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나 누각이라고 해서 꼭 경치 좋은 계곡이나 바닷가, 혹은 강가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전에는 절마다 누각을 지어 그곳에서 강론을 펴기도 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법을 알려주는 장소로 사용을 하기도 했다. 전국의 사찰에는 이러한 누각이 상당히 많이 보존이 되어 있다.

내가 그 중에서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백암산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인 백양사 경내에 있는 쌍계루를 좋아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쌍계루는 고려 충정왕 2년인 1350년에 ‘교루(橋樓)’라고 하여 최초로 지어졌다.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보아, 아마도 당시에는 다리 위에 지어졌던 것으로 추정한다.


물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누각

지금도 쌍계루 앞에는 물이 고인 곳이 있고, 그 물은 계곡에서 흘러드는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다. 그 뒤 고려 공민왕 19년인 1370년 폭으로 인해서 교루가 부서졌다. 고려 우왕 3년인 1377년에는 파손된 교루를 청수스님이 중수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정도전이 ‘백암산정토사교루기’를 지었다.


백양사 들어가는 길. 절을 찾아 가는 길부터 마음이 편안해진다.

고려 우왕 7년인 1381년에는 목은 이색이 교루의 이름을 쌍계루라 하고 ‘백암산정토사쌍계루기’를 지었다. 1980년에는 쌍계루가 복원이 되었는데, 그 후 몇 차례 중수를 하였다.



백암산을 뒤로 한 쌍계루와 쌍계루 현판

지금 시를 써 달라 청하는 백암사 스님을 만나니
붓을 잡고 생각에 잠겨도 능히 읊지 못해 재주 없음이 부끄럽구나.
청수스님이 누각을 세우니 이름이 더욱 중후하고
목은선생이 기문을 지으니 그 가치가 도리어 빛나도다.
노을빛 아득하니 저무는 산이 붉고
달빛이 흘러 돌아 가을 물이 맑구나.
오랫동안 인간 세상에서 시달렸는데
어느 날 옷을 떨치고 그대와 함께 올라보리.

포은 정몽주가 당시 이곳에 머물면서 청수스님의 권유로 지은 시이다. 여기서 백암사는 지금의 백양사를 말하는 것이며, ‘옷을 떨친다’는 말은 관복을 벗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몽주는 결국 이 시를 남겨놓고 선죽교에서 한 많은 세상을 떠났으니, 그 혼이라도 이곳에 들렸을 것만 같다.


최근 새로 보수를 한 쌍계루. 전체적인 보수를 마쳐 옛 모습을 되찾았다.

쌍계루 전각에 올라 보다.

쌍계루, 말 그대로 두 개의 물줄기가 있는 곳에 서 있는 누각이라는 소리일 것이다. 아마 백암산에서 흘러드는 물줄기가 이 쌍계루를 휘감아 도는 것은 아니었을까? 처음 교루라 이름을 붙인 것도, 후일 이색이 쌍계루라 이름을 붙인 것도 물과 연관이 지어지는 이름이다. 지금도 쌍계루 앞에는 고여 있는 물속에서 물고기들이 한가롭게 유영을 즐기고 있다.



쌍계루 위 누각에는 포은 정몽주의 시를 비롯해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이층 누각을 오르면 수많은 편액들이 걸려있다. 그 중 정몽주의 시판에 눈에 띤다. 아직도 이곳을 그리고 있지는 않을까? 그런 생각들을 하면서 주변을 돌아보는데, 낯선 작은 새 한 마리가 날아와 난간에 머문다. 혹시 포은 선생의 넋이 저리 새가되어 쌍계루를 찾은 것이나 아닌지. 오랜만에 찾은 쌍계루는 그렇게 말없이 지난 역사만을 알려주고 있다.

난간에 앉아 쉬는 작은 새 한 마리. 포은 선생의 방문은 아니었을까? 

 

전남 순천시 낙안면 상송리 산2-1에 소재한 현 금둔사. 금둔사 일주문을 들어서 경내를 향하다가 보면 우측 산 절개지에 보물 제946호인 순천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이 자리하고 있다. <동국여지승람>금전산에 금둔사(金芚寺)가 있다고 하여 이곳으로 추정하고 있다. 승주군 낙안면 금전산의 서쪽에 있는 절터에 삼층석탑과 함께 있다.

