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까지만 해도 어른들이 계신 방에 들어가면, 벽에 온각 색으로 꽃이며 나비, 해와 달 등 각종 채색으로 이름이며 가훈 등을 쓴 액자나 족자를 볼 수 있었다. ‘혁필화’라고 하는 이 그림과 글씨는, 납작한 가죽을 이용해, 여러 빛깔의 색을 내는 것이다.

 

오늘 아침 갑자기 혁필화 생각이 났다. 가끔 이렇게 오래전에 본 것들이 갑자기 생각이 나고는 한다. 아마 천상 이런 버릇에서 못 벗어날 것만 같다. 처음 혁필화 사진을 찍은 것이 2003년도였으니, 벌써 10년이 훌쩍 지나버렸다. 한국민속촌 장터 안에서 본 기억이 나 민속촌에 전화를 걸어보았다. 혁필화를 그리는 분이 민속촌을 떠난지 꽤 오래 되었다는 대답이다.

 

 2003년 한국민속촌에 가서 혁필화를 그리시는 어르신을 만나뵈었다. 벌써 10년이란 세월이 훌쩍 지나버렸다

 

집집마다 한 점씩은 벽에 걸렸던 그림

 

예전에는 집집마다 방문을 하거나, 혹은 장거리 등에서 가끔 물감을 꺼내놓고 혁필화를 그리는 화가를 볼 수가 있었다. 혁필화는 조선조 초기인 1,600년경에 유덕공 선생으로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전해진다. 그 후 많은 혁필화가들이 활동을 하였다.

 

일설에는 18세기 유득공이 버드나무 가지로 쓴 비백서에서 기인하였다고 전해지기도 하지만, 혁필화가 언제부터 누구에게서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확실한 자료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혁필화가들은 1930년대 한창 왕성한 활동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에는 혁필로 쓴 이름이나, 가훈, 상호, 고사성어 등을 집집마다 한두 장 지니고 있었다. 혁필화가들이 적은 수로 그 명맥을 유지했던 것은 대우문제에도 있다. 같은 그림을 그리지만 정상적인 화가들에 대해서 대우를 받지 못했다.

 

화가들에게서도 냉대를 받아

 

또한 화가들 중에서는 혁필화가들은 화가의 대우를 해주지 않는다는 점에서도 아마 그들을 장거리로 내본 이유가 되지 않았을까 한다. 혁필화는 빠른 시간에 그려내야 한다. 가죽이라는 특성상 물감을 흡수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아픔이 있다. 한 장이라도 더 그려야 먹고 살수가 있었기 때문이란다.

 

화가들처럼 대우를 받지 못하고, 싼값에 그려야하는 혁필화가들로서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서, 빠른 작업만이 살길이었을 것이다. 1960년대부터 사양길에 들어선 혁필화는 이제 겨우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아직도 혁필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가 정립이 안되었기 때문에, 혁필화를 그림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금은 인사동에나 가 보아야 가끔 만나볼 수가 있는 혁필화. 재빠른 손놀림으로 화려하게 그려내는 혁필화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있다. 혁필의 끝에서 뿜어져 그려대는 나비며, 꽃이며 각종 나무들이 온갖 색을 만들며 화선지 위에 춤을 춘다. 오랜 시간이 지나지 않아 그려낸 혁필화. 그 아름다움 속에 숨겨진 화가의 애환을 아는지 모르는지, 보는 이들은 그저 탄성만 흘려낼 뿐이다.

 

그 당시 어르신이 쓴 혁필화가 지동 고성주 전안의 벽에 걸려있다

 

참 이제 와서 생각을 하면, 그동안 내가 문화예술인들을 만나면서도 참 소홀했다는 생각이 든다. 어째 당시에 혁필화를 그리시는 분의 존함조차도 물어보지 못했는지. 오늘 10년 전 같이 민속촌에 가서 쓴 혁필화 글씨를 전안에 곱게 모셔놓고 있는 아우의 집에 가서, 새삼 옛 기억을 더듬어본다. 하나씩 사라져가고만 있는 우리의 소중한 풍물이 오늘따라 마음이 아프다.

인사동, 참으로 오랜만에 들려본 곳이다. 고향이 서울이고 더구나 본적은 창덕궁 뒤편에 있는 재동이다. 학교를 운니동에서 다녔으니 인사동과는 길 하나 차이이다. 그런데도 서울을 떠난 뒤로는 인사동이라는 곳을 몇 번 밖에는 가 본 기억이 없다. 아마 그곳에 문화재가 많이 있었다고 하면 자주도 찾아갔을 텐데 말이다.

