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각화사는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에 소재하고 있다. 각화사는 신라 신문왕 6년인 686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하고, 고려 예종 때 계응이 중건하였으며, 1926년에 달현이 중수하였다. 각화사가 자리하고 춘양은 강원도 태백과 서로 이웃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봉화를 가려면 구절불구불한 산길에 조성한 국도를 위태롭게 가야 했지만 요즈음은 넓고 곧은길이 나있어서 편하다.

 

봉화군에는 우리가 대찰이라고 부를 만한 절은 없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왕조실록을 보관하던 태백산 사고가 생기면서, 태백산 사고의 수호사찰로 정한 절이 바로 각화사이다. 각화사는 우리나라의 소나무 중 최고로 치는 춘양목이라는 가장 좋은 소나무로 유명한, 봉화군 춘양면 석현리에 자리하고 있는 의성 고운사의 말사이다.

 

각화사는 오래 전 춘양면 서동리 춘양상업고등학교 교정 자리에 남화사라는 절이 있었으나, 서기 665년인 신라 문무왕 5년에 원효대사가 이곳으로 이건하여 남화사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각화사라 명명했다고 한다.

 

 

고려 전기의 귀부가 남아있어

 

각화사에는 고려 전기에 세운 비 받침돌인 귀부가 남아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제 제189호인 각화사 귀부가 소재한다. 이 귀부는 각화사에 놓여 있는 비의 받침돌로, 고려 전기 문신인 좌간의대부 김심언이 세웠던 통진대사비(通眞大師碑)’의 일부로 전하고 있다. 이 귀부는 통일신라 시대에 세워진 귀부들과는 사뭇 다른 형태로 조성되었다.

 

귀부는 바닥돌과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 중앙에 마련된 비를 꽂아두는 비좌는 약간 파손이 되긴 하였으나 거의 본 모습을 갖추고 있다. 등 무늬는 6각형이 전면에 덮여 있고, 그 안마다 ()’자와 ()’, ()‘자를 를 도드라지게 새겼다. 대체적으로 고려 전기의 정교하고도 웅대한 조각솜씨를 이어받고 있으나, 몸통에 비해 머리가 작은 감이 든다.

 

 

비와 이수는 사라졌지만, 소중한 고려 전기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귀부의 길이는 220cm, 폭은 190cm에 높이는 92cm이다. 후에 비몸과 머릿돌을 새로이 만들어 그 위에 세워놓았다.

 

용머리에 거북, 거 참 괴이하네

 

귀부의 형태는 신라시대에는 대개 거북이의 머리와 몸으로 제작을 하였으나,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로 넘어오면서 용머리에 거북이의 몸을 가진 형태로 조성하였다.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초기의 귀부는 상당히 힘이 있어 보이는 용머리를 귀부에 붙였다. 왜 이렇게 용머리를 조각하였는지는 정확치 않으나. 아마도 강한 국권을 상징하기 위해서는 아니었을까?

 

 

각화사 귀부를 찬찬히 돌아본다. 귀두의 뒤편에는 굵게 금이 가 있으며, 귀부의 앞과 뒷발은 금방이라도 무엇인가를 낚아 챌 곳 같이 날카롭다. 귀두의 귓가에는 금방이라도 펄럭일 듯한 아가미를 새겼다. 몸체에 비해 머리가 작게 조성이 되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매우 힘이 있는 형태이다.

 

벌써 각화사를 다녀온지가 꽤 시간이 흘렀다. 그동안 밀린 자료정리를 하느라 하루 종일 부산하다. 날이 좋아 가까운 곳으로 답사라도 나가려고 했지만, 그보다는 그동안 밀린 자료정리가 더 시급할 것 같다. 올해도 300장이 넘는 자료CD가 장식장에 나란히 꽂힌다. 각 종류별로 구분을 하여 하나하나 정리를 하다 보니 하루해가 다 지났다.

 

 

올해는 답사에 좀 더 신경을 써야겠다고 마음을 먹는다. 지난해는 생태교통으로 인해 한 달간이나 행궁동 일대를 돌아다니느라, 제대로 마음먹고 답사한 번을 못한 듯하다. 지난해 하지 못한 답사를 올 한 해 정말 열심을 내어야 할 판이다.


봉화읍에서 동남쪽으로 29km, 처음 이 청량산을 찾아갔을 때는 주변의 산 정점을 넘는 봉우리가 비포장이었다. 오프로드를 한답시고 차를 몰아 덜컹거리는 길을 따라 찾아간 곳, 청량산 청량사. 각종 기암괴석이 솟아 아름다운 경치를 만든 곳에 뒤로 암벽을 두고 주변에는 수많은 봉우리로 병풍을 친 청량사가 숨어 있다.
 
