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길 94-129번지에 소재한 실상사. 지리산 청왕봉을 마주하고 있는 실상사는 신라 말 교학보다 참선을 중시한 선종의 여러 종파가 전국에 절을 세울 때 그 중 한 곳이다. 실상사는 정유재란 때인 1597년에 전소가 된 것을, 조선 숙종 때 전각 36동을 새로 지었으나, 고종 때 화재를 당해 다시 불탄 것을 일부 복구하였다.

 

실상사는 훌륭한 스님들을 많이 배출하여 한국 선불교의 위상을 높인 절이다. 경내에는 부속암자인 백장암의 삼층석탑을 비롯해 보물 등 많은 문화재가 남아있어, 이 절의 역사적 의의와 픔격을 말해준다. 경내에 소재한 보물 제37호인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한 탑이다. 이 동 서 탑은 실상사의 중심법당인 보광전 앞뜰에 동·서로 세워져 있다.

 

문화재의 보고 실상사

 

실상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인 828년에 홍척이 창건하였으며, 풍수지리설에 의거하여 이곳에 절을 세우지 않으면 우리나라의 정기가 일본으로 건너간다 하여 지은 것이라고 전한다. 이곳 실상사에는 3층 석탑 이외에도, 국보 제10인 백장암 삼층석탑, 보물 제33호인 수철화상 능가보월탑과 제34호인 탑비도 자리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보물 제35호인 실상사 석등과 제36호인 부도, 보물 제38호인 증각대사 응료탑과 제39호인 탑비, 제40호인 백장암 석등, 제41호인 철조여래좌상, 보물 제420호인 청동은입사향로와 제421호인 약수암 목조탱화, 중요민속문화재 제15호인 석장승 등 그야말로 문화재의 보고라 아니할 수 없다.

 

실상사에서 지리산을 바라보면, 천왕봉을 중심으로 산자락이 병풍처럼 둘러쳐 있다. 지리산에서 발원한 반선계곡의 맑은 물이 흘러, 속세의 모든 번뇌를 씻어줄 것만 같은 절집이다. 넓지 않은 경내를 돌아보면, 곳곳에 남아있는 선조들의 예혼이 깃들어 있는 곳이다.

 

 

상륜부가 완전한 상태로 남아있는 석탑

 

실상사의 동, 서 탑은 2층으로 된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으로, 동서 두 탑 모두 탑의 머리장식이 거의 완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희귀한 예이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이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어져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각 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인 우주가 새겨져 있고 중앙에는 탱주가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처마 밑이 수평이며 밑면의 받침은 4단이고,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는데 그 정도가 부드러우면서도 경쾌하다. 신라시대의 탑 중에서도 아름다운 선을 자랑하고 있는 탑이다. 특히 탑의 머리장식은 원래대로 잘 보존되어 각 장식부재들이 차례대로 올려져 있다. 이 탑은 통일신라말 실상사를 처음 창건할 때 함께 조성한 탑으로 보인다. 높이 5.4m의 이 동서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이다. 이와 같이 두 탑은 규모나 양식이 같아서 동시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대작은 아니지만 돌의 구성이 정돈되어 있는 통일신라 후기의 뛰어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쌍탑 중 동탑의 상륜부에는 찰주를 중심으로 노반,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수연, 용차, 보주가 모두 있으나, 서탑은 수연이 없어졌다. 아름다운 탑은 보는 것만으로도 황홀해진다. 벌써 1200년 가까운 세월을 한 자리에서 오롯이 역사의 흐름을 지켜보았을 실상사 동서탑. 그 탑이 있어 실상사가 그리워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전북 남원시 산내면 입석리에 소재한 실상사는, 통일신라 흥덕왕 3년인 828년에 처음으로 창건을 한 절이다. 지리산 천왕봉의 서쪽 분지에 있는 실상사는, 이미 그 역사가 1,200년 가까이 된 고찰이다. 실상사는 홍척스님이 선종 9산의 하나로 실상산문을 열면서 창건하였다. 실상사에는 옛 실상산문답게 많은 문화재가 전하고 있다.

