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후 3시 44분 휴대폰으로 문자를 한통 받았다. 완주군 관내의 교장선생님이 보낸 문자였다. 문자의 내용은 ‘완주 이서초 1학년 1반 김지영 백혈병 투병 중. 수술비용 1억원. 동생하고 골수가 맞아 다행’이라는 내용과 통장번호가 적힌 문자였다.

전북 완주군 이서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김지영(1학년) 어린이의 안타까운 사연이 전해지지 전국적으로 지영 어린이를 돕겠다는 사람들의 성원이 답지하고 있다. 지영 어린이는 지난 10월 중순경에 전북대 병원에서 비장에 두 배로 부었다는 진단을 받은 후 병원 측의 권고로 서울 상모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어제 오후 완주군의 한 초등학교 교장선생님이 보낸 문자

현재 서을 성모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지영 어린이는, 정밀 검사결과 10월 29일 백혈병으로 최종진단을 받았다. 현재 지영 어린이는 부모님은 이혼을 하고, 할머니와 함께 어린 동생과 함께 살고 있는 입장이다. 6가지의 골수검사 결과 동생 건희(6세. 유치원)의 골수이식이 가능하다고 하나, 입원 및 수술비용이 1억원이 넘는다고 한다.

‘사랑의 내 친구 살리기’ 운동 펼쳐

지영이의 소식이 전해지자 이서초등학교 학생들과 학부모들은 발 벗고 나서 지영이를 돕는 ‘사랑의 내 친구 살리기 운동’에 나섰다. 지역은 물론 전국적으로 지영이를 돕는 손길들이 줄을 잇고 있다.

전주지검은 지난 26일 오후 지영 어린이가 다니고 있는 전북 완주 이서초등학교를 찾아, 전 직원들이 모은 성금 440여만 원을 전달했다. 정동민 검사장과 정의식 차장검사를 비롯해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성금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익명을 한 학부형은 이서초등학교를 찾아와 지영 어린이의 치료비에 보태라며 100만원이라는 돈을 전달했다.

네티즌들도 지영 어린이를 돕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또한 지역의 각 기관은 물론 복지단체와 교육기관 등에서도 지영 어린이를 돕기 위한 모금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 달 26일까지 1,400여만 원의 성금이 모였다.

지영이를 살리기 위한 노력들

이제 지영 어린이를 돕자는 운동은 전국적으로 빠르게 확산이 되고 있다. 지역은 물론 네티즌들까지 발을 벗고 나선 입장이다. 어려운 생활을 하는 지영 어린이의 소식이 전해지자, 너도 나도 작은 돈이나마 돕겠다는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할머니와 함께 어려운 생활을 하면서도 웃음을 잃지 않고 살아온 김지영 어린이가 하루 속히 완쾌하기를 간구한다.
 
연락처: 이서초등학교 교무실(221-2988)
통장: 농협 351 - 0269 - 9841 - 93 예금주: 이서초등학교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산 1 - 1에는 <소리문화의 전당>이 있다. 소리문화의 전당 뒤편 숲은 전북대학교의 학술림이다. 이곳은 더위를 피해 찾아드는 사람들로 여름이면 사람들이 찾아들어 꽃을 피운다.

이 학술림은 1964년 3월 5일 지정이 되었으며, 면적은 총 138,19ha이다. 전주시 덕진동, 송천동, 금암동, 인후동 일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요 수종으로는 느티나무, 단풍나무, 상수리, 편백, 히말라야시다 등이 자라고 있다.


한 여름 최고의 피서지 편백나무 숲

소리문화의 전당을 뒤로하고 숲길로 접어들었다. 흙길을 밟으며 조금 걸어가니 삼거리에 이정표가 보인다. 장덕사 860m, 대지마을 430m, 오송제 360m 라는 푯말이 보인다. 운동을 하느라 숲길을 걷는 분들에게 길을 물어 편백나무 숲으로 향했다. 오송제(오송지)라 쓴 푯말을 따라 조금 걸어가니 사람들이 숲속에 앉아 더위를 피하고 있다. 편백나무 숲이다.



한 여름에도 더위를 느낄 수 없는 편백나무 숲

이곳은 하늘 높게 자라고 있는 편백나무가 빼곡 들어차 있다. 여기저기 사람들이 앉아 담소를 나누고 있고, 숲 안쪽에는 누구인가 텐트를 쳐 놓았다. 한편에는 자리를 펴고 책을 읽는 모습도 보인다. 다람쥐 한 마리가 사람들도 두려워하지 않고 뛰어다닌다. 길을 바꿔 작은 소로로 접어들었다. 풀 냄새가 싱그럽다. 발에 밟히는 땅의 감촉이 좋다. 맨발을 벗고 땅을 밟으니 축축하게 물기를 머금고 있다. 고운 흙이 발가락 사이를 비집고 올라온다.


음산한 플라타너스나무 숲

흙이 고운 길을 걸어 숲길을 벗어나니 차가 다니는 큰 도로가 나온다. 건너편을 보니 플라타너스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길을 건너 플라타너스나무 숲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영 기분이 안 좋다. 시내에 있던 가로수를 딴 수종으로 교체하면서 이곳으로 플라타너스나무들을 옮겨왔다고 한다. 촘촘히 심어 놓은 나무들은 성한 것이 별로 없다.

그 중에는 죽어 썩어진 것들도 있고, 아랫부분만 남기고 뭉텅 잘라진 것들도 있다. 거기다가 나무들을 너무 가깝게 심다보니, 가지들이 옆으로 뻗지를 못하고 위로만 자라났다. 한 마디로 음산한 풍경이다. 아마 비라도 추적거리고 내리는 날이면 아무도 이곳을 들어오지 않을 것만 같다. 동행을 한 분이 한 마디 하신다.


음산한 분위가가 나 대낮에도 사람들이 피하는 플라타너스 숲

“이 곳은 정말 기분 나빠요. 대낮에도 무엇인가가 자꾸 뒤를 따라오는 것 같아서요” 그럴 만하다. 어떻게 나무를 이렇게 만들어 놓았을까? 그래도 한 때는 전주시의 가로수 길을 시원하게 그늘을 만들었던 나무인데.

온갖 수종을 느끼면서 걸을 수 있는 길

숲을 한 바퀴 돌아 원점으로 돌아왔다. 대지마을 쪽으로 돌아와 반대편인 장덕사 방향으로 길을 잡았다. 더위에 이미 몸은 땀으로 흠뻑 젖었지만, 숲속의 향에 취해, 그런 것은 잊은 지가 오래이다. 편백나무 숲이 앉아 쉬는 사람들이 많다면, 이 길은 걷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다. 작은 꽃들이 여기저기 피어 지나는 사람들의 눈길을 끌어 다닌다.




걷다가 보니 하늘이 보이지 않는 컴컴한 숲길이 나타나기도 한다. 길은 어디나 있다. 숲길 역시 마찬가지이다. 어디나 펼쳐진 숲길은 나름 제멋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숲길은 늘 신선하다. 소리의 전당 뒤편 전북대학교 학술림. 1시간여를 땀을 흘리며 돌아본 길. 다양한 모습으로 다가오는 전주 소리의 전당 주변의 숲길에는 참 많은 이야기꺼리를 만들어준다. 그래서 길을 걷는 것이지만.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