해발 870m의 청량산은 금탑봉을 비롯하여 아름다운 봉우리 12개, 8개의 동굴과 12개의 대와 신라 문무왕 3년(663년) 원효대사가 세운 청량사를 비롯한 절터와 암자, 관창폭포 등 수많은 관광자원을 갖고 있는 천혜의 자연보고이다.
 
 

 

청량산 도립공원 내에 자리한 청량사, 절을 오르는 길이 가파라 숨이 턱에 닿는다. 하지만 오르면서 올려다 본 청량사는 구름 끝에 매달려 있고, 청량사에 올라 둘러본 경관은 선경이었다. 신라 문무왕 3년(663년)에 원효대사가 창건했다는 청량사. 현재는 그동안의 잦은 소실로 인해 옛 모습은 찾아볼 수가 없지만, 천년 고찰로 그 주변의 정경만 보아도 옛 모습이 절로 그려지는 곳이다.

 

청량사가 자리하고 있는 이곳은 길지 중의 길지로 손꼽는다. 6.6봉(12 봉우리)이 연꽃잎처럼 청량사를 둘러싸고 있는데 그 중 청량사가 바로 연꽃의 수술자리라는 것이다.

 

  
그저 탄성만 하고 말았다. 말이 필여없는 경치다

  
어디서 바라보나 역시 절경이다

 

청량사 주변의 산에는 참 많은 이야기들이 전한다. 시간이 없어 청량사만 돌아보고 왔지만, 언제 틈을 내 며칠 이 청량산을 둘러보며, 그 전설이 담긴 곳들을 하나하나 찾아볼 생각이다. 그만큼 매력적인 청량산이요, 청량사다. 청량사 뒤에는 청량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보살봉이 있다. 원래 이름은 탁필봉이지만 주세붕 선생이 지형을 보고 봉우리 이름을 다시 지었다고 한다.

 

수많은 인재들이 들어와 공부를 했다는 청량산. 퇴계뿐만 아니라 원효, 의상, 김생, 최치원 등의 역사 속의 걸출한 인재들이 바로 이 청량산에서 나름대로의 뜻을 세웠댜. 퇴계의 '청량산가'에 나오는 6.6봉은 주봉인 장인봉을 비롯하여 외장인봉, 선학봉, 자란봉, 자소봉, 탁필봉, 연적봉, 연화봉, 향로봉, 경일봉, 금탑봉, 축융봉 등 12봉우리를 말하며, 하나같이 솟아 바위병풍을 두른 듯하다. 또 신라 때의 명필 김생이 서도를 닦았다는 김생굴을 포함하여 금강굴, 원효굴, 의상굴, 방야굴, 방장굴, 고운굴, 감생굴 등 8개 굴이 있다.

 

  
구름 끝에 걸린 절 청량사

  
신라 문무왕 때 원효가 창건했다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니 전설 하나쯤은 전할 것이다. 옛날 김생이 이 굴에서 9년 동안 공부를 한 후, 스스로 명필이라 자부하고 하산할 준비를 하고 있는데. 한 여인이 나타나 자신도 9년 동안 길쌈을 했으니 솜씨를 겨뤄보자고 했단다. 두 사람은 컴컴한 어둠 속에서 서로 솜씨를 겨루었는데, 길쌈해 놓은 천은 한 올 흐트러짐이 없는 데 반해 김생의 글씨는 엉망이었단다. 김생은 스스로 자신의 자만을 나무라며 1년을 더 정진한 후 세상에 나와 명필이라 칭송받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한폭의 그림을 보는 듯하다
 

  
청량사 경내에 산신각

 

어디 이런 전설뿐이겠는가? 그만큼 청량산은 아름답다. 그리고 산 밑에 걸린 청량사는 어디를 보아도 가히 절경이다. 올 가을 단풍이 청량산을 물들일 때 다시 한번 찾아 옛 전설 속으로 푹 빠져들고 싶다.

경부고속도로 목천IC 나들목을 나서 병천 방향으로 약 4km쯤 가게 되면 상량골 마을이 나온다. 기술대연구소 옆으로 난 좁은 도로를 따라 북동쪽으로 들어가면 은지리 은석골을 만난다. 첩첩산중이라고 해야 맞을 듯한 산위로 향하는 이 비포장도로를 따라가면, 은석골에서 거리를 둔 은석산의 남쪽계곡에 은석사가 자리하고 있다.

 

은석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다. 이 은석사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보이는 은석사와 동일한 사찰로 추정되며, 현재의 절은 와편 및 초석 등으로 볼 때 1530년 이전에 건립된 절로 보인다. 414일 이 은석사에서 9회 은석사 진달래 화전축제를 연다고 해서 구불구불 산길을 돌아 찾아갔다.

