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인 이목대와 오목대는 전주시 완산구 교동 산1-3번지에 소재한다. 교동 한옥마을의 동편 언덕 위에 자리한 이 이목대는 조선 태조의 5대조인 목조(穆祖) 이안사의 출생지로 전하여 오는 곳이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 공 이후 목조에 이르기까지 누대에 걸쳐 이곳에서 살았으나, 목조대에 이르러 관원과의 불화로 함경도로 이사하게 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이러한 이목대에는 사실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운 이성계와는 땔 수 없는 많은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이목대에서 밑으로 즐비하게 지붕을 맞대 잇고 있는 한옥촌들도, 그러한 이성계의 뜻을 정하는데 일조를 했을 것이란 생각이다.

 

‘풍운가’에 건국의 뜻을 담아

 

이목대는 잘 지어진 정자로 언덕 위에 서 있다. 이목대의 누각에 오르면 밑으로 전주한옥마을의 지붕들이 펼쳐진다. 그 또한 멋스럽다. 정자 안에는 두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그 중 하나에는 '대풍가'라고 하여서 '풍운 속을 일어섰다. 위세천하에 떨치고 고향에 돌아오니 모두 수그려 우러러 맞네'라고 적혀있다.

 

이는 오목대가 이성계가 고려의 3도순찰사로 있을 당시 군사를 이끌고, 고려 우왕 6년인 1380년 금강으로 침입한 왜구가 퇴로를 찾아 남원으로 내려오자, 장군이 이들을 맞아 운봉싸움에서 대승을 거두고 돌아오는 길에 오목대에서 개선 잔치를 베풀었다고 전하는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한 시문으로 보인다.

 

 

 

오목대는 누각 안에 고종황제의 친필로 썼다는 '태조고황제주필유지(太祖高皇帝駐필遺址)'라는 비석이 서있다. 이 비석은 고종황제에 의하여 광무 4년인 1900년에 건립된 것이다. 한옥마을을 돌아보고 나무로 만든 계단을 올라 찾아간 오목대. 비문을 촬영하려고 안으로 들어가니 경보가 울린다.

 

황당한 문화재 보호, 볼 수 있도록 해주어야

 

문화재를 답사하는 사람들이 안을 들어가 비문을 볼 수 없다고 하면, 그 친필을 확인조차 할 수 없는데, 그저 밖에서만 보라는 것인지. 요즈음 문화재를 과잉보호 하는 것을 보면 가끔은 짜증이 나기도 한다. 필요에 의해서 그것을 보려고 하면 복잡한 주문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문화재들이 이렇게 보지도 못하고 촬영도 못하게 한다. 시간을 내고 많은 경비를 들여가면서 하는 문화재 현장답사. 이런 일이 한 두 번이 아니다. 그래서 가끔은 막무가내로 촬영을 하다가 다투기도 한다. 보호를 한다고 무조건 막을 것이 아니라, 좀 더 노력을 하여 사람들이 충분히 보고 그 가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으면 좋을 듯하다.

 

이목대 누각 위에서 내려다본 한옥마을의 지붕들이 머리를 맞대고 이어져 있어 더욱 이곳이 아름답다. 긴 세월 이 근동은 전주이씨들의 터전이었다. 아마도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가 이곳에서 깊은 뜻을 정한 것은 아니었을까? 밑으로 보이는 한옥마을에는 많은 사람들이 길을 누비고 즐거움을 느끼고 있지만, 정작 이 이목대에서 600여 년 전 무슨 일이 있었는가를 알고는 있을까? 바람 한 점이 땀을 씻어간다.

 

사람들은 저마다 찾는 것이 있다. 같은 곳에 같이 가서 사진을 찍어도, 저마다 나름대로의 마음에 맞는 것을 선택한다. 물론 좋은 것을 찍으려는 마음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보면 내가 유별난 것인지도 모른다. 난 어디를 가나 꼭 열심히 찍는 것이 있다. 바로 담벼락이다. 그리고 집안을 기웃거리며 장독대를 찍다가 가끔 경을 치기도 한다.

날이 아침부터 꾸무럭하다. 바람도 선선한 것이 엉덩이가 들썩거려 못 견디겠다. 팔이 아프다는 핑계로 한 사흘 가만히 있었더니, 병이 도졌는가보다. 얼른 카메라를 둘러메고 한옥마을로 향했다, 초입서부터 내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역시 오기를 잘했다는 생각이다. 오늘(2010, 9, 9) 전주 한옥마을에서 내가 만난 담벼락들이다. 담벼락을 만나는 전주 한옥마을의 길, 가을철에 어슬렁거리며 걷기 딱 좋은 길이다.


