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남고산성에 가면 정몽주의 암각서가 있다. 푯말에는 ‘만경대 암각서’라고 이정표가 길을 안내하고 있는데, 남고산성 안에 있는 남고사 조금 못 미처 길 가에 서 있다. 50여m 정도 바위 길을 따라 올라가면 남고산성이 늘어서 있고, 상벽 바로 안 바위에 적혀져 있는 글이다. 이 근처는 지형으로 보아 남고산성의 두 곳의 장대 중 한 곳인 남장대 인근으로 보인다. 이곳에 왜 정몽주의 시가 암각서로 남아 있는 것일까?

 

이성계의 잔치에 화가나 말을 달린 정몽주

 

고려 우왕 때인 1380년 9월. 이성계는 황산대첩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개선장군이 되어 돌아가던 중, 조상의 고향인 전주에 들른다. 이곳 오목대에서 종친들을 불러 환영잔치를 베풀면서, 자신이 고려를 뒤엎고 새 나라를 세우겠다는 속내를 내비친다.

 

 

당시 종사관이 되어 황산대첩에 참가했던 정몽주(1337 ~ 1392)는 이 말을 듣고 노여움을 참지 못해 잔치자리를 빠져나와 말을 달려 남고산성의 만경대에 오른다. 남고산성에는 남인문지 근처에 천경대가 있고, 남고사 인근에 만경대가 있다. 그리고 남고사 뒤편 산 정상부근에는 억경대가 자리하고 있다.

 

말을 달려 이곳까지 온 정몽주. 선죽교에서 방원의 철퇴에 맞아 숨이 지면서도 고려에 대한 충절이 변하지 않았던 충신답게, 스스로 고려를 생각하면서 근심을 이어간다.

 

 

千仞崗頭石逕橫 천길 바위머리 돌길로 돌고 돌아

登臨使我不勝情 홀로 다다르니 가슴 메는 근심이여

靑山隱約夫餘國 청산에 깊이 잠겨 맹서하던 부여국은

黃葉檳紛百濟城 누른 잎은 어지러이 백제성에 쌓였도다

九月高風愁客子 구월의 소슬바람에 나그네의 시름이 짙은데

百年豪氣誤書生 백년기상 호탕함이 서생을 그르쳤네

天涯日沒浮雲合 하늘가 해는 지고 뜬 구름 덧없이 뒤섞이는데

矯首無由望玉京 하염없이 고개들아 송도만 바라보네

 

정몽주의 나라 걱정하는 마음이 그대로 들어나 있는 시구이다. 이곳 만경대에서 송도를 근심하던 정몽주. 이렇게 글을 남겨놓고 개선장군이 되어 당당하게 송도로 돌아가는 이성계와 함께 이곳을 떠났다.

 

 

 

김의수가 각자한 정몽주의 글

 

당시 시를 지은 정몽주가 이곳 만경대 바위에 각자를 한 것은 아니다.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영조 22년인 1742년 진장인 김의수가 각자를 한 것이다. 예전에는 바위 앞에 수풀이 우거지고 나무들이 많아 암각서를 보기 힘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주변을 정리하고 철책을 둘러놓았다.

 

바위를 어렵게 내려가 만경대라고 음각을 한 바위 앞으로 다가갔다. 만경대라는 글씨는 알아볼 수가 있는데, 그 내용은 마모가 되어 글씨조차 판독하기가 힘들 지경이다. 다만 글 말미에 보니 각자가 된 글씨보다 조금 크게 병인년에 진장 김의수가 각자를 했다는 글이 보인다. 진장 김의수는 왜 정몽주의 이 길을 이곳 만경대 바위에 새겨 넣었을까? 진장이란 조선 인조 때 각 도의 지방군대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진영의 장관을 말한다.

 

아마 진장 김의수는 정몽주의 불사이군의 충심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물론 시대를 뛰어넘어 300년 가까이 지난 다음이지만, 김의수는 그러한 글을 이곳에 각자를 함으로써 스스로의 충심을 일깨웠는지도 모른다. 이제는 수많은 세월이 지난 각자마저 흐릿하지만 정몽주의 충심과, 그 충심을 아는 진장 김외수를 만날 수 있는 곳이다. 영웅의 교감은 세월을 뛰어넘는 것인지.

정자란 나에게는 참 묘한 곳이다. 남들은 그저 정자를 보면 ‘참 아름답다’거나 ‘주변 경관이 훌륭하다’라고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왜 난 정자들을 볼 때마다 하나하나 곰꼼이 따져보아야만 하는지. 그저 나도 남들처럼 정자려니 하고 지나치면 가슴 아픈 일도 없을 것을. 일일이 따져보다가 괜한 상처를 입기도 한다.

