(67), 임영복(59), 홍형순(40)과 악사 김상건(, 61) 등이 굿을 진행했다. 굿은 고성주의 앉은부정으로 시작해 임영복의 산거리, 서정숙의 불사거리, 고성주의 대안주와 이어서 서정숙과 임영복의 조상, 군웅 등을 마친 후 진오기굿인 바리공주의 차례로 진행이 되었다.

 

굿판은 열린 축제이며, 지켜가야 할 문화유산

 

우리는 흔히 굿판을 일러 열린 축제라고 표현을 한다. 굿판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다 함께 할 수 있다. 예전에는 안택굿을 여는 집이 있으면, 마을의 모든 사람들이 다 함께 참여를 한다. 진오기굿을 해도 마찬가지이다. 생전에 고인과 알고 지내던 많은 사람들이 참석을 해서, 고인의 극락왕생을 함께 기원하는 것이다.

 

 

그런 우리의 축제인 굿이 언제부터인가, 깊은 산중으로 숨어들었다. 종교적인 심한 박해와 주변의 반대로 인해서, 전문적인 굿을 하는 굿당으로 자리를 옮긴 것이다. 다행히 고성주는 자신의 단골들의 굿은 언제나 자신의 전안에서 행한다. 그만큼 자신의 단골들에게 당당히 행한다. 이날 굿도 마찬가지였다.

 

오전에 시작한 굿은 오후 6시가 되어서야 끝이 났다. 준비를 한 시간부터 따지면 11시간 정도가 소요가 된 셈이다. 굿의 끝판에 천기를 벗긴다.’고 하여, 제가 집 부부를 앉혀놓고 그 위에 오색천을 덮고 악귀를 쫒는 의식으로 모든 일정을 마쳤다. 이때쯤이면 모두가 지쳐간다. 더구나 날이 무더워 평소보다 더 많은 고생들을 했다.

 

 

 

미신(迷信)’ ‘혹세무민(惑世誣民) 이라는 일제와 유교적 배타와 함께, ’우상숭배(偶像崇拜)‘라는 이종교의 배척 등으로 제자리를 잃어가고 있는 우리의 열린 축제인 굿. 그나마 근근이 맥을 이어가고 있는 경기도의 전통적인 굿 한 마당을 볼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스런 일인가?

 

외국에서도 눈여겨보기 시작한 경기도의 굿이, 정작 지역에서는 제대로 대우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안타깝기만 하다. 이제는 겨우 그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경기도의 전통굿이 제대로 전승, 보전이 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머리에 베로 꼰 띠를 두르고, 무복(巫服)의 자락을 휘감아 한 편에 질끈 동인 저승사자가 지노귀굿의 상 중앙에 놓인 망자의 넋을 상징하는 종이로 만든 ‘넋전’을 가리키며 하는 말이다. 사제삼성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집가심굿과 지노귀굿에 나오는 세 명의 저승사자를 일컫는 말이다.

 

7월 21일(일) 밤이 이슥하다. 초저녁부터 시작한 굿이 이미 밤 10시를 넘겼다. 오산 원동 마등산 자락에 소재한 한 굿당에서는 망자의 혼을 천도시킨다는 지노귀굿이 펼쳐졌다. 이 굿판에는 무격(巫覡. 남자무당과 여자무당을 함께 이르는 말) 5명과 악사 2명이 자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제가집(굿을 의뢰한 망자의 가족)에선 가족들과 지인들 30여 명이 참석을 했다.

 

 

망자를 위로하고 달래는 지노귀굿

 

지노귀굿이란 죽은 망자를 천도시키는 굿을 말한다. 지노귀란 ‘진혼(鎭魂)’의 의식을 말하는 것으로, 그 굿을 하는 시기나 형태에 따라 명칭이나 굿의 제차 등이 달라진다. 예전에는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3년 동안 상청(喪廳)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3년 안에 하는 지노귀굿은 모두 ‘진지노귀굿’이라 하였다.

 

3년이 지난 다음에 망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서 하는 굿은 ‘묵은 지노귀굿’이라 하고, 3년 만에 상청을 치우면서 하는 굿을 ‘탈상굿’이라고 하였다. 이 외에도 사람이 살아있을 대 미리 지노귀굿을 하면 ‘산지노귀굿’이라 하고, 죽을 수에 있는 사람의 명을 연장하기 위한 ‘헛장굿’ 등도 모두 지노귀굿에 포함을 시킨다.

