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팔달구 화서 2동 산 41번지 일원에는 수원시 향토유적 제15호인 숙지산 화성 채석장이 소재한다. 이 숙지산은 높지 않은 산이지만, 화성을 축성할 때 많은 돌을 이곳에서 채석을 했던 곳이다.

 

화서전철역 부근 구 연초제조창의 건너편 숙지산 여러 곳에 분포하고 있으며, 화성을 축조하기 위한 성돌의 채석이 이루어졌던 유적으로, 팔달산과 함께 중요한 성돌의 공급원이었던 곳이다. 이곳에서 채석을 한 돌은 수레를 이용하여, 화성의 축성 장소까지 돌을 운반하였다. 숙지산에는 채석 당시의 쐐기 자국이 여러 곳에 남아있다.

 

 

많은 화성의 돌을 떠낸 숙지산

 

숙지산 앞에 조성한 숙지공원에는 이곳이 화성을 축성 할 때 돌을 뜨던 곳임을 알리는 표지석이 하나 보인다.

 

돌 뜨던 터(=浮石所)라고 적어 놓았다. 이곳에서 돌을 떠서 화성의 축성 장소까지 옮겨갔는데, 그 명칭이 재미있다. ‘채석장(採石場)’이라고 하면 될 것을, 굳이 ‘부석소(浮石所)’라고 한 것은, 아마도 돌을 떠 옮기는 광경을 묘사한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 9월 21일 오후에 숙지산 채석장을 찾아가 보았다.

 

 

 

숙지공원에서 주차장 위로 오르는 길이 있다. 이곳에서 산길을 타고 오르다가 좌측 능선을 따라 오르다가 보면, 소나무 숲이 조성되어 있다. 수원은 어딜 가나 이런 소나무 숲이 유난히 많은 곳이다. 아마도 정조의 소나무길을 비롯해, 이렇게 소나무가 많은 것도 다 나름의 뜻이 있엇을 것이다.

 

소나무는 양지식물로 다른 나무들이 자라기 힘든 메마른 곳에서도,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자란다. 바위 틈새에서도 자라나는 소나무들을 볼 수 가 있는 것도, 이렇게 소나무의 자생력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나무는 사시사철 푸르른 색을 변하지 않으며, 강인한 인상을 주는 줄기 때문에, 대나무와 함께 변하지 않는 절개를 갖는다는 뜻으로 ‘송죽지절(松竹之節)’을 상징하거나 인품이 뛰어난 사람을 가르치는 ‘송교지수(松喬之壽)’라고 했다.

 

 덤불로 인해 접근조차 어려운 채석흔적

 

숙지산은 화성을 축성 할 때인 1794년 1월부터 1796년 9월까지 패석을 한 곳이다. 먼저 정으로 구멍을 파고, 그 구멍 안에 물푸레나무나 밤나무로 쐐기를 박는다. 그런 다음 나무에 물을 부어놓으면, 나무가 부풀어지는 힘으로 돌을 갈라놓는다. 현재 화성을 돌다가 보면, 이렇게 성돌을 뜰 때 사용한 흔적을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가 있다.

 

소나무 숲을 지나 동편으로 난 길을 가다가 보면, 그 좌측 아래에 돌을 뜬 흔적을 볼 수 있다. 이곳은 유난히 바위가 많았던 곳이었나 보다. 칼로 자른 듯 암벽이 절개가 되어있는 흔적이 여기저기 보인다. 그런데 사진촬영을 하려고 하니, 도대체 앞으로 다가설 수가 없다. 덤불과 쓰러진 나무들로 인해 접근하기가 수월하지 않다.

 

이번 숙지산 채석장 답사도 그렇고, 지난번에 찾아갔던 수원시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도 그랬다. 도대체 주변에 잡초와 여러 가지 불필요한 것들이 널브러져 있어. 문화재관리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 이렇게 방치하고 있는 것일까? 문화재란 그것이 국보거나 향토유적이거나 모두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이다.

 

 

이렇게 방치가 되어있는 문화유산들을 보면서 참으로 가슴이 아프다. 도대체 이렇게 관리를 하지 않고 있는 담당자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일까? 말만 하면 인력이 부족하다느니, 예산이 없다느니 하고 떠들어 댄다. 하지만 정말 우리고장의 문화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다면 한 번 찾아보기라도 했을 것이다. 말로만 떠들어대는 문화재 사랑. 그런 다중적인 마음 씀씀이로 인해,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은 오늘도 퇴락하고 깨어지고 있는 것이다.

