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해미읍성을 다녀온 지 20여 일이 지났다. 답사를 하면 그때그때 바로 기사를 올려야하지만 현장 취재에 늘 뒷전으로 밀려버리고는 한다. 해미읍성은 벌써 수십 번은 더 다녀온 곳이다. 대전에 있을 때부터 이곳은 자주 찾았던 곳이라 어느 성보다도 눈에 익은 곳이다. 그런 해미읍성을 몇 년 만에 다시 찾아가보니 많이 달라져 있었다.

 

해미읍성은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번지에 소재하는 사적 제116호이다. 해미읍성은 해발 130m인 북동쪽의 낮은 구릉에 넓은 평지를 포용하여 축조된 평산성이다. 성벽의 아랫부분은 큰 석재를 사용하고 위로 오를수록 크기가 작은 석재를 사용하여 쌓았다. 성문은 동서남북 4곳에 있는데 그 중 북문은 암문으로 조성하였다. 읍성의 주 출입구인 남문은 아치모양의 홍예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려 말부터 왜구가 해안지방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는 했는데, 이를 제압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17년인 1417년부터 세종3년인 1421년 사이에 5년간의 세월에 당시 덕산에 있던 충청병마도절제사영을 이 곳으로 옮기려고 쌓은 성이다. 효종3년인 1652년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옮겨가기 전까지, 230여 년간 군사권을 행사하던 성이었다. 이 성은 적이 침입을 하지 못하도록 성 주위에 탱자나무를 심어 탱자성으로 불리기도 했다.

 

한 시간 반 만에 성을 두 바퀴 돌아

 

해미읍성을 답사할 수 있는 시간은 한 시간 반 정도였다. 그 시간 안에 꼼꼼히 돌아보기 위해서는 뛰어다녀야 할 판이다. 1.8km의 성을 돌아보는 데야 길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지만, 성의 이모저모를 일일이 촬영하고 기록하려면 그 정도 시간으로는 부족하다. 남문인 진남문으로 들어가 위 문루로 오른다. 북쪽으로 곧게 난 길 끝에 아문과 동헌, 내아, 객사 등이 보인다.

 

 

아문으로 행하던 중 만난 회화나무와 옥사 등을 둘러보고 난 뒤, 발걸음을 재촉해 동헌과 내아, 그리고 객사 등을 일일이 촬영을 하였다. 그리고 서문 밖으로 나와 순교지를 돌아본 후 바로 성을 둘러보기 시작했다. 여장은 복원되지 않았지만 잘 정리가 된 성곽을 따라 걸으며 여기저기 꼼꼼히 살핀다.

 

북암문 쪽으로 난 성벽은 낮은 구릉으로 오르는 길이다. 복원을 한 해자 위에 나무다리가 걸려있다. 북암문은 굳게 닫혀 있는데 네모지게 잘 다듬은 무사석으로 성문 주위를 견고하게 쌓았다. 복원을 한 해자 안으로 들어가 보니 어른들도 빠져 나오기가 힘들 것 같다. 시간이 촉박해 더 이상 지체하지 못하고 성을 돌아 동문으로 향한다.

 

 

이순신 장군도 이곳에서 군관으로 있었다.

 

북암문에서 동문으로 가는 길은 경사가 져있다. 빠른 걸음으로 걷다가 동문을 통해 성내로 들어가려고 했는데, 동문 역시 굳게 닫혀있다. 남문과 서문만 개방을 한 것이다. 성을 구경하는 사람들은 대개 성안만 본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처럼 답사를 하는 사람들은 성 밖을 돌아보는데 이렇게 문이 닫혀 있으면 이럴 때는 조금 난감하다.

 

답사를 하는 날은 기온이 꽤 높았다. 날씨가 쾌청해 성을 촬영하기에도 제격이다. 동문 문루 양편에 꽂아 놓은 깃발들이 가을하늘과 조화를 이룬다. 동문을 보고 난 뒤 다시 성을 거슬러 돌아본다. 혹시 지나친 곳이 없는지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서문을 지나니 두 곳의 치성이 있다. 왜 이곳에만 이렇게 치성을 쌓은 것일까?

