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무슨 말을 하는 거야? 요즈음 덥더니 드디어 이 양반이 정신 줄을 놓았구만. 이런 생각들을 하실는지 모르겠다. 울진군 근남면 행곡리에 가면 천연기념물 제409호로 지정이 된 수령 350년의 처진소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나무의 높이는 11m 에 밑동의 둘레가 3m가 넘는다.

처진소나무는 가지가 아래로 처져있는 희귀종이다. 우리나라에는 속리산 정이품송을 비롯해 몇 그루가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되어있다. 행곡리 처진소나무를 찾아갔을 때는 뒤늦은 비가 쏟아지는 날이었다. 이 계절에 내리는 비는 별로 반갑지가 않다. 이때는 수확을 서두르고 있는데, 비가 내리면 수확에 지장이 있기 때문이다.


‘이 빗속에 무슨 답사를 한다고, 미쳤구만’

비가 오는 날 답사를 나갔다. 답사를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날이 좋아서 길을 떠났는데도 답사 중간에 비를 만나는가 하면, 폭설로 인해 발이 묶이기가 일쑤다. 그런가하면 손가락이 떨어져 나갈듯한 추운 날이 있기도 하고, 더위로 인해 사람이 진이 빠지기도 한다.

나는 현장을 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가급적이면 동영상으로 자료를 남긴다. 사진에서 미비한 것은 동영상으로 보충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 가지 문화재를 한 번만 찾아가는 것이 아니다. 계절별로 찾아다니다가 보면, 그 변화를 알 수가 있어 더욱 좋다.




주변 사람들은 가끔 질문을 한다. 이 빗속에 미치지 않고서야 무슨 문화재 답사를 한다고 그러느냐고. 글쎄, 나도 가끔은 내가 정상은 아니란 생각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언제나 그 질문에 대한 답은 하나뿐이다. ‘문화는 지켜져야 한다. 그것은 우리 모두의 것이기 때문이다.’

빗속에서 바라 본 행곡리 처진소나무, 멋지다 정말 

처진소나무를 찾아간 날도 비가 내리고 있었다. 요즈음은 일기의 변화가 잦아 답사 길이 점점 힘들어진다. 그렇다고 계획을 세워 길을 나섰는데, 비가 오거나 눈이 오가나 바람이 세차게 분다고 중간에 포기를 할 수가 없다. 그러다보니 자료들을 조사해보면 비가 오는 날 답사를 한 자료가 상당히 많다.

마을이 조성될 때 함께 심었다는 행곡리 처진소나무는 마을에서 위하는 나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마을에 있는 커다란 나무를 신목으로 삼아 위하는 습속이 있다. 이러한 행위를 단순히 우상숭배나 미신이라고 할 수가 없다. 우리민족은 그러한 행위를 하면서 공동체를 창출해냈기 때문이다.



행곡리의 처진소나무도 마을 주민들을 하나로 묶는 공동체의 표상이다. 이 나무로 인해 마을 사람들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면서 하나로 뭉쳐진 것이다. 행곡리 처진소나무는 한 그루의 희귀종인 소나무로서의 가치가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보이지 않는 힘이 있어 더욱 소중한 것이다.

비가 오는 날 찾아간 천연기념물 제409호 행곡리 처진소나무. 나무를 촬영하고 있는데 곁에서 계속 말을 한다.

“미쳤어, 정말 미쳤어. 이 비에”

그래 나 미쳤다. 그렇다고 이 나무를 안보고 가면 마음이 편하겠냐? 스스로에게 하는 이야기이다.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에 소재한 운문사는, 신라 진흥왕 21년인 560년에 창건된 비구니 사찰이다. 역사적으로 본다면 벌써 1,500년 전에 세워진 고찰이다. 이 운문사 경내 만세루 옆에 서식하고 있는 처진 소나무 한 그루는, 수령 500년이 지난 천연기념물 제180호이다. 이 나무의 키는 9.4m에 가슴둘레의 높이는 3.4m 정도이다.