‘화성 겉돌기’라고 하니, 사람들은 화성에서 빈둥거리고 노는 줄로만 아는가 보다. 하지만 말 그대로 화성의 겉(밖)을 돌아본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화성을 이야기할 때 주로 안으로 돌면서 이야기를 한다. 하지만 화성을 보다가 보면, 그 밖으로의 경치도 만만치 않게 아름답다. 또한 성이라는 축조물의 특성상 밖이 성이 되기 때문이다.

 

그저 성곽만 보이는 성벽을 끼고 도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 것이냐고 묻는다. 그렇지 않다. 성은 밖으로 돌면서 지형지물의 이용이나, 축성의 형태, 또는 주변 경관 등을 논하지 않고는 온전한 성을 이야기할 수가 없다. ‘화성 겉돌기’는 그래서 중요하다. 12회 정도로 나누어 돌아보는 화성 겉돌기를 하려는 이유이기도 하다.

 

 

채석의 흔적이 있는 화양루 밖

 

수원시 팔달구 교동 3-3에 소재한 수원중앙시립도서관을 마주보면서 우측으로 조그만 소로 길이 하나 보인다. 팔달산 지석묘군을 향해 오르는 길이다. 이 길 위에는 화성의 남쪽 능선을 지키는 용도가 있고, 그 끝에 서남각루인 화양루가 자리한다. 숲길을 따라 오르면 여기저기 지석묘군이 있다.

 

지방유형무형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지석묘군의 주변에는 바윗덩어리들이 널려있다. 바위에는 돌을 쪼아내기 위해 구멍을 파 놓은 것들이 보인다. 화성을 축성할 때 이곳에서도 성벽을 쌓을 돌을 채석한 것이다. 화양루를 향해 오르다가 보면 여기저기 널린 바위들의 면이 똑바로 절개된 것들이 보인다. 아마도 돌을 떼어낸 곳인 듯하다.

 

 

 

그리고 보면 이곳의 바위와 성을 쌓은 돌의 색깔이 비슷하다. 멀리까지 갈 것 없이 바로 그 밑에서 떼어난 돌로 성을 쌓았는가 보다. 화양루를 끼고 성의 서쪽을 향해 걷는다. 이 길로 성길을 따라가면 서장대를 지나 화서문을 향할 수가 있다.

 

밖에서 보는 서남암문 과연 절경일세

 

9월 4일 오후. 비는 더 세차게 퍼 붓는다. 가끔씩 바람도 불어 땀을 씻어주는 것은 좋은데, 우산이 자꾸만 뒤로 넘어가잔다. 그래도 천천히 걸음을 걸으면서 숲 냄새를 맡아본다. 비가 오는 날은 숲은 더욱 더 냄새가 강하다. 심호흡을 하면서 성 밖의 소나무들을 본다. 이리저리 구불거리며 제 멋대로 자랐다.

 

 

 

아마 역사의 진저리를 저리도 몸으로 표현을 한 것은 아닐까? 용도 서편의 담이 유난히 낮다. 지금이야 이곳에 길이 생겼으니 이리 낮지만, 과거에는 이곳 밖으로 급경사였으니 굳이 성벽이 높아야 할 이유도 없었을 것이다.

 

빗발이 점점 거세진다. 그저 아무렇게나 휘어진 소나무 숲에서 짙은 숲의 향이 코를 간질인다. 이런 분위기가 못내 좋아 이 길이 늘 정겹다. 조금 더 걸어본다. 새 한 마리가 비에 젖어 나무꼭대기에서 오글거리고 있다. 어찌 보면 저 새야말로 가장 행복한 모습일지도 모르겠다. 그저 날개를 툴툴 털고 가장 편안하게 날아오를 수가 있을 테니까.

 

 

 

내가 화성 겉돌기를 하는 까닭이지

 

성곽 보수를 하느라 아래 위를 다른 돌로 쌓아올린 곳을 지나치다 보면 옛 분위기 물씬 풍기는 치(성 벽으로 기어오르는 적을 뒤에서 공격할 수 있도록 성벽에서 돌출시켜 만든 구조물)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서삼치, 서쪽에 있는 치 중에서 세 번째 치라는 말이다. 화성을 안에서 돌던 때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받는다. 서삼치 앞에 늙은 노송 한 그루가 서 있다.

 

그 노송을 바라보고 있노라니, 먼 옛날 내가 이 자리에 있었을 것만 같은 생각이다. 저 나무는 그저 성벽을 타고 넘어 성 안으로 들어가고 싶었는지, 꽤나 키를 키우고 있다. 앞뒤로 보이는 서삼치의 풍광에서 첫 번째의 발길을 멈춘다. 그저 지나치기가 아쉽기 때문이다. 이런 풍광이 있어, 내가 화성 겉돌기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팔달산 고인돌길'. 생소한 이름일 것이다. 난 이 길의 이름을 이렇게 붙이고 싶다. 이 길은 지방유형문화재인 팔달산 ‘지석묘군’을 답사하기 위해 올라갔다가 우연히 붙인 이름이다. 그저 뒷짐을 지고 몇 바퀴를 돌기에 적당한 길이고, 아이들과 함께라면 자연과 문화를 벗 삼아 걸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도심에서 이런 길을 만난다는 것도, 알고 보면 행운이란 생각이다.

