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우리는 각처에서 열리는 많은 행사를 보면서 지역적 특성이 강한 우리 것이 너무나 홀대를 받는 것은 아닌가 염려가 되기도 한다. 우리의 문화는 백리부동풍(百里不同風)’이라고 하여서 그 지역마다 각기 다른 풍속과 문화예술을 지니고 있다. 즉 살아가는 방법과 주위환경, 그리고 역사적, 시대적 배경을 민속 창출의 요인으로 삼아 각 처마다 다른 형태의 풍속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하기에 우리는 적어도 한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살던 사람들이 딴 곳으로 이주를 하면, 3대 정도를 지나야 그 곳의 풍습을 익히고 그 지역의 토착 풍속과 동화된다고 한다. 그 예로 판소리의 경우 전라도 사람의 성음이 틀리고, 경상도 사람의 성음이 틀리다. 또한 경기도 사람의 성음이 달라 각기 그 지역 나름의 창제(唱制)를 갖고 있다는 것이 보편적인 견해이다.

 

각 지역마다 환경에 따른 문화가 창출돼

 

풍물을 보더라도 기 지역에 따라 각기 처해진 바대로 다른 음악성향을 띠우고 있어 우리는 웃다리농악, 호남좌도농악, 우도농악, 삼천포농악(영남) 등 지역의 다른 색을 보이고 있는 농악을 볼 수가 있다. 춤 또한 지역적으로 각기 특색 있는 춤의 형태가 있고,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사람들의 태가 다르다고 표현을 하는 것도 그러한 이유이다.

 

그러나 요즈음 우리는 문화를 지켜가야 할 사람들의 문화를 망치는 행위를 보거나, 우리 것인지 남의 것인지, 우리 지역 것인지 남의 마을 것인지, 있었는지 만들어졌는지. 구분도 되지 않는 그러한 것들을 너무나 흔히 접할 수가 있다. 전통예술은 그 지역에서 함께 그 행위를 하고 살아가던 사람들의 정서가 그 안에 송두리째 담겨있는 것이기에 더욱 소중하다고 볼 수있다.

 

 

그런대도 일부 사람들에 의해서 지역의 정서가 사라진 전통예술이 마치 그 지역에 오랫동안 뿌리내리고 있었거나, 혹은 전혀 다른 정서인데도 불구하고 그 지역의 것으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수 없이 오랜 시간동안 그 지역에 전해지면서 자연적이고 순차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그 지역민의 정서를 내포하고 있는 아름다운 전통예술이야말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닐까?

 

지역적 특성이 사라진 전통은 자긍심을 죽이는 행위

 

그러나 우리의 정서도 없고, 그 지역적 사고도 없는 예술은 이미 전통이 아니다. 더욱 그런 것들 - 지역적 정서도 없고, 특성도 없으며, 현대적 냄새가 나는 그러한 것들 - 은 더 이상은 우리가 방관을 해서도 안 된다는 생각이다. 그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없애고 민족적 자긍심을 죽이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런 행위는 어찌 보면 매국적 행위라고 볼수도 있다. 민족적 자긍심을 죽이는 행위는 그 자체가 바로 망국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미 일제에 의해서 문화말살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수 없이 많은 전통문화예술이 훼파되고, 얼마 남지 않은 부분을 지켜가기 위해 애를 쓰고 있는 이즈음의 현실이다.

 

 

이제는 스스로에게 묻기를 원한다. 관리를 하는 행정부서의 담당자는 우리 것에 대해서 얼마나 애착을 갖고 있으며, 얼마나 많은 공부를 했는지. 문화를 지켜가야 할 당사자들은 그 지역적 사고를 지닌 예술적 행위를 하고 있으며, 양심을 속이는 일은 없는지. 타 지역의 정서를 갖고 있으면서도 가장 그 지역사람인체 하고, 나 몰라라 하는 행위는 하지 않고 있는지.

 

전통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전통인체 가면을 쓰고 있지는 않은지. 우리 것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으면서도 우리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우리 것인 양 탈을 쓰지는 않았는지. 스스로에게 묻고 스스로 답을 내리시길 바란다. 그리고 더 이상은 우리의 정서가 내포되어 있지 않고, 지역의 특성이 없는 그러한 국적불명, 지역불명의 문화를 내세우는 행위는 삼가 하기를 바란다. 그 길만이 스스로가 이 나라 사람임을 자랑스러워 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경기안택굿은 경기도 지방 중 한수 이남에 전승이 되는 굿이다. 경기도의 경우 한수 이남은 전통적인 경기굿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한수 이북은 이북굿과 습합이 된 형태로 나타난다. 경기도의 굿은 크게 구분을 해 세습 화랭이들이 주관하는 도당굿, 강신무들의 굿인 안택굿이 있다.

