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판을 들여다보면 참 현실적이란 생각을 하게 된다. 사람들은 흔히 굿이라는 것을 그저 무당들이 돈을 벌기 위해 하는 것쯤으로 생각을 한다. 그러다보니 자연 세상에서 색안경을 끼고 보는 무당들에 대한 선입견이 달라지게 된 것. 하지만 그 속을 잘 알고 보면 전혀 그렇지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굿은 총체예술이다. 예술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예술작품이다. 굿 안에는 음악, , 소리, 미술, 거기다가 연극적인 희극적 요소까지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굿을 하는 무당은 한 마디로 일인극의 대가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한 예술적으로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무당이다.

 

 

조상을 천도시키는 지노귀굿

 

흔히 지노귀굿혹은 진오기굿이라 부르는 굿이 있다. 돌아가신 분을 극락왕생을 위한 굿이다. 이 굿은 망자가 세상을 떠난 지 49일 안에 하면 진진오기라고 하고, 49일이 지나거나 탈상을 했으면 묵은진오기라고 부른다. 절차상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조상을 천도시킨다는 뜻은 달라지지 않는다.

 

지노귀굿을 할 때는 먼저 안굿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굿의 절차가 먼저 진행이 된다. 그러고 나서 조상을 천도시키는 말미가 이어지는 것이다. 먼저 안굿의 절차를 행하는데, 주당물림, 부정청배, 가망청배, 불사거리, 산거리, 조상거리, 대안주, 성주, 창부, 안당뒷전으로 진행을 한다.

 

 

그리고 지노귀굿으로 이어지는데, 지노귀부정으로 시작해, 뜬대왕, 사제삼성, 말미, 도령, 상식, 길닦기(베가르기), 뒷영실, 시왕군웅, 뒷전 등으로 이어진다. 묵은지노귀굿은 조상들을 모두 청배해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굿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굿보다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산 사람을 위한 이승굿과, 조상을 천도시키는 저승굿으로 구분을 하기 때문이다.

 

해학의 극치 사제삼성

 

지노귀굿에서는 상차림이 다르다. 기본적은 굿상 외에 도령을 돌 때 필요한 조상상과 문밖에 사자상이 차려진다. 사자상 주변에는 망자의 유품과 함께 사자들의 상도 함께 차려진다. 이 말미에서 나타나는 굿거리 제차 중 가장 뛰어난 해학적 요소를 갖는 것이 바로 사제삼성이다. 사제삼성은 한 마디로 저승사자놀이이다.

 

굿판에 온 저승사자는 어떻게 해서든지 망자의 혼을 잡아가려고 올가미를 던지며 난리를 핀다. 머리에는 베로 꼬아 만든 끈을 질끈 동이고, 손에는 역시 베로 만든 올가미를 들었다. 사자상에 있는 음식을 게걸스럽게 먹기도 하면서, 혼을 잡아가겠다고 으름장을 놓는다.

 

~ 여보 내가 망자를 모시고 가려고 이렇게 왔소.”예 고이 잘 모셔가세요

그런데 망자를 등에 업고 가야하는데 거꾸로 업고가야 망자가 좋아하겠지

아니 무슨 말씀을 그렇게 하세요. 똑바로 업고 가셔야지저승부터 그 먼 길을 망자를 모시고 가려고 왔는데 여비는 주어야지

 

 

손에 들고 있는 북어 한 마리를 망자라고 하면서 발로 밟는 시늉을 하거나 때리는 시늉을 하면, 굿을 하는 제가집 사람들의 마음이 편할 리가 없다. 여비를 달라고 하면 주는 수밖에. 그렇게 실랑이를 하다가 사자가 끝으로 말을 한다.

 

내가 이렇게 여비도 두둑하게 받았으니 망자를 잘 모셔 가리다. 그 먼 저승길을 가다가 망자가 배가 고프다고 하면 국수도 사 먹이고, 목이 마르다고 하면 시원한 막걸리도 사 드리면서 잘 모시고 갈 테니 걱정하지 마시오. 난 가오.”