모처럼 출장길에 들리게 된 인사동은 예전에 내가 알고 있던 곳이 아니었다. 한국적 냄새가 물씬 풍기던 곳, 그리고 어디를 가나 고집 센 문화예술인들을 쉽게 만날 수 있는 곳. 난 인사동을 그런 곳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하지만 10여년 만에 찾아간 인사동은 왠지 감칠맛이 없어 보인다. 무엇인가 달라지긴 했는데 딱히 그것이 무엇인지는 모르겠다. 그저 예전보다 인사동다운 맛이 떨어졌다고나 할까.


오랜만에 막걸리 집을 찾아들다.

알다시피 인사동은 한옥촌이다. 뒷길로 들어가면 즐비한 한옥들이 붙어있다. 아마 인사동만의 그런 모습 때문에 늘 기억을 하는 것이고, 그 한옥의 정겨움에 익숙해져 있는 터라 스스럼없이 발길을 향했을 것이다. 출장길에 나섰으나 비가 억수같이 쏟아지는 바람에 어차피 출장길을 재촉한다는 것도 무리일 것만 같아, 자연스럽게 도예인들과 동행을 하게 되었다.

한 곳을 찾아 들어가니 ‘푸른별 주막’이란다. 이름부터가 마음에 든다. 고택기행을 하고 있는 중이라 한옥만 보면 우선 그 구조부터 살피는 것이 습관처럼 되어있다. 대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문간채가 있는데, 이곳은 광으로 사용을 한다. 인사동의 한옥들은 넓지 않은 터에 집을 지어서인가 공간을 최대로 활용을 한다. 집은 ㄱ 자 구조로 사랑방과 대청, 안방이 나란히 있고, 꺾인 부분에 부엌과 건넌방이 있다.

좁은 집을 이용하려다 보니 입구부터 복잡하다

처마에 부연을 단 것으로 보아 꽤 잘 지어진 한옥이다

좁은 공간을 이용하기 위해 화장실 위에 장독대를 올렸다. 그 앞에는 장승도 서 있다. 

앞에는 타일로 바른 목욕탕 겸 화장실을 두고 그 위에 장독대를 올렸다. 처마에 부연을 댄 것으로 보아서는 좁기는 하지만 나름 충실한 집이다. 집을 지은 부재도 단단해 보인다. 지금은 건넌방 하나만을 신을 벗고 들어가기 만들고, 나머지는 모두 신을 신고 들어가는 방으로 만들었다.

개성 있는 막걸리집서 사진으로 만난 스승

자리를 잡고 벽을 둘러보니 낯익은 것들이 보인다. 어릴 적 나도 그랬을 캐캐묵은 사진들이 걸려있다. 강에서 발가벗고 수영을 하는 아이들. 운동회 날 달리기 준비를 하는 아이들. 한 쪽 벽에 기대고 머리를 처박고 하는 말타기. 또 한 장은 아마 즐거운 소풍날일게다. 그 옆으로 이 집의 메뉴가 주욱 나열이 되어있다. 딴 것은 눈에 들어오지 않는데, 단 한 가지가 마음에 든다. ‘푸른별에서는 화학조미료와 수입 식자재를 쓰지 않습니다’ 라는.

옛날을 그립게 만드는 사진들

벽에 가득한 이 집의 메뉴판이다.

망자의 넋을 올린다는 지전으로 된 넋전

마당에는 종이배와 넋전들이 허공에 매달려 음산하기도 하다.

작은 마당에는 장독대 앞에 장승이며 넋전, 그리고 종이배들이 공중에 떠 있다. 한 많은 사람들이 저 배를 타고 극락으로 떠났을까? 그 배에 저 넋전에 붙은 혼백이라도 띄워 보낸 것일까? 밝지 않은 종이등 불빛에 흐늘거리는 넋전이 묘한 분위기를 낸다. 그래서 인사동일게다. 무엇이라도 수용을 할 수 있는 곳이니.

집을 돌아보다가 그만 얼음이 되고 말았다. 한편 벽에는 어느 작가의 작품인 듯 ‘그 때 그 사람들’이라는 제목이 달렸는데 김수환 추기경, 정당인 김근태 등이 보인다. 그런데 그 끝에 아주 낯익은 여자 분이 눈에 띤다. 바로 채희아 선생님이다. 반가운 얼굴이다. 개인적으로 채희아 선생님은 내가 중학생일 때 나의 스승이기 때문이다.

사진작가의 작품인 듯. 그 안에 채희아 선생의 모습이 보인다.(아래 좌측)

오랜 시간은 아니지만 남다른 스승이다.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가 다시 돌아오셔서 황해도 내림굿을 받고 만신의 길을 걷기도 했다. 당시 채희아 선생님의 이야기는 두고두고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가 되었다. 서울대 출신에 미모의 여인이 내림굿을 받는다고 했으니 말이다. 사진 속이나마 바라보자니 눈물이 난다. 겉으로는 웃고 마시지만, 아주 어릴 적 스승의 대한 기억이 많아서인가 보다.