 

낙안면은 백제시대에 분차 또는 분사군이었으며, 통일신라 제35대 경덕왕 때는 분령군이라 불렀다. 고려 때에 들어서 낙안 또는 양악으로 칭하여 나주에 속해 있으면서, 1172년인 고려 명종 2년 에 감무를 두고 그 후에 지주사가 되어 군으로 승격되었다.

 

1515년인 조선조 중종 10년에는 고을에 불륜한 일이 일어나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575년인 선조 8년에 복구되어 낙안군이라 하였다. 1908년인 융희 2년에 낙안군이 폐지됨에 따라 읍내면이라 칭하여 순천군에 편입되었다. 그 후 191441일 군면 폐합에 따라 내서면 20개리와 동상면의 교촌, 이동일부와 보성군 고상면의 지동리 일부를 병합하여 낙안면이라 칭했다.

 

 

비석의 형태로 조형한 통일신라의 석불입상

 

이 석불입상은 지붕 모양의 보개와 대좌를 갖추고 있다. 직사각형의 평평한 돌 한쪽 면에 불상을 조각하여, 마치 거대한 비석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민머리의 정수리 부분에는 낮은 상투 모양의 머리인 육계가 솟아있고 얼굴은 원만한 형태이다. 신체는 우아하게 굴곡이 있어 부피감이 느껴지며 단아해 보인다.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의 양 어깨에 걸쳐 입은 법의에는 평행의 옷주름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다. 양 손은 가슴 위로 올려 양 손의 엄지와 검지의 끝을 맞대어 설법하는 모양을 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다소 엄숙해진 인상, 투박한 옷자락 등의 표현은 9세기 현실적인 사실주의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귀중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불상의 뒷면에 글이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이나 마멸이 심해서 읽어내기 어려운 상태이다. 뒷면의 윗부분에는 보살상을, 아랫부분에는 코끼리상을 조각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보개는 탑의 지붕에 해당하는 옥개석과 모습이 비슷하다. 대좌에는 아래로 향한 연꽃잎과 위로 향한 연꽃잎이 새겨져 있다.

 

 

삼층석탑과 함께 조형된 석불입상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은 앞에 자리하고 있는 삼층석탑과 동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처음 이 금둔사지 석조불비상을 만났을 때 참으로 신기했었다. 마치 넓적한 돌을 한 면을 깎아내어 조형을 한 석불입상이 비석에 새긴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돋을새김으로 조각을 한 솜씨로 보아 뛰어난 기능을 가진 장인의 솜씨였을 것으로 보인다.

 

위에 올린 넓적한 보개는 탑의 옥개석과 마찬가지로 사방의 끝이 약간 치켜 올라가 있어 처음에는 딴 곳의 탑의 지붕돌을 올려놓은 것으로 알았을 정도이다. 보개석 밑면 역시 탑위에 올리는 지붕돌과 같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석불을 새긴 돌과 맞물리는 곳을 보면, 이 보개석이 석불입상 위에 조형한 것임을 알 수가 있다.

 

손의 표현이며 법의의 옷주름, 그리고 법의 밑으로 약간 삐져나온 듯한 발가락 등이 뛰어난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원으로 조성한 대좌는 아랫기단과 위기단이 맞물려 연꽃잎이 서로 반대로 향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형태의 조형이 상당히 수준작임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석불입상에서 보기 힘든 석조불비상. 다음에 금둔사지를 찾으면 더 자세한 형태를 살펴보고 싶다.

전남 담양군 월산면 용흥리 574에 소재한 용흥사. 용구산에 자리한 용흥사는 서기 384년인 백제 침류왕 1년에 인도승 마라타 존자가 초암을 지어, 5차에 걸쳐 중창과 복원은 한 사찰이다. 용흥사는 임진왜란 때 전소가 된 것을, 일옥 진묵대사의 발원으로 응중, 쌍인, 혜증대사가 20여 년 간의 대 역사로 48동을 중창하였다.