처진 소나무의 밑동 둘레는 2.9m, 가지는 동으로 8.4m에 서로 9.2m, 남으로는 10.3m에 북으로는 10m 정도로 뻗어 30여 평을 뒤덮고 있다. 사방으로 고르게 발달한 모습을 하고 있는 이 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축 처진 모습을 한 보기 드문 품종이다.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 된 수많은 소나무 중, 이렇게 가지가 처진 소나무는 몇 그루되지 않는다.


‘삽목(揷木)’으로 새 생명을 얻은 처진 소나무

우리나라에 있는 고목(古木)이나 거목(巨木) 등에는 많은 전설이 전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삽목(揷木)’에 대한 전설이다. 삽목이란 말 그대로 나무를 땅에 꽂았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삽목의 전설은 고승이나 유명한 인물들과 관련이 지어진다. 이 운문사 처진 소나무 역시 어느 대사가 이곳을 지나다가, 시든 나뭇가지를 땅에 꽂아 이렇게 큰 나무로 자랐다는 전설을 갖고 있다.

어느 방향으로 보던지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자란 운문사 처진 소나무. 아마 이 삽목에 대한 전설은 새 생명을 불어 넣는다는 종교적 의미를 갖고 있을 것이다. 실제로 절 안에 서식하고 있는 수령이 오래 된 나무들은, 거의가 역사적 인물이나 고승들이 마른 지팡이 등을 꽂아 새 생명을 주었다는 삽목의 전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막걸리를 마시는 운문사 처진 소나무

운문사 처진 소나무가 기이한 나무라는 것은 전하는 이야기만 들어도 알 수가 있다. 시든가지를 꽂아 생명을 얻은 이 나무는, 임진왜란 때 절이 모두 불타버렸지만 칡넝쿨이 나무를 감고 있어 살려냈다고 하다. 운문사에서는 1970년대부터 매년 음력 삼월삼짇날이 되면, 막걸리 12말에 물 열두 말을 타서 나무 둘레에 뿌려주는 ‘처진 소나무 막걸리 먹이기’를 펼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처진 소나무에 막걸리를 먹이는 것은, 소나무가 막걸리를 마시면 생육에 도움이 된다고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막걸리에는 많은 영양분을 함유라고 있기 때문에, 나무를 옮겨 심거나 할 때도 막걸리를 주변이 뿌려주고는 한다. 운문사 스님들은 이 나무를 ‘선정(禪定)에 든 나무’라고 한다. 오랜 세월을 스님들의 염불소리를 듣고, 도를 닦아 스스로를 낮추는 나무라는 것이다.



비가 뿌리는 날 만난 처진 소나무, 그대로 춤이었다.

땅 위 2m 정도에서 사방으로 뻗친 가지는 지주를 대고 있다. 아마 이 지주들이 없다면 가지들이 모두 땅에 닿아있을 것이다. 7월 15일 금요일. 아침 일찍 운문사에서 생활을 하고 계시는 250여 명의 비구니 스님들에게, ‘스님짜장’ 봉사를 하기 위해 운문사로 떠났다. 맑던 날씨가 청도에 들어서면서 비가 뿌리기 시작한다.

운문사에 내려 처음 만난 것이 바로 처진 소나무였다. 운문사는 그동안 몇 차례나 방문한 곳이지만 갈 때마다 새롭다. 비를 맞으면서 처진 소나무 주변을 돌아본다. 호거산 운문사. 주변 산에는 호랑이에 관한 전설도 전해지고 있는 곳이다. 6,25 때도 방화로 일부 전각을 잃었지만, 이 소나무는 재앙을 피했다고 한다. 그만큼 신령한 나무이기도 하다.



운문사 처진 소나무는 수형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처진 소나무 중에는 최고로 친다. 빗물이 떨어지는 가지 밑으로 들어가 본다. 마치 춤을 추듯 늘어진 가지들. 그 모습에서 수많은 무희들이 팔을 뻗쳐 춤을 추고 있는 모습을 본다. 아마도 새 생명을 얻은 희열을 그렇게 표현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가 알지 못하는 자연의 신비. 운문사 처진 소나무를 보면서, 그 아름답고 신비한 자연에 고개를 숙인다. 비를 맞으며 만난 소나무 한 그루에서, 난 또 다른 자연의 힘을 얻어간다. 새로운 생명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를 낮출 줄 아는 겸손과 함께.