 

전북 장수군 번암면 죽산리, 죽산 입구 북쪽 냇가 산기슭에 정자가 서 있다. 작은 내를 건너 찾아간 곳은 내를 끼고 들어가는 곳이다. 정자 앞에는 상추를 심은 밭이 있는, 무주를 거쳐 남원으로 내려가는 길에서 만난 만취정이다.

 

 아름다운 돌담과 좁디좁은 일각문, 그리고 뒤로 보이는 정자의 활주가 발길을 붙잡는다


길도 막혀버린 정자 만취정

 

만취정을 오르려는데 마땅한 길을 찾지 못해, 비탈진 곳을 찾아 기어오르듯 정자로 향했다. 담장을 두른 정자 정면에 작은 문을 두었다. 안으로 들어가 보니, 세상에,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그대로 방치되어 퇴락해져 가고 있다. 목조 누각에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만취정은 6개의 현판이 걸려있다.

 

글의 내용으로 보아 이 정자는 1929년도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정자에 걸린 게판에는 남평 문석린의 만취정 상량문을 비롯해, 숭록대부 예조판서 원임, 규장각 제한 안동 김종한 등이 쓴 만취정기가 보인다.

 

 

 

그리고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역시 만취정 팔경이다. 성산귀운(聖山歸雲), 기령숙무(箕岺宿霧), 죽림청풍(竹林淸風), 국포추월(菊圃秋月), 반계어가(磻溪漁歌), 사평목적(社坪牧笛), 취봉낙조(鷲峰落照), 용림모우(龍林暮雨) 등을 들었다. 이 만취정 팔경만 보아도 이 정자가 얼마나 운치가 있었는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어찌하여 이렇게 퇴락해져 가고 있는 것일까?

 

퇴락해가는 정자, 주인은 어델가고

 

정자 안으로 들어가니 꽤나 단아하다. 이 정자의 주인은 멋을 아는 사람이다. 한 눈에 보아도 정자에 많은 공을 들였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죽림청풍이라 했던가? 정자의 뒤로는 대나무가 서 있다. 바람이 부니 와사삭하는 대잎 부딪는 소리가 들린다. 이런 소리를 만취정 팔경 중에 넣어 멋을 일궈냈다.

 

 

 

정자 옆 암벽에도 만취정이라 음각을 한 글이 보인다. 그것이 만취정의 멋을 더한다. 창호 하나에도 정성을 쏟았다. 이런 정자가 주인을 잃어 사그라진다는 것에 마음이 아프다. 만취정 앞으로 내가 흐른다. 맑디맑은 물이 흐른다. 그리도 만취정 좌측 조금 떨어진 곳에 빨래터가 있다. 바로 이런 멋을 알기 때문에 만취정의 주인은 이곳에 정자를 지었을 것이다.

 

앞을 흐르는 냇물과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 아낙네들. 그 빨래터에서 도란거리는 소리가 들려오는 정자에서 대바람 소리를 들으며, 술 한 잔과 시 한 수가 있었다면 이보다 더한 풍취가 어디 있을까? 만취정은 그런 자리에 몸을 낮추고 앉아있다.

 

왜 퇴락한 정자만 보면 눈물이 나는지

 

이 아름다운 만취정이 부서지고 있다는 것이 아프다. 왈칵 눈물이 쏟아진다. 왜일까? 이런 아름다운 정자가, 어쩌다가 이리 손을 보지 못해 망가지고 있을까? 정자 뒤로 돌아가니 아궁이가 보인다. 뒤를 제외한 삼면에 마루를 내고, 그 가운데 방을 드렸다. 이곳에서 사시사철 주변을 돌아보며 세월을 낚았을 것이다.

 

 

 

그것도 부족하면 앞을 흐르는 내에서 작은 물고기라도 잡는 천렵을 하지는 않았을까? 그저 정자에 올라만 있어도 흐뭇하다. 모든 것을 상상만 해도 즐거운 정자. 그것이 바로 만취정이다.

 

만취정을 돌아보고 떠나면서도 자꾸만 뒤를 돌아보게 된다. 행여 저 만취정은 어느 날 다 사그라져 버릴 것만 같아서다. 몇 번이고 눈 안에 담아두고 떠나는 길에, 갈 까마귀 한 마리 저리도 서럽게 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