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고속도로 남안동 나들목을 나와 안동 쪽으로 가는 큰길을 벗어나, 마을 안으로 난 작은 길로 접어들면 우측에 우뚝 선 전탑이 보인다. 보물 제57호 안동 조탑리 오층 전탑이다.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에 소재한 이 전탑은 통일신라 때의 작품이다.

 

조탑리 전탑은 안동 동부동의 전탑과 같은 양식으로 축조가 되었다. 탑은 흙으로 쌓은 기단 위에, 화강석으로 몸돌을 만들었다. 탑의 높이는 8,65m이고, 기단의 너비는 7m이다. 남면에는 감실을 내었고, 감실 양 편에는 인왕상을 조각하였다. 인왕상은 아직도 힘이 넘치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조각 기법이 뛰어나다. 천년 세월을 이 인왕상이 전탑을 지킨 것인지도 모른다.

 

돌과 벽돌로 쌓은 희귀한 전탑

 

1층 지붕돌부터는 한 변이 27cm에 두께가 5,5cm가 되는 벽돌을 사용하여, 어긋나게 쌓아올렸다. 몸돌은 1층의 높이에 비해, 2층부터는 급격히 줄어든다. 탑의 상륜부는 모두 없어졌으나, 보존 상태는 깨끗하다. 다만 조선시대에 수리를 거치고, 1917년 이후 여러 차례 보수를 거치는 동안, 원형을 많이 잃어버렸다고 한다.

 

 

전탑들은 일반 석탑에 비해 벽돌을 하나하나 쌓아 올려야 하기 때문에, 더 많은 공을 들였을 것 같다. 국보 제16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안동 신세동 칠층 전탑을 보더라도, 그 탑을 세우기 위한 공이 대단했음을 알 수 있다. 밭 가운데 쓸쓸하게 서 있는 이 전탑을 보면서 우리의 문화재들이 참 수난을 많이 당했음을 느낀다.

 

이곳을 찾았을 때 누군가 주변에 똑 같은 크기의 고무 통에 연꽃을 수도 없이 심어놓았다. 커다란 불심이라도 작용을 했던 것일까? 아니면 쓸쓸히 서 있는 보물인 탑이 너무 한적해 보였기 때문인가.

 

 

 

뛰어난 전돌 쌓기로 조성한 탑

 

이 조탑리 전탑은 통일신라시대의 탑으로, 화강암 석재와 벽돌을 혼용해서 만든 특이한 탑이다. 1층의 몸돌은 화강암을 이용했으며, 위로는 전돌을 사용한 탑이다. 우리나라 전탑에는 거의 모두 화강암을 혼용하고 있으나, 이 전탑에서는 그러한 의도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타나 있다.

 

기단은 흙을 다져 마련하고 그 위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화강석으로 6~7단을 쌓아 1층 몸돌을 이루게 하였다. 남면에는 감실을 파서 그 좌우에 인왕상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1층 지붕부터는 벽돌로 쌓았는데 세울 당시의 것으로 보이는 문양이 있는 벽돌이 남아 있다.

 

2층 이상의 탑신에는 2층과 4층 몸돌 남쪽 면에 형식적인 감실이 표현되어 있고, 지붕돌에는 안동에 있는 다른 전탑과는 달리 기와가 없다. 한 마디로 조탑리 5층 전탑은 일반적인 전탑의 형태와는 다른, 특이한 형태로 조성을 해 눈길을 끈다.

 

아무리 열변을 토하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 문화재를 사랑하고 보존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세상 모든 것이 그러하듯 우리 문화재 역시 남다른 관심을 가져주지 않으면 온전히 보존할 수가 없다. 안동 조탑리 오층 전탑 주변에 놓인 고무 통 속에 연꽃이 만개를 할 때 다시 찾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5월 6일 일요일에 ‘삼사순례’에 나섰다. 아침 6시에 집을 나서 7시에 오대산 상원사, 월정사를 거쳐 여주 신륵사까지 돌아보는 일정이다. 하루 만에 세 곳을 돌아온다는 것이 결코 만만한 여정이 아니다. 그래도 많은 문화재를 만날 수 있는 절집 들이라는 것에 가슴이 벅차다.

 

마지막으로 들린 여주 신륵사. 남한강가에 자리한 신륵사를 예전에는 ‘벽절’이라고 불렀다. 봉미산 신륵사를 벽절이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신륵사 동편 바위 위에, 벽돌로 만든 다층전탑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다층전탑은 보물 제226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석탑보다 높이 쌓은 전탑

 

벽돌로 만든 탑의 경우 그 높이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석탑의 경우보다 전탑은 그 높이를 높이 세우는데, 이것은 벽돌을 쌓아 층을 올리기 높이를 높이는데 있어 수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높이가 9.4m나 되는 이 전탑은 돌로 만든 기단위에 여러 층의 벽돌을 쌓아올려 만들었다. 탑의 높이도 높지만 남한강 가 암벽 위에 자리하고 있어, 그 높이가 더 높은 듯 장중해 보인다. 화강암을 다듬어 쌓은 7단의 기단 위에 여러 단의 벽돌을 쌓아 탑신부를 만들었다. 유일하게 남아있는 고려시대 전탑이기 때문에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손꼽힌다.

 

 

 

이 전탑은 얼핏 보기에도 신라시대 전탑보다는 섬세하지 못한 듯 보인다. 신라시대에 조성된 전탑들은 틈새가 거의 나타나지 읺는다. 그리고 벽돌을 촘촘히 박아 벽돌로만 쌓았는데 비해서, 이 전탑은 벽돌과 벽돌 사이를 띄워 그 사이를 점토로 채워놓는 방법을 택했다.

 

신륵사 다층전탑의 건립 시기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 그 전탑의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 것으로 보이며, 탑 북쪽에 있는 수리비 내용에 의해 이 탑을 조선조 영조 2년인 1726년에 고쳐지었음을 알 수 있다.

 

 

 

올 봄에 문화재를 만나보자

 

봄은 여행의 계절이다. 그것은 날이 덥지도 춥지도 않고, 그저 걸음을 걷기에 가장 적합한 날씨 때문이다. 어디를 가나 새로운 것들을 만날 수가 있다. 들판에 연두빛으로 물을 들인 아름다운 나무들이 사람의 눈길을 잡고 놓아주지를 않는다. 그런 새로움을 느끼면서 답사를 하다가보면, 어느새 하루가 지난다. 그만큼 봄은 여행을 하는 사람들에게도 피곤을 덜 느끼게 만든다.

 

수많은 문화재들을 만나는 즐거움. 그리고 풍요롭고 아름다운 경관. 그런 것들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가을은 역시 여행에는 제철이다. 이러한 계절에 그저 편한 복장으로 훌적 차에 올라 길을 나서면, 어디를 가나 기다리고 있는 문화재들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 문화재에 얽힌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 그래서 가을은 이야기들이 더 풍요로운가 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