 

 

단출한 은석사에 손님들이 찾아들어

 

은석사를 찾아가는 초행길은 쉽지가 않았다. 몇 번을 여기저기 돌아 찾아가니 주차장이란 작은 푯말이 붙은 곳에는 수십 대의 차량들로 들어차 있고, 여기저기 차를 세울만한 곳에는 모두 차들이 들어차 있다. 이곳은 은석산을 산행하는 사람들이 즐겨 찾는 곳이라고 한다. 잔칫집답게 사람들이 모여 전이며 화전을 들고 있다.

 

절은 의외로 단출하다. 비구니 스님 두 분이 거주하고 계시다는 은석사는, 본전인 보광전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79호인 <천안 은석사 목조여래좌상(天安 銀石寺 木造如來坐像)>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2호인 <천안 은석사 아미타극락도(天安 銀石寺 阿彌陀極樂圖> 등 두 점의 문화재를 소유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조형한 목조여래좌상

 

목조여래좌상은 은석사 보광전에 모셔진 조선조 후기의 목조불상이다. 목조여래좌상은 높이 135cm, 어깨 폭 27.6cm로 불상의 얼굴은 방형이다. 불신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나 좁은 어깨와 넓은 무릎 폭으로 인해 안정감이 있어 보인다. 두 귀는 크고 목은 짧은 편이다. 짧은 목에 삼도가 뚜렷하다.

 

여래좌상의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하였고, 별개로 만든 왼손은 발 위에 놓아 중지와 약지를 구부렸다. 오른쪽에 어깨위로 둥글게 걸친 변형 우견편단식 법의와 옷주름은 단조롭게 표현하였다.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여래좌상은, 허리를 곧추세운 채 굽어보는 듯한 자세와 단정한 이목구비,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신체 묘사 등이 특징이다.

 

 

목조여래좌상의 후불탱화인 아미타극락도

 

원래 은석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이 은석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나, 정확한 연대는 알지 못한다. 조선 영종 때의 암행어사 박문수 묘가 절의 위편에 자리하고 있어, 은석사에서 이 묘를 지키는 일도 함께 맡아했다고 한다.

 

목조여래좌상 뒤편에 걸린 후불탱화인 아미타극락도는 가로 185cm, 세로 145cm로 견본채색(絹本彩色)을 사용하였다. 이 아미타극락도는 부분적으로 변색되어있고, 군데군데 훼손이 심한상태이다. 하단부 좌우에 화기(畵記)가 남아있어, 함풍 11, 즉 철종 12년인 1861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이 후불탱화는 여래좌상의 후불탱화로 그려진 것은 아니다. 화기에 적힌 것을 보면 태화산 마곡사 부용암에 봉안되었던 것을 옮겨온 것임을 알 수 있다. 화원의 이름 등은 훼손이 심해 알 수가 없다.

 

 

봄날 찾아간 은석산 은석사. 이날 진달래화전축제를 기념하기 위해 짜장스님이 이곳에서 350명에게 스님짜장 봉사를 했다. 스님짜장을 맛보기 위해 길게 줄이 늘어진 것을 보고, 짜장스님의 인기는 갈수록 더해만 간다는 생각이다. 팔작지붕으로 조성한 보광전과 삼성각, 그리고 두어 동의 요사 등이 있는 은석사의 봄은 그렇게 무르익고 있었다.

비바람이 거세다. 장마철에 답사를 떠난다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 하지만 좋은 기회를 맞았다면 그보다 더한 날이라고 해도, 망설일 이유가 없다. 7월 14일(토), 아침 일찍 출발을 하여 도착한 남해 보리암. 가는 내내 비가 뿌려댄다. 버스에서 내려 셔틀버스로 옮겨타고, 다시 걸어 올라가는 보리암의 여정은 결코 만만치가 않다.

 

카메라가 젖지 않게 하기위해 거기다만 신경을 쓰다가 보니, 옷은 이미 속까지 축축하게 젖어온다. 질척이는 길을 걸어 도착한 보리암은, 자욱한 해무 속에서 신비로운 모습으로 여행객들을 맞이한다. 어디라고 들릴 사이에 없이 전각 앞을 지나, 바닷가를 내려다보고 있는 삼층석탑으로 향했다.