 

 

선조 11년인 1578년 이순신 장군이 군관으로 10개월 간 이 해미읍성이 있었다고 한다.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옮겨간 후, 해미현감이 이 성으로 옮겨와 겸영장이 되면서 해미읍성이 되었다고 한다. 호서좌영인 해미읍성은 1895년 행정구역 개편 때까지 243년 동안 내포지방 12개 군현을 군권을 지휘하던 곳이다.

 

천주교 박해의 순교지로 더 알려진 해미읍성. 잘 복원된 성을 돌아보면서도 왠지 가슴 한편이 싸하다. 아마도 수많은 생명이 이곳에서 세상을 떠났기 때문인가 보다. 교황이 이곳을 순방한 후 찾아오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가, 진남문 앞에 거리도 말끔하게 단장을 하였다. 가을이 깊어지면 다시 한 번 이곳을 찾아 가을 풍광에 젖어보아야겠다.

경남 통영시 명정동에 소재한 사적 제236호인 충렬사. 이순신 장군의 제를 지내기 위해서 선조의 명에 의해, 1606년에 제7대 통제사인 이운룡이 세운 사당이다. 지난 10월 13일 아침 찾아간 충렬사. 입구를 들어서면서부터 많은 문화재들이 있어, 들어가면서부터 행복을 느낀 곳이다.

 

우선 충렬사의 입구를 들어서면 정당으로 올라가는 우측에 몇 그루의 동백나무가 보인다. 이 동백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74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나무로, 수령이 400년 정도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곳에 동백꽃이 필 무렵이면 일 년 간의 어업의 안녕을 위해 풍신제(風神祭)를 지냈다고 한다,

 

 

 

강한루에서 아픔을 느끼다

 

정당으로 오르는 길에 이층 누각 한 채가 서 있다. 앞에서 보면 ‘강한루’요, 뒤로 올라가면 ‘영모문’이란 현판이 걸려있다. 강위는 강한루에 올라 다음과 같이 이곳의 풍광을 읊었다.

 

물길 거슬러 신선의 꿈 어렸더니

강한루 다시 올라 흉금을 활쫙연다

외로운 달 먼 하늘 떠가고

개울물 모두 흘러 깊은 바다로 가는 구나

사람 만나서 옛 땅 물어보고

술 나누는 첫 마음 아련도 하여라

여기 충렬사 있어

찾아온 지 벌써 두 번째렸다.

 

 

 

강한루 누마루 밑으로 난 통로를 지나 계단을 지나야 정당으로 오를 수가 있다. 그런데 계단으로 오르다가 뒤를 돌아보니 강한루의 지붕에 기와들이 많이 흐트러져 있다. 아마도 이 일대를 강하게 휩쓸고 간 태풍 때, 저리 기와가 제 자리에서 벗어났는가 보다. 그 때가 언제인데 아직도 저렇게 볼썽사납게 놓아둔 것인지.

 

적어도 사적으로 지정이 되어있는 곳이고, 많은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인데 좀 심하단 생각이 든다. 물론 문화재의 보수는 절차를 거쳐서 한다고 하지만, 이렇게 기왓장들이 흐트러져 있는 것을 보고도, 어찌 정리조차 하지 않았을까? 그런 모양새를 보면서 참으로 마음이 아파온다.

 

장군께 향을 올리다

 

강한루를 지나 외삼문을 들어서면서 좌우측을 보면 충렬묘비명을 비롯한 몇 기의 비석들이 줄을 지어 서 있다. 제111대 통제사 이언상 사적비, 충무공 이후로 덕수 이씨 후손들 중에서 12명의 통제사가 있었는데, 그 중 121대 통제사 이태상, 138대 이한창, 143대 이한풍, 167대 이항권, 172대 통제사인 이승권 등 5명의 공적비 등이 서 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계단 위에 내삼문이 서 있다. 내삼문에는 문의 처마를 받치고 있는 기둥인 활주는 육각형의 장초석을 사용하였는데, 그 밑에 해태상을 조각해 놓아 특별하다. 통용문인 양편에 협문을 낮게 만든 것은, 스스로 자신을 낮추고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라는 뜻이라고 하니, 그 또한 선조들의 마음자세를 배워야 할 듯.