 

용흥사는 영조의 생모인 최숙빈이 이곳에서 기도를 하여 영조가 탄생하였다고도 한다. 영조가 즉위를 한 후에는 일체의 세금을 감해주고, 원래의 이름인 몽성사를 임금과 나라를 위한다는 뜻인 용흥사로 사명을 바꾸었다고 한다.

 

 

용흥사는 한일합방 직전 48동이 거의 전소되다시피 한 것을, 모정선사가 1930년부터 10여 년에 걸쳐 11동을 복원하였으나, 19501229일 불행하게도 아군에 의해 완전히 전소가 되었다.

 

외로움을 느끼는 절 용흥사

 

순창, 담양군의 문화재 답사를 하던 날 용흥사에 들렸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보니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가 외롭게 서 있다. 아마도 한때는 이 일대에도 많은 전각들이 서 있었을 것이다. 계단으로 오르니 전각들이 보인다. 대웅전을 향하다가 좌측을 보니 작은 전각 하나가 서 있다.

 

 

한 평 남짓하게 지어진 산신각이다. 옆에는 커다란 고목 한 그루가 산신각에 드는 햇볕을 가리고 있다. 저리도 혼자 서 있는 산신각을 동무하느라, 그렇게 비바람을 막아주고 있는가보다. 왜 이 절은 이렇게 외로움을 느끼게 만드는 것일까? 과거 그 화려했던 호남제일의 가람이었다는 곳이다. 그런데 몇 동 안 되는 전각들이 듬성듬성 자리했기 때문에, 외로움을 느끼게 하는 것인지.

 

용뉴에는 힘찬 네 마리의 용이

 

대웅전 한편에 자리하고 있는 동종. 보물 제1555호로 지정이 된 이 종은, ‘순치원년명 동종으로 불린다. 그것은 이 종을 만든 연대가 순치 원년인 1644년이기 때문이다. 높이가 102인 이 종은 조선시대 주종장 김용암이 주가 되어, 인조 22년인 1644년에 주성한 종이라고 명문이 새겨져 있다.

 

 

종은 규모도 비교적 클 뿐만 아니라, 비례감과 조형성이 뛰어나다. 종을 붙들고 있는 용뉴는 일반적인 범종들이 쌍룡으로 조형을 하는데 비해, 활력이 넘치는 네 마리의 용을 채용하였으며 음관을 생략한 특이함을 보이고 있다. 종신에 시문된 각종 문양의 표현도 범상치가 않다. 종신에는 인동당초문, 보살상 등이 새겨져 있다.

 

범종은 중앙 윗부분에 4개의 유곽이 있으며, 유곽 내에는 각각 9개의 유두를 표출하였다. 유곽사이로는 전후좌우로 두광을 선각한 보살상을 정교하게 새겼으며, 상대에는 두 줄의 가로줄에 범자를 양각하였다. 그 중에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字大明王眞言)’이라 명문 한 글씨가 보인다.

 

 

종의 밑면에는 굵은 두 줄의 가로줄을 두고, 그 안에 두 마리의 용을 양각하였다. 뛰어난 용의 모습은 3개의 발톱과 입에서 불을 내뿜는 불꽃무늬를 조성하였다. 몸체 중앙부에는 형의 4각 선곽을 조식하고 그 안에 순치원년 사월일 창평현 용구산 용구사 신주종기(順治元年 四月日 昌平縣 龍龜山 龍龜寺 新鑄鐘記)……라는 명문이 표기되어 있다.

 

하나의 종을 만들면서도 이렇게 정성을 다한 선인들. 그 마음을 읽어내지 못하고, 우리 것에 대해 지독히도 무관심한 사람들. 아마도 이곳 용흥사가 이렇게 외롭다는 느낌이 드는 것도, 그러한 선인들의 예술혼을 미처 깨닫지 못한 후손에 대한 서운함인가 보다. 뒤돌아 나오는 발길이 무거운 것도, 나 역시 그런 부류에 지나지 않는다는 죄스런 마음이 들어서이다.