 

 

큰머리 얹고 바리공주 무가를 구송해

 

저녁 무렵부터 모여들기 시작한 망자의 지인들로 인해 주변 주차장은 차가 가득하다. 굿당 안에 잘 차려진 굿상이며, 상 뒤편으로는 저승십대왕을 의미하는 글을 적은 번이 걸려있다. 그저 보기만 해도 이 굿이 무슨 굿인가를 알 수 있는 분위기이다. 망자의 가족들이야 당연히 참석을 하겠지만, 선, 후배들을 포함해 30여 명이 넘는 인원이 모였으니 굿당 안이 시끌벅적해 질 수 밖에.

 

굿은 굿판에 모여든 모든 사람들과 굿청의 부정을 가시는 의식으로 시작이 되었다. 주무(主巫)인 승경숙 만신과 보조를 하는 어린 무녀(巫女)들도 부산하게 움직인다. 굿이 한창 무르익을 때쯤 바리공주 무가를 구송하는 ‘말미’의식으로 들어갔다. 작은 상위에 쌀을 붓고 한지로 덮어 놓는다. 그리고 바리공주 무가를 장구를 치면서 구송하기 시작한다.

 

머리위에는 바리공주를 상징하는 큰머리를 올리고, 근 한 시간 가까이 진행이 되는 무의식 제차에 사람들이 지쳐갈 만도 하련만, 이런 진지노귀굿을 처음으로 접한다는 사람들은 자리를 떠날 줄을 모른다. 아마도 이런 굿판에 와서 망자와의 평소에 친분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슬픈 굿에서의 반전, 해학이 가득한 사자놀음

 

지노귀굿은 망자의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망자를 떠나보내는 의식이기 때문에 울음바다가 된다. 가족뿐만 아니라 굿청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숙연해 질 수 밖에 없는 것이 바로 이 굿이다. 하지만 지노귀굿에서도 반전이 있다. 슬픔만 간직하고 돌아간다면 오히려 마음에 더 큰 아픔을 안고 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반전이 이루어지는 굿 제차가 바로 ‘사제삼성’이다. 이 거리에는 저승사자로 굿을 진행하는 무당이 변한다. 머리에는 베를 꼬아 띠를 만들아 두르고, 심지어는 얼굴에 칠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굿청 앞에 놓인 사자상에 가서 차린 것이 없다고 푸념을 하면서 아무것이나 주어먹는다.

 

 

이때 제가집이나 지인들은 굿상 앞에 일렬로 도열을 한다. 바로 사자가 굿상 위에 놓인 망자를 상징하는, 종이로 만든 ‘넋전’을 들고 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 넋전을 빼앗기면 망자의 혼령을 빼앗긴다고 하여, 사자가 굿상 앞에 다가서지 못하도록 몸으로 사자를 막아야 한다. 이 대목이 바로 반전이다.

 

입에는 큰 떡을 물어 마치 혓바닥처럼 늘이고, 눈을 이상하게 만들어 굿상으로 덤벼드는 사자를 보고 제가집의 가족들도 웃음을 참지 못한다. 굿상 앞을 막아선 15명 정도의 망자의 지인들은, 사자가 상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느라 정신이 없다. 이곳저곳을 찔러보고 밀어보고. 심지어는 입에 문 떡까지 줄 테니 비키라고 한다. 반전도 이런 반전이 없다. 우리 굿만이 갖고 있는 해학이다.

 

 

망자의 가족들까지도 웃길 수 있는 굿판. 울리고 웃기고, 그래서 우리 굿은 좋은 것이다. 말미에 이어 망자의 상을 도는 ‘도령’과 베를 갈라 망자의 저승으로 가는 길을 열어주는 ‘길 가르기’, 그리고 저승길에 가시밭길을 무사히 넘기는 ‘가시문 넘기기’까지로 굿은 끝났다. 22일 새벽 1시. 길고 긴 지노귀굿이 끝나고 가족들과 지인들은 다 돌아갔다.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무격들뿐이다. 굿청에 모인다는 뭇 잡귀들을 다 풀어먹여 보낸다는 뒷전까지 마친 시간이 새벽 1시 30분. 이때쯤이면 누구나 다 지치게 된다. 하물며 몇 시간을 뛴 사람들이야 오죽하랴. 그래도 모두가 ‘속 시원하다’며 돌아갔으니, 아마도 이 망자 좋은 곳으로 가지 않았을까?

 

“다음 생에는 절대 이런 슬픈 자리에서 만나지 말고, 이승에 맺힌 한 훌훌 털고 돌아가시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