인사동. 그래서 인사동은 추억의 거리라고 한다. 이곳에서 많은 사람들은 추억을 찾고 싶어 한다. 까맣게 잊고 살던 옛날을 기억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이제 인사동이 그 기억을 지워버리고 있는 듯해 마음이 아프다. 그것이 비록 아름답지가 않고, 아픈 기억이긴 하지만 오래도록 남았으면 하는 기억을.

참 구미가 당기는 말이다. 장작가마에서 구워낸 막사발이 한 점에 단 돈 만원이라니. 어디 그뿐인가, 종전에 커다란 막사발에 비해, 여성들이 좋아할 만한 크기의 잔으로 탈바꿈을 했단다. 그러니 사람들의 구미를 당기겠지만.

"여기 인사동인데 얼른와 도자기 그릇 하나가 만원이래"
"....."
"그래 다 팔리기 전에 얼른 나오라니까. 기다리고 있을께"

그쪽 말은 듣지를 못했으니 적을 수가 없다. 하지만 대충 이런 말을 하지 않았을까? "정말이야. 도자기 막사발 하나에 정말로 만원이야" 정도였을 것만 같다.


인사동 'K갤러리'에서 열리는 막걸리 막사발전

우리들은 막걸리를 마실 때는 찌그러진 양은 잔을 먼저 생각한다. 아니면 시골 논둑에서 일을 하다가 허기를 달래기 위해, 흰 보새기에 가득 담은 막거리를 마시고 '커어~' 하는 소리가 제격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막걸리가 다양화하면서 젊은충에 급속도록 막걸리 열풍이 불기 시작했다. 그러다보니 다양한 잔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전국의 도공 30여명이 모여 막걸리 잔을 제작했다.

'2010 막걸리 막사발전'은 인사동에 있는 'K갤러리' 지하와 2층에서 8월 18일부터 24일까지 열린다. 한 작가가 100점씩을 들고 나왔다. 어떤 작품이거나 무조건 만원 한 장에 구할 수가 있다. 이층으로 올라가면 선물을 하기에 적당한 막사발을 5만원에 구매를 할 수 있다. 작가의 작품 한 점이 꽤 비싸다는 것을 생각하면, 좋은 기회가 될 것만 같다.




    
전국에 있는 도공들이 만들어 낸 다양한 막사발이 즐비하다. 각자 개성이 있어 마음에 드는 것을 고를 수가 있다. 손수 물레질을 하고 문양도 넣었다. 전시장에 모인 사람들은 연신 비명을 지른다. 출장 길에 들린 막걸리 막사발 전은 근래에 보기 드문 전시회였다. 전시회를 주관한 김용문은

"이제는 막걸리를 우리 그릇인 막사발에 먹어야 합니다. 그래야 풍취를 제대로 느끼게 되죠. 이 막걸리 막사발 전은 앞으로도 계속할 것입니다"

라고 한다. 전시회장 안에는 막걸리병이 즐비하다. 모인 사람들은 잔에 시음을 하면서 연신 '좋다'라고 한다. 역시 우리 막사발에 먹는 막걸리의 맛은 일품이다.



 전시장을 둘러보는 사람들과 개막을 하고 펼쳐진 막걸리 마시기.

막사발은 말 그대로 막 쓰는 사발이요. 막 만든 사발이다. 그것이 꼭 작품이 아니라고 해도 좋다. 마음 편하게 사용을 하고, 손 쉽게 장만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막사발은 그 속에 우리 민족의 숱한 애환과 희열을 함께 히고 있다. 뒤풀이 장에서 만난 무세중선생은 막걸리를 외치며 작가들을 향해 큰절까지 하신다. 이제 막걸리를 막사발에 마시면서 우리의 정체성을 찾자는 뜻이다.



언제부터 우리가 서구문물에 찌들어 버렸는지 모르겠다. 그저 외국 것이라면 사족을 못쓰는 사람들로 변해버린 듯도 하다. 이런 시기에 막걸리 막사발전이 주는 의미는 남다르다. 이제는 우리 것을 찾아야 할 때라고 이구동성으로 이야기를 하는 작가들.


뒤풀이 장에 쫒아가 막사발에 막걸리를 가득 딸아 마셔본다. 느낌이 다르다. TV 광고 속에서 하는 말이 생각난다. "그래, 바로 이 맛이야" 바로 그 맛이다. 찌그러진 양은 대접이 아니라, 우리의 그릇인 막사발에 딸아 마시는 막걸리가 바로 제맛이다. 8월 24일까지 계속되는 막걸리 막사발전에 가면 다양한 작가들의 막사발을 구할 수가 있다. 그것도 정말 막걸리 한 잔 값으로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