전남 벌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벌교의 유명한 참꼬막의 맛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줄을 잇고 찾아오기 때문이다. 벌교에 도착한 시간은 해가 지기 전이다. 해가 길어서 조금 늦게 가도 언제나 대낮이다. 요즈음 답사는 절로 신이 난다. 하루 해가 길다가 보니, 겨울철 보다 두 배는 더 다일 수 있기 때문이다. 벌교에 도착하자마자 먼저 홍교로 달려갔다.

 

홍교보다 ‘횡갯다리’가 더 좋아

 

홍교라는 말보다는 ‘횡갯다리’라는 말이 더 정겹다. 우리 문화재의 명칭이나 부분을 설명할 때 거의가 어려운 한문으로 되어있다. 아이들이나 한문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읽어보기에는 난해하다. 각 지역에서 부르는 우리말을 사용하면 더 친근감이 들고, 오히려 귀중한 것임을 알리는데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지명인 벌교(筏橋)라는 말은 '뗏목다리'라는 뜻이다. 벌교읍 벌교리 벌교천에 놓인 다리를 말한다. 예전에는 이 벌교천 위에 뗏목다리를 놓아 통행을 했기 때문에 벌교라는 지명도 그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뗏목을 연결해 만든 다리를 말하는 '벌교'라는 보통명사가 고유명사로 바뀐 유일한 곳이 바로 벌교라는 것이다.

 

월천공덕으로 지어진 다리

 

홍교는 무지개다리를 말한다. 무지개다리란 아치형으로 만든 다리를 말하는데, 벌교 홍교는 세 칸으로 축조된 다리이다. 다리의 길이는 총 27m 정도이며 높이는 3m, 폭은 4.5m 정도이다. 이 다리는 조선 영조 5년인 1729년에 순천 선암사의 초안과 습성 두 선사가 만들었다고 전한다.

 

 

 

'월천공덕'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깊은 내에 다리를 놓아 사람들에게 편의를 주는 것이다. 사람이 할 수 있는 공덕 중 하나이기도 한 월천공덕. 선암사의 두 선사는 비가 많이 오면 물이 불어 사람들이 건너지 못하는 벌교천에, 횡갯다리를 놓아 언제나 사람들이 건널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회심곡의 사설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선심하마 발원하고 진세 간에 나가더니 무슨 선심 하였느냐 바른대로 아뢰어라

늙은이를 공경하며 형우제공 우애하고 부화부순 화목하며

붕우유신 인도하여 선심공덕 하마더니 무슨 공덕 하였느냐

배고픈 이 밥을 주어 기사구제 하였느냐 헐벗은 이 옷을 주어 구난선심 하였느냐

좋은 터에 원을 지어 행인구제 하였느냐 깊은 물에 다리 놓아 월천공덕 하였느냐

목마른 이 물을 주어 급수공덕 하였느냐 병든 사람 약을 주어 활인공덕 하였느냐

높은 뫼에 불당 지어 중생공덕 하였느냐 좋은 터에 원두 놓아 만인 해갈하였느냐

 

 

다리 옆에 중수비군이 서있어

 

벌교 홍교는 현재 보물 제30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다리는 영조 13년인 1737년과 헌종 10년인 1844년에 중수를 하였다. 홍교 곁에는 다리를 중수할 때마다 세워놓은 중수비가 있다. 홍교는 '단교(斷橋)'라고도 했다. 이는 비가 많이 오면 다리가 끊어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홍교 옆에 있는 5기의 중수비에도 단교라고 적혀있다.

 

이 중수비는 마모가 심해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가 힘들다. 중수비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1737년, 1844년, 1899년에 보수를 한 것이 파악이 되었다. 현재의 홍교는 1981 ~ 1984년에 걸쳐 보수하여 원형을 찾은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홍교 곁에 붙여 건축한 또 다른 다리다. 그 다리로 인해 자칫 보물인 홍교의 가치를 잃을 것만 같다. 괜한 우려인지는 몰라도. 차라리 홍교는 그 상태로 놓아두고 조금 떨어진 곳에 다리를 가설했다면 더 좋았을 것을. 아니면 홍교 곁에 뗏목다리를 놓아, 홍교의 옛 모습을 재현했다면 하는 바람이다.