담벼락이 늘어선 길을 어슬렁거리다.

담벼락이 늘어선 길을 어슬렁거리며 걷고 있노라면, 마음이 텅 비어버리는 것만 같다. 주욱~ 늘어선 담벼락이 마치 시간을 초월해버린 것만 같기 때문이다. 집집마다 변하는 담벼락을 만나면서 이것은 누구네 집, 저것은 누구네 집을 꼽아본다. 손가락이 열개인데 그 손가락을 몇번이고 접었다 폈다를 반복해도, 담장은 끝없이 이어진다. 그래서 이길이 좋다.



  
난 늘 이 담장을 좋아하면서 살았다. 그것은 이 담장 하나가 그리도 포근하게 어린 나를 감싸고 있던 기억 때문이다. 어릴 적 말썽을 피우다가 정말 눈물이 날만큼 혼이나고, 방에서 강제로 추방을 당했던 기억이 있다. 밖에는 눈이 내리고 바람이 불었는데, 속옷 바람으로 밖으로 나왔으니 얼마나 추울 것인가? 아마 그 때는 지금보다 훨씬 추웠던 것만 같다.

그렇다고 우리 가족이 어린이를 학대하는 사람들로 오해는 하지 말기를 바란다. 그 당시에는 누구나 그런 경험이 다 있을 테니까. 그때 담벼락 위에 삐죽 얼굴을 내민 기왓장이 눈을 막아주고, 담장은 한 겨울의 거센 바람을 막아주었다. 그 담장 밑이 왜 그리도 포근하든지.

황토와 기와의 만남, 그 자체가 예술이네




황토와 기와, 그리고 돌이 만나면 찰떡궁합이다. 적어도 내가 보기에는 그렇다. 그것이 담장이 아니었어도 이렇게 궁합이 들어맞았을까? 천천히 걷는 한옥마을 길에는 이런 찰떡궁합이 늘어서 있다. 그래서 연인들이 전주 한옥마을 길을 걸으면, 잘 헤어지지 않는다는 믿지 못할 소문도 있다고 한다. 이런 소문이 헛소문이라도 좋고, 지금 내가 지어낸 소문이라도 좋다. 그저 좋다면 좋은 것이겠지 하는 생각만으로도, 기분 좋은 일이니까.


돌담 또한 운치가 있다. 돌을 그대로 척척 쌓아올리고 그 위를 기와를 얹어놓았다. 참 담벼락이란 것이 묘하기는 하다. 어떻게 만들어 놓던지, 그 모습이 그곳과 어울리기 때문이다. 왜 그래야만 하는지는 모르겠다. 하지만 그 담벼락이 거기에 있어야 하기 때문은 아닐까? 사람이 언제나 자신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있어야 하듯 말이다.



사람들도 그렇다. 다 같은 사람이 아니라고 한다. 사람에 따라 격이 있다고도 한다. 누구는 부자고, 누구는 가난하다. 누구는 잘났고, 누구는 못났다. 누구는 똑똑하고, 누구는 멍청하다. 누구는 착하고, 누구는 나쁘다. 이렇게 누구는 타령을 하다가 보면 석 삼일을 밤낮으로 해보아도 다 못할 것만 같다.

그런데 담벼락은 그런 것이 없다. 그저 담벼락일 뿐이다. 그 담벼락이 돈을 많이 들여서 조성을 했건, 아니면 그저 집에 있는 진흙덩이 조금에 이웃집에 있는 버린 기와 몇 장을 얻어다가 했건 그냥 담벼락일 뿐이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사람보다도 훨씬 좋단 생각이다.



담벼락 길을 따라 어슬렁거리다가 발견한 두 곳의 담벼락. 하나는 돌담 위에 수세미가 열려 나뭇가지로 기어오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고, 하나는 언제나 거기 붙어 있었다는 듯 그렇게 담벼락에 붙어있는 도판담장이다. 이렇게 볼 것이 많은 길을 걸으면서, 왜 우리는 이런 것에 인색하게 굴까? 그것은 바로 소통을 할 수 있는 마음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오늘 전주 한옥마을을 어슬렁거리며 글 소재 하나는 괜찮은 것으로 얻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