 

 

 

정당은 충렬사이다. 이춤무공의 영정을 모셔놓은 곳으로 선조의 명에 의해 1606년에 지어져, 300년이란 긴 시간동안 역대 통제사들이 봄, 가을로 제향을 모시던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정당의 지붕 용마루에는, 주역의 팔괘를 기와로 그려내었다. 아마도 이런 충렬사이기 때문에 더 의미가 큰지도 모르겠다.

 

 

 

사당 앞에 향이 놓여있다. 장군께 향을 올린다. 뒤에서는 해설사의 장황한 설명이 이어진다. 그러나 그런 것이 귀에 들어올 리가 없다. 들어올 때 본 강한루의 망가진 지붕이 내내 마음을 아프게 하기 때문이다. 벌써 이곳을 다녀온 지 보름이 지났는데, 이제는 말끔히 수리가 되었길 속으로 빌어본다.

사람이 세상을 살다가 하직하고 나면, ‘유택(幽宅)’이라고 하는 묘에 들어가 영면을 한다. 물론 요즈음은 묘를 쓰지 않고 화장을 해서 뿌리거나, 그런 것이 서운하면 수목장(樹木葬)이나 혹은 납골당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장묘문화에 대해서는 아직도 전통적인 봉분을 고집하는 분들이 꽤나 된다.

 

그런데 이 묘를 보면, 참으로 그 사람이 살아생전 얼마나 대단한 일을 했는가를 궁금하게 만드는 묘들이 많다. 앞에는 석물이 있고, 봉분은 남산만하다. 거기다가 큼직한 돌에는 별 이상한 글도 적혀있기도 하다. 자손을 잘 둔 것인지, 아니면 정말 대단한 인물인지 가끔은 궁금하기도 하다. 이런 돈으로 도배를 한 묘야, 돈만 있으면 얼마든지 기능하다. 그러나 그 묘에 가서 아무도 머리를 조아리지도 않고, 찾지도 않는다. 그 자손들이야 찾겠지만.

 

경북 경주시  서악동 844에 소재한 태종 무열왕릉

 

묘역을 갖고 사람을 판단할 수 없어

 

그런데 내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지금의 묘가 아니다. 사람이 평생을 나라를 위해 살다가 죽은 이도 있겠고, 그저 고생만 하다가 죽은 이도 있을 수가 있다. 그런데 나라님이라고 하는 분들은 죽은 후에 그 묘를 보면, 대충 그 사람이 얼마나 백성들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했는가를 알 수 있다. 물론 묘 하나만 갖고 그 임금님의 일생 전체를 평가할 수는 없겠지만.

 

경주 서악동에 있는 태종무열왕의 묘를 보면 그 크기가 대단하다. 무열왕의 묘도 대단한데 그 앞에 있는 둘째아들인 김인문의 묘 또한 만만치가 않다. 무열왕릉의 뒤편에는 왕릉이 3기가 있다. 추사 김정희는 『신라 진흥왕릉고』에서 무열왕릉 위에 있는 서악동 고분 4기를 진흥, 진지, 문성, 헌안왕 능으로 추정한 바 있다. 보물 제65호인 서악동 삼층석탑을 비껴서 안으로 들어가면 왕릉 2기가 있다.

 

국보 제25호 태종무열왕릉 비

 

사적에 묻힌 나라님들

 

사적 제178호로 지정이 된 신라 46대 문성왕릉(839~857 김경응)은 진흥, 헌안왕 능과 함께 선도산 남쪽 구릉 말단에 있다. 능의 지름은 20,6m에 높이는 5.5m이다. 문성왕은 신문왕의 아들로 신라의 쇠퇴기에 왕위에 올라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나 청해진 대사 장보고의 난을 평정하고, 혈구진을 설치하였으며 임해전(안압지)을 크게 보수하였다.