 

속이 후련해지는 걸판진 굿판

 

그렇게 북어 한 마리를 등에 업은 후에 베 끈으로 잘 묶어 빠트리지 않게 하고 사자가 굿상을 벗어난다. 이러한 사자놀이는 압권이다. 망자를 빼앗기지 않으려고 지키는 사람들과 빼앗으려는 사자의 실랑이. 그리고 사자가 한마디씩 툭툭 던지면서 하는 이야기 등. 그 자체가 하나의 무대에 올린다고 해도 빠지지 않을 만큼 훌륭하단 생각이다.

 

 

18일 수원에서 열린 지노귀굿 현장. 오전 10시부터 시작한 굿은 오후 5시가 다 되어서 끝이 났다. 예전 같으면 더 오랜 시간을 했겠지만, 요즈음은 주변에서 항의가 들어와 오랜 시간은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총체예술인 굿판. 그리고 그 굿을 하는 사람들. 굿판에 모인 무격들과 악사, 그리고 제가 집과 일행. 모두가 속이 후련해지는 한 판이었다.

 

속이 다 후련하네요. 늘 마음속에 앙금처럼 깔려 있었는데, 이젠 편하게 조상님을 보내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굿을 의뢰한 제가 집의 말이다. 굿은 그래서 한단다. 굿판에서 조상을 만나 모든 것을 다 풀어버릴 수 있기 때문에. 그리고 마음을 졸이며 저승사자와 한 판 승부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머리에 베로 꼰 띠를 두르고, 무복(巫服)의 자락을 휘감아 한 편에 질끈 동인 저승사자가 지노귀굿의 상 중앙에 놓인 망자의 넋을 상징하는 종이로 만든 ‘넋전’을 가리키며 하는 말이다. 사제삼성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집가심굿과 지노귀굿에 나오는 세 명의 저승사자를 일컫는 말이다.

 

7월 21일(일) 밤이 이슥하다. 초저녁부터 시작한 굿이 이미 밤 10시를 넘겼다. 오산 원동 마등산 자락에 소재한 한 굿당에서는 망자의 혼을 천도시킨다는 지노귀굿이 펼쳐졌다. 이 굿판에는 무격(巫覡. 남자무당과 여자무당을 함께 이르는 말) 5명과 악사 2명이 자리를 하고 있다. 그리고 제가집(굿을 의뢰한 망자의 가족)에선 가족들과 지인들 30여 명이 참석을 했다.

 

 

망자를 위로하고 달래는 지노귀굿

 

지노귀굿이란 죽은 망자를 천도시키는 굿을 말한다. 지노귀란 ‘진혼(鎭魂)’의 의식을 말하는 것으로, 그 굿을 하는 시기나 형태에 따라 명칭이나 굿의 제차 등이 달라진다. 예전에는 사람이 세상을 떠나면 3년 동안 상청(喪廳)을 마련하였기 때문에, 3년 안에 하는 지노귀굿은 모두 ‘진지노귀굿’이라 하였다.

 

3년이 지난 다음에 망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서 하는 굿은 ‘묵은 지노귀굿’이라 하고, 3년 만에 상청을 치우면서 하는 굿을 ‘탈상굿’이라고 하였다. 이 외에도 사람이 살아있을 대 미리 지노귀굿을 하면 ‘산지노귀굿’이라 하고, 죽을 수에 있는 사람의 명을 연장하기 위한 ‘헛장굿’ 등도 모두 지노귀굿에 포함을 시킨다.

 

 

큰머리 얹고 바리공주 무가를 구송해

 

저녁 무렵부터 모여들기 시작한 망자의 지인들로 인해 주변 주차장은 차가 가득하다. 굿당 안에 잘 차려진 굿상이며, 상 뒤편으로는 저승십대왕을 의미하는 글을 적은 번이 걸려있다. 그저 보기만 해도 이 굿이 무슨 굿인가를 알 수 있는 분위기이다. 망자의 가족들이야 당연히 참석을 하겠지만, 선, 후배들을 포함해 30여 명이 넘는 인원이 모였으니 굿당 안이 시끌벅적해 질 수 밖에.