 

그저 혼자 40분 정도를 걷다가 여러 가지 이름을 생각해 냈다. 용도길, 화양루길 등 여러 가지 생각을 했지만, 그래도 제일 적당한 이름이 '팔달산 고인돌길'이란 생각이다. 이런 이름을 붙여놓고 혼자서 싱글거린다. 지나는 사람이 쳐다보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 그저 뒷짐을 지고 소나무 길을 걸어본다.

 

 

'팔달산 고인돌길', 이름 어때요?

 

나름대로 이렇게 이름을 붙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요즈음 조금만 경치가 좋아도 사람들은 길에 이름 붙이기를 좋아한다. 나야 길 전문가도 아니니, 구태여 길에 이름을 붙여야 할 이유는 없다. 하지만 아이들과 함께 걷기에 적당한 이 길을 그냥 지나친다면, 그래도 명색이 문화재를 소개하는 사람의 본이 바로서질 않는다는 생각이다.

 

수원 팔달산의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수원시립중앙도서관을 좌측에 놓고, 팔달산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9월 4일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작은 손 카메라 하나만을 주머니에 넣고 산을 오른다. 비가 내리는 날 숲으로 들어가면 숲의 향기가 온몸을 감싼다. 가끔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후두둑’ 소리를 낸다면, 그 또한 자연의 소리일진데 반갑지 않을 수가 없다.

 

 

팔달산으로 오르는 길이라고는 하지만, 구태여 산이라고 이름을 붙일 이유도 없을 듯한 경사이다. 조금만 숲길을 걸어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지석묘군.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지석묘를 비켜나면, 팔달산의 남쪽 능선을 따라 쌓은 화성의 용도 방향으로 오르게 된다.

 

그보다는 지석묘를 알 수 있는 이름이 좋다

 

이 길을 걸으면서 '용도길'이나 '화양루 길'이라고 생각을 한 것도, 이 길을 따라 오르다가 만나게 되는 화양루와 그 옆에 용도 곁을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성 안으로 걷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성의 이름을 붙이기보다는, 그저 '고인돌길'이란 명칭이 더 정감이 가기 때문이다.

   

 

지석묘군을 지나면 용도의 끝에 마련한 화양루가 보인다. 이 길은 온통 암반이다. 이곳의 돌들은 과거에 화성을 쌓기 위해 성돌을 채석하기도 했다고 한다. 바위를 잘 살펴보면 돌을 쪼아낸 흔적도 보이고, 성돌로 사용함직한 크기의 돌도 보인다. 그 바위와 소나무들이 어우러진 길 위에 화양루와 용도가 보인다.

 

소나무와 암반이 어우러진 길

 

용도의 성벽을 우측으로 두고 천천히 걷는다. 용도 안에서는 용도가 꽤 높이 쌓은 줄로 알았다. 그런데 막상 용도를 끼고 걸어보니, 이렇게 낮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에전에는 성벽 밑이 가파른 비탈이었을 텐데, 세월이 지나다보니 이렇게 길이 생겨났다. 조금 걷다보면 용도서치를 지나고, 잠시 후 서남암문 위에 올려 진 서남포사가 보인다.

 

 

서남포사를 지나 조금만 가면 밑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 돌아오는 길은 노송 숲이다. 비가 내리는 날 숲속에서 맡아보는 솔 향이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든다. 누군가 돌탑을 쌓아놓았다. 그리고 다시 만나게 되는 지석묘. 두어 바퀴를 더 돌았는데도 시간이 40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다. 여러 번 그 길을 반복해서 지나는 분에게 몇 바퀴나 도느냐고 물었다. 그저 걷고 싶은 대로 걷는단다.

 

 

'걷고 싶은 대로 걷는 길'. 그것이 바로 팔달산 고인돌길의 멋이다. 제법 빗줄기가 굵어졌다. 이렇게 아름다운 길이 있을 수 있나? 괜히 그 길에 취해 멈춰 선다. 저만큼 비에 젖은 새 한 마리가 가지에 외롭게 앉아있다. 그 또한 자연이란 생각이다. 바위와 소나무가 적당히 어우러지고, 화성을 손으로 느껴가면서 걸을 수 있는 길. 아이들과 함께 걸어도 부담이 되지 않는 이런 길이 나는 좋다.