 

사적 제179호인 신라 제47대 헌안왕릉(재위 857~861/김의정)은 문성왕릉의 바로 곁에 있다. 지름은 15.3m에 높이는 4.3m이다. 이 능은 밑 둘레는 자연석을 이용하여 무덤을 보호하고 봉토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였으나, 지금은 몇 개만 들어나 있다. 헌안왕은 신무왕의 동생으로 조카인 문성왕의 뒤를 이었다. 헌안왕은 저수지를 수리하여 흉년에 대비하는 등, 농업을 적극적으로 장려하였다.

 

 

 

 

하지만 이 두 임금의 묘는 무열왕의 묘에 비길 바는 아니다. 신라를 거쳐 조선에 이르기까지 왕들의 유택을 보면, 그 나름대로 나라님들이 백성들을 위해 얼마나 많은 일을 해왔는가를 가늠할 수 있다. 논산시 연무읍 금곡리에 있는 견훤왕릉을 보면 제대로 된 이정표 하나 없이 덩그러니 봉분만 남아 있다. 후백제를 세우고 한 때는 후삼국 중 가장 큰 세력을 갖기도 하였으나,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아들 신검과의 내분으로 고려에 의해 멸망을 하고 말았다.

 

명장을 만드는 것은 휘하의 장졸이다

 

이런 역사의 교훈은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된다. 나라님의 유택만이 아니다. 삼국통일의 업적을 이룩한 경주 김유신의 묘나, 23전 23승이라는 놀라운 전승의 해전 기록을 세운 충무공 이순신의 유택 역시, 수많은 시간이 지났으면서도 후대들에게 교훈을 남기고 있다. 그들의 삶이 나라와 국민을 위해 역사에 길이 남을 혁혁한 공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도 모든 많은 사람들이 그곳을 찾아보고 있는 것이다.

 

 

 

세계 4대 해전이라는 대단한 해전인 한산대첩에서, 이순신 장군이 대승을 거둔 것은 이순신이라는 명장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명장만 있어서 그 험한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고 할 수 있었을까? 그렇지가 않다. 그 밑에는 장군을 믿고 의심 없이 따르는 수많은 장수들과, 이름 없는 병졸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만큼 명장 밑에는 백성들을 생각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처럼 버릴 수 있는 수하의 인물들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지금의 나라님 주변 사람들이 과연 명장 밑에 있는 명 장수들일까? 그들이 과연 국민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한 목숨을 초개처럼 버릴 수 있는 사람들일까? 이런 질문을 스스로 하다가 보면 참담하다는 생각만 든다.

 

 

바로 이런 차이다. 훌륭한 명장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그를 믿고 따르고 나라와 국민들을 생각하는 장졸들이 있어야만 한다. 요즈음 들어 많은 지자체장들을 보아도, 그 주변에 명장을 만들 수 있는 장졸들이 그리 흔하지가 않다는 생각이다. 후일 역사가들이 어떻게 평가를 할 수 있는가는 중요한 일이다. 곁에 명 장수가 없고, 자신의 버팀목이 될 수 없는 장졸이라면, 당당히 버릴 사람은 버리고 인재를 등용하는 결단이 필요하다. 말없이 숱한 시간이 흐른 뒤에도, 역사는 준엄하게 그 사람을 심판하기 때문이다.

선소유적지. 사적 제392호인 선소유적은 여수시 시전동에 자리하고 있다. 이곳은 원래 고려시대부터 배를 만들던 조선소가 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 선소유적은 임진왜란 때 해전에서 연전연승을 하게 한 거북선을 최초로 건조했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선조 24년인 1591년, 이곳 여수에 전라좌수사로 부임을 하였다. 전라좌수영의 본영인 여수는 선조 26년인 1593년 8월부터, 선조 34년인 1601년 3월까지 삼도수군통제영의 본영이었다. 이곳은 옥포, 합포, 당항포, 율포, 노량, 명량, 한산도 등에서 수군이 왜적에게 대승을 거두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곳이다.