 

굿은 굿판에 모여든 모든 사람들과 굿청의 부정을 가시는 의식으로 시작이 되었다. 주무(主巫)인 승경숙 만신과 보조를 하는 어린 무녀(巫女)들도 부산하게 움직인다. 굿이 한창 무르익을 때쯤 바리공주 무가를 구송하는 ‘말미’의식으로 들어갔다. 작은 상위에 쌀을 붓고 한지로 덮어 놓는다. 그리고 바리공주 무가를 장구를 치면서 구송하기 시작한다.

 

머리위에는 바리공주를 상징하는 큰머리를 올리고, 근 한 시간 가까이 진행이 되는 무의식 제차에 사람들이 지쳐갈 만도 하련만, 이런 진지노귀굿을 처음으로 접한다는 사람들은 자리를 떠날 줄을 모른다. 아마도 이런 굿판에 와서 망자와의 평소에 친분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슬픈 굿에서의 반전, 해학이 가득한 사자놀음

 

지노귀굿은 망자의 가족들이 마지막으로 망자를 떠나보내는 의식이기 때문에 울음바다가 된다. 가족뿐만 아니라 굿청에 모인 모든 사람들이 숙연해 질 수 밖에 없는 것이 바로 이 굿이다. 하지만 지노귀굿에서도 반전이 있다. 슬픔만 간직하고 돌아간다면 오히려 마음에 더 큰 아픔을 안고 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 반전이 이루어지는 굿 제차가 바로 ‘사제삼성’이다. 이 거리에는 저승사자로 굿을 진행하는 무당이 변한다. 머리에는 베를 꼬아 띠를 만들아 두르고, 심지어는 얼굴에 칠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굿청 앞에 놓인 사자상에 가서 차린 것이 없다고 푸념을 하면서 아무것이나 주어먹는다.

 

 

이때 제가집이나 지인들은 굿상 앞에 일렬로 도열을 한다. 바로 사자가 굿상 위에 놓인 망자를 상징하는, 종이로 만든 ‘넋전’을 들고 가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 넋전을 빼앗기면 망자의 혼령을 빼앗긴다고 하여, 사자가 굿상 앞에 다가서지 못하도록 몸으로 사자를 막아야 한다. 이 대목이 바로 반전이다.

 

입에는 큰 떡을 물어 마치 혓바닥처럼 늘이고, 눈을 이상하게 만들어 굿상으로 덤벼드는 사자를 보고 제가집의 가족들도 웃음을 참지 못한다. 굿상 앞을 막아선 15명 정도의 망자의 지인들은, 사자가 상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막느라 정신이 없다. 이곳저곳을 찔러보고 밀어보고. 심지어는 입에 문 떡까지 줄 테니 비키라고 한다. 반전도 이런 반전이 없다. 우리 굿만이 갖고 있는 해학이다.

 

 

망자의 가족들까지도 웃길 수 있는 굿판. 울리고 웃기고, 그래서 우리 굿은 좋은 것이다. 말미에 이어 망자의 상을 도는 ‘도령’과 베를 갈라 망자의 저승으로 가는 길을 열어주는 ‘길 가르기’, 그리고 저승길에 가시밭길을 무사히 넘기는 ‘가시문 넘기기’까지로 굿은 끝났다. 22일 새벽 1시. 길고 긴 지노귀굿이 끝나고 가족들과 지인들은 다 돌아갔다.

 

마지막으로 남은 것은 무격들뿐이다. 굿청에 모인다는 뭇 잡귀들을 다 풀어먹여 보낸다는 뒷전까지 마친 시간이 새벽 1시 30분. 이때쯤이면 누구나 다 지치게 된다. 하물며 몇 시간을 뛴 사람들이야 오죽하랴. 그래도 모두가 ‘속 시원하다’며 돌아갔으니, 아마도 이 망자 좋은 곳으로 가지 않았을까?

 

“다음 생에는 절대 이런 슬픈 자리에서 만나지 말고, 이승에 맺힌 한 훌훌 털고 돌아가시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