 

안택굿은 말 그대로 가내의 안과태평을 기원하는 굿이다. 도당굿이 예술성에 치중했다고 하면, 안택굿은 신성과 예술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소리도 도당굿이 판소리처럼 소리를 하는 판배개 창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 안택굿은 경기민요를 닮은 소리로 흥이 넘친다. 안택굿을 영위하는 강신무들은 기본적으로 춤과 소리를 익혀야만 제대로 된 굿을 할 수가 있다.

 

 

영험은 신령이 주지만 재주는 배워야 한다.’

 

흔히 굿판에서 옛 구 만신들이 하는 소리이다. 내림을 받고나면 점을 보거나 하는 일들은 신령이 하지만, 굿은 신령이 하는 것이 아니다. 무격(巫覡) 스스로가 신령을 상징하는 의대를 입고 소리를 하고 춤을 춘다. 등걸 잠방이에 쾌자 하나를 걸치고 하는 도당굿과는 달리, 안택굿은 거리마다 신을 상징하는 무복을 착용하게 된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경기지역의 무의식을 그린 무당성주기도도차서에 보면 경기지방에서 나타나는 굿의 제차가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는데, 그 순서를 보면 지금의 경기안택굿과 다름이 없다. 이런 점으로 볼 때 현재 경기안택굿의 전승은 이미 조선조 때부터 꾸준히 이 지역에서 전승이 되어 온 굿거리 제차임을 알 수 있다.

 

경기도 안택굿의 절차를 제대로 다 배우고자 하면 아마도 10년은 족히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저는 할머니 때부터 고모, 신어머니를 거쳐 4대 째 경기안택굿을 배우면서도 소리와 춤을 따로 학습을 하는 등 모든 것을 배웠습니다. 예전 큰 만신들을 따라 다니면서 굿거리를 배울 때는 정말 식모나 종과 다름이 없었죠.”

 

 

수원시 팔달구 지동 271-124에 거주하는 고성주(, 60)는 벌써 신내림을 받은 지가 43년이나 되었다. 그동안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봄, 가을로 단골들을 위하는 진적굿을 해왔으며, 경기안택굿의 보전, 전승을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20년 넘게 전승에 땀을 흘려

 

고성주의 뿌리는 이천군 대월면 송라리이다. 그곳에서 조모가 당지기를 하면서 굿을 했다. 그리고 고모는 팔달산 화성 성곽 옆에 거주하면서 수원과 송라리를 다니면서 굿을 해주었다. 13일 오후에 송라리를 찾아보았다. 마을회관에서 만난 마을 어르신들 중 고성주의 가계에 대해서 알고 있는 분들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다행히 마을에서 고모를 직접 본 사람들도 있고, 그 내력에 대해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4(친족으로 3)를 이어오면서 경기안택굿의 전승에 땀을 흘리고 있다는 것. 13일 오후 지동 고성주의 집 지하연습실에서는 5명의 문하생들이 경기안택굿의 학습에 열중을 하고 있다. 무가연습, 거성(굿 의식 중 춤사위), 거기다가 실전을 익히는 도구 사용 법등을 고성주의 가르침으로 학습을 하고 있었다.

 

 

경기안택굿은 정말 흥겹습니다. 그만큼 소리와 춤에 기본기가 닦여져 있어야 배울 수 있습니다. 아무리 오래 배운다고 해도 기본기가 없으면 제대로 된 굿을 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요즘 사람들은 그렇게 지루한 학습을 배우려고 하질 않습니다. 남들은 돈을 싸들고 공부를 한다고 하는데, 그냥 가르쳐준다고 해도 제대로 배우지를 못하고 있으니 안타까운 일이죠.”

 

일주일에 2, 하루에 3시간씩을 공부를 한다고 해서 실력이 부쩍 느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곳에서 학습을 하고난 후 굿판에서 실연을 할 수 있도록 한단다. 그러면 몰라보게 나아진 것을 느낀다는 것. 화성 축성 때부터 수원 팔달문 인근 장시로 모여 든 많은 대만신들. 그들의 흥겨움이 넘치는 굿거리 한 판을 제대로 이어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