배를 만들고 숨겨두었다는 굴강

그리고 보니 벌써 선소유적을 다녀온 지가 꽤나 시간이 흘렀다. 10월 10일 여수를 답사하면서 다녀온 선소유적. 선소유적 입구에는 일반인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표석으로 삼았다는 벅수가 나란히 한 쌍이 서 있다.

이곳 선소유적은 지도상으로 보면, 가막만의 가장 북쪽에 조선소가 있다. 현재 이곳 선소유적지 안에는 거북선을 만들고 수리했던 ‘굴강’과 칼과 창을 만들던 ‘대장간’이 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칼과 창을 갈고 닦았다는 ‘세검정’과 수군지휘소였던 ‘선소창’, 수군들이 머물렀던 ‘병영막사’ 등을 돌아볼 수가 있다.



‘만약 호남이 없었다면, 국가가 없었을 것이다.’(若無湖南, 是無國家) 이 말은 이곳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한 수군의 거점인지 알 수 있는 말이기도 하다. 그만큼 이곳 선소는 나라를 구하는데, 중요한 곳이기도 하다. 선소유적 안으로 들어가면 바닷물을 돌로 쌓은 방파제가 있다. 입구는 좁게 만들어 놓아, 배를 숨겨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굴강’이라고 부르는 이곳은 조선시대 해안 요새에 만든 군사항만 시설이다. 여기에서 고장난 배를 수리하거나, 군사물자를 배에 싣고 내린 곳이라고 한다. ‘굴강(掘江)’이라는 명칭은 대피한 배를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를 흡사 작은 만처럼 조형을 한데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다.



선소주변에는 승리의 함성소리가

선소의 중심부에 마련된 직경 42m(면적 1,388㎡)정도의 굴강. 거북선 두 척이 들어갈 수 있었다는 굴강은, 깊이가 돌로 쌓은 축대 위에서 바닥까지는 5~6m 정도가 된다. 북쪽으로 난 굴강의 입구는 폭이 9m 정도에 이르며, 방파제 역할을 하는 축대는 자연선과 깬돌로 막쌓기를 하였다.

이충무공 선소 유적지는 2차에 걸쳐 발굴조사를 하였다. 보고서에 의하면 1980년 1차 발굴조사 시 출토유물은, 금속류 7종에 94개, 자기류 2종에 13개, 기타 4종에 18점이 출토되었다. 1985년 2차 발굴조사 시 출토유물은 금속류 5종에 21개, 자기류 4종에 387개, 기타 4종에 44개가 발굴이 되었다.





이곳 굴강에서 서남방향으로 20m 부근에는 ‘세검정(洗劒亭)’과 군기고가 현재 복원되어 있다. 항상 검을 닦고 갈았다는 세검정. 그 마루에 앉아 앞으로 보이는 바닷물을 바라본다. 400여 년 전 해전에서 승리를 하고 난 거북선과 수군들이 이 세검정 앞을 지나면서, 승리의 환호로 이곳이 떠나갈 듯 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우리의 선조들이 승리의 함성을 지르던 이곳 여수 선소유적. 그곳 세검정 마루에 걸터앉아 자리를 뜨질 못하는 이유는, 그러한 함성이 그립기 때문인가 보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어머니를 지극한 효심으로 모신 효자였다. <난중일기>에는 이러한 이충무공의 내력을 적고 있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3년 6월에서 12월 사이에 팔순에 가까운 어머니를, 여수 웅천동 송현마을 정대수 장군의 집에 모셔다 놓고 수시로 문안을 드렸다고 한다.

하루는 노모를 뵙기 위해 일찍 배를 타고 송현마을로 문안을 드리러 왔는데, 기운이 많이 떨어진 어머니의 모습을 보고, 사실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생각에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장군은 어머니를 뵈러 갈 때는 흰 머리카락을 모두 뽑고는 했는데, 이는 늙어가는 아들의 모습을 보고 어머니께서 마음 아파할 것을 생각해서였다고.