 

 

 

벌교의 명물인 보물 횡갯다리. 다리 밑으로 들어가면 천정에 붙은 용머리가 보인다. 얼핏 말머리 같기도 한 이 용머리는 물을 내려다보고 있다. 물이 많이 불어나지나 않을까 지켜보고 있는 듯하다. 월천공덕으로 놓아졌다는 이 다리에서 초안, 습성 두 선사의 마음을 읽는다. 잠시나마 부처가 된 마음으로.

사진 한 장만 갖고도 그 정자의 아름다움을 알아 볼 수가 있다. 그저 주변 경치로만도 이 정자는 예사 정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정자를 만난다는 것은 즐거움이다. 그리고 그런 즐거움을 안겨 준 정자의 기억은 잊히지가 않는다.

 

아름다운 경치를 볼 수 있는 곳에 자리 잡은 수많은 정자들. 정자를 답사하다가 보면 참으로 아름다운 정자들이 많다. 어느 정자인들 산천경계를 중요시하지 않았을까? 그만큼 자연과 하나가 되어 있는 정자들은, 바로 스스로 자연이 된다. 그 중에서도 잊히지 않는 정자가 있다. 중요민속문화재 제162호 열화정(悅話亭)은 전남 보성군 득량면 오봉리 강골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정자 하나로도 집의 역할을 감당해 내

 

열화정은 조선 현종 11년인 1845년에 이재 이진만 선생이 후진 양성을 위해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이곳에서 이재의 손자인 원암 이방회가 당대의 석학 영재 이건창 등과 학문을 논하는 등 많은 선비들이 수학하였다고 한다. 열화정은 이 지방 선비들의 정신적 구심점 역할을 했는데, 구한말 때 일제에 항거해 싸웠던 이관회, 이양래, 이웅래 등 기개 높은 의인 열사를 배출한 곳이기도 하다.

 

열화정은 소박한 구조의 건물은 주변의 정원시설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해가 설핏 넘어가기 전에 바쁜 걸음으로 찾아간 열화정. 돌계단을 올라 열화정을 바라보는 순간, 숨이 탁 막힌다. 전국을 다니면서 수많은 정자를 보아왔지만, 이렇게 운치 있는 정자는 처음이다. 아마도 이런 정자 하나를 만나기 위해, 그 긴 시간을 거리에 있었나 보다.

 

단골 영화촬영지인 열화정

 

크지도 않고, 마을의 뒤편에 소박하게 자리하고 있는 열화정. 누각으로 한편을 지어 그곳에는 연정(蓮亭)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봄이 되면 정자 앞에 작은 연못에 연꽃이라도 피어나는가? 연정인 누각의 앞쪽에는 작은 연못이 있어, 이곳에 연꽃이 많이 피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연못의 한편에는 물이 차면 빠져나가 정자 앞의 작은 계곡으로 물이 흐르도록 만들었다.

 

정자를 한 바퀴 돌아본다. 보면 볼수록 참으로 단아하다. 한편은 벽을 안으로 넣어, 방에 군불을 지피는 사람이 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사소한 것 하나에서도 지은이의 아랫사람들을 배려하는 마음이 엿보인다.

 

정자의 마당에는 여기저기 오래 묵은 꽃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뒤편으로는 울창한 산림과 대밭이 있어 운치를 더하고 있다. 상상을 해보아도 열화정이 지니고 있는 멋스러움을 알 것 같다. 사계절 그 모습이 다 달라질 것 같은 모습에서 더욱 더 찬사를 아낄 수가 없다. 영화 <서편제>와 <태백산맥>, 김대승 감독의 <혈의 누> 등에 이곳 열화정이 보인다. 열화정은 그만큼 자연 그대로를 보여주는 아름다움을 지켜가고 있다. 봄철 연꽃이 작은 연못을 아름답게 수놓는 날, 이곳을 다시 한 번 찾아보아야겠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