경남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는 수령 500년이 지난 커다란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마을을 흐르는 개울을 내려다보는 이 소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211호로 지정이 되어 있다. 이 소나무는 처진 소나무로 높이는 16m이며, 둘레는 2.95m에 가지의 폭은 21m 정도이다.

이 소나무는 마치 등 굽은 사람처럼 서 있는데, 목 부분이 굽어져 가지가 마을 쪽으로 뻗쳐 처져있다. 마을에 전하는 이야기로는 풍천 노씨들이 처음으로 이 마을에 들어와 자리를 잡을 때 심었다고 전한다. 조국의 광복 이후에도 마을 주민들은 이 소나무 아래에 모여, 마을의 안녕과 가내의 안과태평을 비는 지신밟기를 했다고 한다.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는 수령 500년의 처진소나무

죽은 아들이 아이를 점지해준 종암우물

소나무 아래에는 마치 계란같이 생긴 바위와 우물이 있다. 이 바위를 종암이라고 부르며, 아래에 있는 우물을 종암우물이라고 한다. 이 우물에는 전설이 전한다. 고려 말엽 소나무가 서있는 개평마을에는 200호 정도가 모여 살고 있었다. 이 마을에 금씨 성을 가진 가난한 선비가 살았는데, 슬하에 자식이 없다가 40이 넘어서야 아들을 낳았다.



목 부분이 굽어진 처진 소나무는 노씨들이 지곡마을에 자리를 잡으면서 심었다고 전한다

살림살이가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두 부부는 귀한 아들이라 정성을 다해 키웠다. 그런데 아이가 8살이 되던 해에, 앞 개울가에서 물고기를 잡고 놀다가 그만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50이 다 된 부인은 자식을 잃은 슬픔으로 병이 들어, 회복이 불가능할 정도로 몸이 약해졌다.

그러던 어느 날 부인이 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데, 아들이 꿈에 나타나 하는 말이 ‘어머니 나 종암우물에 있어. 왜 데리러 안와’라고 했다. 부인은 집 가까이에 또 다른 우물이 있어, 종암우물까지는 물을 길러 가지 않았으나, 아들이 보고 싶은 생각으로 혹시나 해서 종암우물로 가서 우물주위를 돌았다. 몸이 약해진 부인은 우물을 돌다가 쓰러졌으나, 종암우물의 물을 먹고 기운을 차려 다시 우물을 돌고는 했다.


아들을 점지한다는 전설을 간직한 종암과 우물

먼 곳이지만 아들을 만날 수 있다는 기대로, 부인은 날마다 종암우물을 떠다 먹으며 그 주위를 돌았다. 그런데 도저히 완쾌할 것 같지 않았던 병약한 부인이, 3개월 후에는 완쾌가 되었으며 임신까지 하게 되었다. 임신이 된 선비의 부인은 49세라는 늦은 나이에 다시 아들을 낳았다. 지성이면 감천일까? 오직 아들을 보기를 바란 부인의 정성이 하늘을 닿아 아들을 본 것이다.

이 소문은 인근마을로 퍼져 나갔다. 그 뒤로부터 마을에는 낯선 여인들이 찾아와 종암을 안고 도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바로 아이를 낳지 못한 여인들이 아들을 낳을 것을 간절히 빌며 종암 주위를 돌면서, 우물 물을 마시고는 했다는 것이다.

지곡마을은 한옥이 즐비한 전통마을이다.

지곡마을은 한옥들이 즐비한 곳이다. 이 마을은 일두 정여창의 고택을 비롯한 많은 고택들이 자리를 하고 있다. 수령 500년이 된 처진 소나무와 종암. 아마 이 외에도 이 마을을 돌면 많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을 것만 같다. 등굽은 소나무는 마을을 향해 옛날 옛적 전설이라도 들려주려는 것인지. 마을을 향한 가지들이 사람들을 불러 모으려고 손짓을 하는 것만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