장군의 모친이 살던 집터를 찾아가다.

10일 아침 일찍 여수 수산시장에 볼일이 있어 내려갔다. 여수에 사는 지인을 만나 함께 장을 보고 오는 길에, 장군의 어머니께서 사셨다는 집터를 찾아갔다. 길가에는 ‘이충무공 어머님 사시던 곳’이란 푯말이 붙어있다. 안으로 들어가니 요즘 주변 정리를 하느라, 한창 공사 중이다. 전남 여수시 웅천동 송현마을 1420-1번지. 옛 집터 인 듯한 곳에는 거북선에 비를 세운 형상물이 있는데, 이 근처 어디인가 이충무공의 모친이 5년간 살았던 곳이라고 한다.

거북비가 서 있는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 7칸 정도에, 측면 두 칸 반 정도의 팔작 겹처마 지붕으로 된 집이 있다. 현재 이 집은 사람들이 거주를 하고 있는데, 현재 거주를 하시는 분은 정평호(남, 79세)로 임지뢔란 시 활동을 하던 정대수 장군의 후손이라고 한다. 이분은 임진왜란 때부터 선조들이 대대로 이 터에서 살아왔다는 것이다.



 

고택다운 옛집, 1930년대 지은 것으로 전해져

현재의 집주인도 이 집에서 태어나고 자랐다고 한다. 임진왜란 이후 조상 대대로 이 집터에서 살았다는 분들. 집터는 옛집 터지만, 집은 그동안 여러 번 개축을 한 것인지 옛 모습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현재 이 집은 예전 충무공의 어머니께서 사시던 집은 아니다. 당시 발굴을 할 때 대들보 등이 발굴된 곳은, 현재 정대수 장군의 후손인 정평호옹이 살고 계시는 집의 부엌과 장독대에 걸쳐 있다고 전한다.

현재 주인이 거주하고 있는 집이 옛 선조들이 살던 집터에 나중에 보수, 개축을 했다고 보면,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는 아마 사랑채나 별채에 기거를 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당시 이 집에는 정대수 장군의 가족들이 살고 있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대문 앞에 선 안내문에 보면 「1972년 옛 집이 있던 자리로 추정되는 곳에서 대들보, 마룻대, 세살창문과 같은 집 구조물과 맷돌, 디딜방아용 절구, 솥 같은 세간들을 찾아냈다」고 적고 있다. 현재 사람이 거주하고 있는 집 주변으로는 수령 300년이 넘는 팽나무가 서 있다. 보호수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팽나무는 수고가 25m에, 나무의 둘레는 5.2m나 되는 거목이다.



문화재 발굴조사 후 문화재지정도 고려 해

집을 자세히 살펴보면 예사집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주춧돌은 원형으로 다듬었으며, 그 위에 팔각기둥을 세웠다. 사방에는 처마 끝에 활주를 받쳐 놓았으며, 전체적으로 보아도 고택의 멋스러움이 그대로 배어있다.

여수시 문화재 관련 담당자는 내년에 발굴에 필요한 예산 신청을 했다고 한다. 발굴 후에 이 터가 정확하게 이순신 장군의 어머니가 살던 집이라고 밝혀진다면, 이곳에 복원계획도 고려해 보겠다는 것이다. 그럴 경우 현재의 집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만일 이 터가 발굴조사 후에도 정확한 고증이 들어나지 않는다면, 관광자원으로 활용을 할 것이라고 한다. 어차피 난중일기에 밝혔듯이, 송현마을에 어머니를 모셨다고 기록이 있고, 현재의 집이 당시 정대수 장군의 집터이기 때문이다. 충신이요 효자인 이충무공의 어머니가 살았다는 집터. 그곳에는 충무공에 관한 역사를 안내판을 통해 배울 수 있지만, 아직 발굴이 끝나지 않아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다는 것에 아쉬움이 크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