이 가운데 보물 제35호인 석등은 실상사 보광전 앞뜰에 세워져 있다. 석등은 불을 밝히는 등으로 장명등이라고도 부르며, 불을 밝히는 화사석과 화사석을 받치는 받침돌, 그리고 화사석을 덮는 지붕돌로 구분을 한다. 그런데 이 실상사 석등은 팔각기둥의 전형적인 간주석과는 달리, 장구의 형태인 고복형 간주석을 지닌 석등이다.

보물 제35호 실상사 석등

받침돌의 고복형 간주석, 석조미가 일품

실상사 석등은 불을 밝히는 화사석 밑으로 3단의 받침을 쌓고 있다. 받침부분은 모두 3단으로 구성을 했는데, 아래받침돌과 위덮개돌에는 8장의 꽃잎을 대칭적으로 새겼다. 아래받침돌과 위덮개돌의 귀퉁이에 조각한 귀꽃이 색다른 석등이다. 지대석은 밑에 팔각의 넓은 돌을 놓고 그 위에 안상을 새긴 팔각의 돌을 올려놓았다.

지대석 위에는 아래받침돌을 놓았는데, 귀꽃 위로는 두 장의 커다란 앙련을 조각하였다. 중간 받침돌은 일반적인 팔각형이 아닌, 장고통과 같은 형태로 둥글게 조각한 간주석을 놓아 특이하다. 간주석에도 띠를 둘러 앙련을 조각하였으며, 위에 연결된 조각은 흡사 네 잎 크로버와 같은 형태의 조각이 있어 색다른 아름다움이 엿보인다.


장구통처럼 생긴 간주석과(위) 기단부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받침돌에도 두 장의 커다란 앙련을 새겨 넣었다. 전체적으로 큰 규모로 조형이 되어, 석조계단을 조성해 놓고, 그 위로 올라가 불을 붙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균형이 집혀있어, 뛰어난 장인에 의해 아름답게 조형이 되었다.

화사석과 머릿돌도 절제된 아름다움이 있어

화사석은 8면에 모두 창을 뚫었는데, 창 주위로 구멍들이 나 있어 창문을 달기 위해 뚫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 화사석의 창을 보면 한 면은 크고, 남은 면은 그보다 조금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아마 불을 붙이는 창을 크게 낸 듯하다. 창 하나를 내면서도 조금 더 절제된 아름다움을 표현한 듯하다. 화사석 위의 덮개석인 지붕돌은 날렵하게 경사가 졌는데, 팔각면의 끝에도 귀꽃이 자리하고 있다.


뛰어난 조형미를 보이는 실상사 석등의 간주석

지붕돌은 여덟 곳의 귀퉁이가 모두 위로 치켜 올려진 형태로 팔작지붕의 날렵함을 지녔다. 그리고 돌출된 꽃모양인 귀꽃을 조각하여 멋을 더했다. 덮개석 위에 얹은 머리장식은 화려한 무늬를 새겼으며, 이 머리장식에도 화려한 무늬와 함께 귀꽃을 조각해 붙였다. 실상사 석등은 받침돌, 덮개석, 머리장식이 전체적으로 8각형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모두 귀꽃을 놓아 뛰어난 장인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사대의 뛰어난 석조미술품

이러한 지붕돌의 귀퉁이마다 새긴 꽃모양이나, 받침돌의 연꽃무늬가 형식적인 점 등은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중엽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실상사 석등을 보면서 참으로 우리 선조들의 다양한 석조물 조형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원형 그대로를 거의 보존하고 있는 보물 제35호 실상사 석등. 벌써 천년 세월을 서 있으면서도, 그 아름다운 자태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



화사석과 귀꽃(가운데) 그리고 머리장식

아마 실상사 일원이 사적 제209호(백장암과 약수암을 포함)로 지정이 되어 있는 것도, 이렇게 많은 문화재를 품고 있기 때문은 아닌지. 뿌리는 비에 몸을 적셔가면서도 답사를 그칠 수 없었던 것은, 바로 이렇게 소중한 문화유산 때문이다. 실상사 답사를 하면서 생각을 하는 것은 ‘우리 전통문화가 우리를 살찌울 수 있는 자본’이란 생각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