사람들은 마애불에 무엇을 빌었을까? 아마도 자식을 낳게 해달라고도 했을 테고, 누구는 꼭 아들을 낳게 해달라고도 했을 것이다. 또 어떤 이는 돈을 많이 벌게 해달라고도 했을 테고, 이웃집 아주머니는 서방님에 대한 간절함도 빌었을 것이다. 한 마을에서 그렇게 오래도록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마애불이 있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소재한 수원박물관에 들러 기획특별전을 보고 나오다가 보니 박물관 마당에 석조물들이 보인다. 이것저것을 돌아보면서 일일이 촬영을 하다 보니, 박물관 입구 쪽에 전각이 있다. 그리고 그 안에 바위가 있는데 마애불인 듯하다. 몇 시간을 산으로 올라가야 하는 마애불을 촬영하기 위해서도 가는데, 평지에서 마애불을 만나다니 이게 웬 횡재인가?

 

 

일석에 조성된 특이한 삼존불

 

수원박물관 경내에 자리한 마애불은, 현재 수원시 향토유적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고려 중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이 삼존마애불은, 가운데 약사여래좌상을 두고 양편에 협시불을 조성했다. 일석에 삼존상을 조성하였는데, 중앙에 본존인 약사불은 연화대좌위에 좌상으로 새겨져 있고, 양쪽에는 협시상은 입상으로 조각하였다.

 

본존의 높이는 120cm 정도로 두광을 조성하고, 육계가 평평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의 흔적이 보인다. 목에는 삼도를 조각하였으나 많이 마모가 되었다. 법의는 통견으로 표현을 하고 있다. 양편에 조각한 협시상은 입상으로, 높이가 100cm 정도이다. 흔히 동자상이 민머리인데 비해 이들 협시상은 머리에 관을 쓰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아마도 동자가 아닌 보살상으로 조성을 한 듯하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양편의 협시보살상은 바로 월광보살과 일광보살을 의미하는 듯하다. 이것은 약사여래가 주야로 쉬지 않고 중생을 돌본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양편 보살상의 법의는 통견이며, 수인은 미숙한 조각수법을 보이고 있다. 원래 이 마애불은 화서동 숙지산의 동쪽에 자리한, 동래 정씨들의 세거지 아래쪽에 자리하던 것을 2008년에 이전하여, 10월 1일 수원박물관의 개관일에 맞추어 일반인들에게 선을 보였다.

 

마을에서 기자신앙의 대상물로 섬겨

 

중앙에 새겨진 약사여래상. 약사불은 중생의 질병을 구완하는 부처이다. 동래 정씨들의 집안 부녀자들이 매달 초하루가 되면, 이 약사불에 와서 빌었다고 한다. 마을에는 아들이 없어 애를 태우던 사람이, 이 마애삼존불에 빌어 삼형제를 나았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그래서 이 약사불은 득남에 영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 마을에서 전해지는 설화를 뒷받침하는 것이 바로 중앙에 조성한 약사여래좌상이다. 본존불은 결가부좌를 하고 앉아 있는데, 몸에 비해 머리가 크게 조성이 되어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늘어져 있으며, 법의에서 보이는 옷 주름 등의 처리도 미숙하다.

 

일반적인 마애불과는 차이가 있어

 

이 약사여래마애좌상은 연화대 밑에 축대를 상징한 듯한 조각이 보인다. 양편에 서 있는 협시상의 발밑에도 역시 같은 처리가 되어있다. 크고 작은 돌을 이용해 축대를 쌓은 듯한 형상이다. 우측 손은 무릎위에 놓고, 좌측 손은 가슴께로 끌어올려 안으로 향하고, 우측 손은 무릎 위에 놓고 있다.

 

 

이 삼존불은 전체적으로 비례가 맞지 않고 있으며, 얕은 부조로 조성을 하였다. 그런데 이 약사여래좌상의 얼굴을 가만히 들여다보니, 누군가 코를 다 파낸 듯하다. 기자속에 부처의 코를 깎아다가 먹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속설이 있다. 아마도 누군가 아들의 점지를 간절히 원하여 이 동래정씨 집성촌에 서 있던 마애불의 코를 깎아낸 것이나 아닌지. 결국 부처님의 코와 아들하고 맞바꾸었다는 이야기이다.

 

오래도록 동래 정씨들이 섬겨왔다는 마애불. 그동안 얼마나 많은 아이들을 점지 한 것일까? 조금은 미숙한 조각이지만, 그 마음이 한없이 따듯하다. 이웃에서 편하게 만날 수 있는 그런 동네아저씨와 같은 편안한 상 때문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