 

 

전설과는 거리가 먼 삼층석탑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보리암 경내에 서 있는 경남유형문화재 제74호인 ‘보리암전 삼층석탑’. 이 탑은 보리암 종각 옆으로 난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바닷가 절벽 위에 우뚝 서 있다. 크지 않은 이 삼층석탑은 비보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석탑은 전하는 전설에 따르면 신라 신문왕 3년인 683년에 원효가 금산에 처음으로 절을 세운 것을 기념하기 위해, 가락국의 수로왕비인 허태후가 인도에서 가져온 파사석을 이용하여 탑을 만들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일설에는 허태후가 가져 온 부처님의 사리를 이곳에 안치하기 위해 탑을 세웠다고도 전한다.

 

 장맛비 속에서 남해  보리암으로 오르는 사람들(위)과 비와 해무에 쌓인 보리암(아래)

 

하지만 이러한 전설은 실제와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삼층석탑은 파사석이 아닌 화강암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또한 석탑의 조형을 보면 고려 초기의 형태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전설과는 차이가 난다.

 

남해를 바라보고 있는 크지 않은 석탑

 

장맛비가 쏟아지는 데도, 남해를 바라보고 있는 석불입상 앞에는 그 비를 맞으면서 기도를 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보인다. 그리고 석탑 옆 바위에는 이름들을 새겨 놓았다. 저 바위와 같이 오랜 시간 잘 되기를 바라는 염원에서였을까? 어디를 가나 저렇게 돌에 새긴 이름들을 본다는 것이 이젠 씁쓸하기만 하다.

 

 

삼층석탑 주변의 바위(위)와 경남 유형문화재 제74호인 '보리암전 삼층석탑(아래)

 

보리암 전 삼층석탑은 일반적인 석탑에 비해, 그 크기가 크지 않은 편이다. 석탑에는 특별한 조각이나 그런 것들이 없이 그저 평범한 모습이다. 커다란 돌 하나로 기단을 놓고, 그 위에 면석을 놓았다. 면석에는 양편에 모서리기둥인 우주를 새겨놓고, 그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렸다.

 

각 층의 몸돌에도 양 우주를 돋을새김 하였다. 지붕돌의 받침은 4단으로 조성을 하였으며, 처마는 약간 경사가 지게 하여 자연스럽게 처리를 하였다. 상륜부에는 보주가 남아있으며, 고려 초기의 석탑의 유형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천년 세월 남해를 바라보고 금산 보리암의 비보석탑으로 지켜 온 고려초기에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보리암 삼층석탑

 

쏟아지는 장맛비 속에서 자욱한 해무에 쌓인 보리암전 삼층석탑. 천년 세월을 그 자리에서 남해를 바라다보면서, 이곳을 들리는 수많은 참배객들의 기원을 얼마나 들어준 것일까? 그래도 그 오랜 세월, 그 자리에서 기다려주어 고맙다. 이 탑 하나를 보기 위해 그 먼 길을 빗길에 달려온 나그네를 맞는 삼층석탑. 비보석탑인 이 삼층석탑에 고개를 조아리고, 내 주변의 모든 나쁜 기운이 사라지기를 간절히 빌어본다.

 

가슴까지 서늘하게 만들 만한 맑은 물이 암반 위로 흐른다. 물은 그렇게 돌바닥 위를 흐르면서 소리를 낸다. 마치 바닥의 암반이 차서, 얼른 피해가려는 듯 내리 구른다. 전남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에 소재하고 있는 도림사 앞으로 흐르는 계곡. 도림사 계곡은 해발 735m의 동악산 남쪽 골짜기를 흘러내리는 물줄기이다.

‘월봉계곡’이라고도 부르는 도림사 계곡은 동악계곡, 성출계곡과 더불어, 아홉 구비마다 펼쳐진 넓은 바위 위로 맑은 물줄기가 흐르면서 아름다운 정경을 연출한다. 마치 비단을 펼쳐놓은 듯하다는 도림사 계곡. 전라남도 기념물 제101호로 지정이 된 도림사 계곡은, 일 년 내내 물줄기가 그치는 않는 아름다운 계곡이다.



시인묵객들이 찾던 발길의 흔적

맑은 물은 쉴 새 없이 흘러 하류로 내려간다. 주변에는 늙은 노송들과 크고 작은 이름 없는 무명의 폭포들이 널려있다. 그저 바라다 만 보아도 좋다. 세세연년 이곳의 아름다운 경치를 찾아왔던 수많은 시인묵객들. 풍류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던 도림사 계곡은, 그들이 남기고 간 흔적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길이 1km 정도를 흐르는 도림사 계곡. 9개의 넓은 바위에는 선현들이 새겨 놓은 문구가 남아있어, 당시의 풍류를 느낄 수가 있다. 계곡 정상부근에는 신선이 쉬어간다고 전하는 높이 4m, 넓이 30평에 달하는 신선바위가 남아 있다고 한다. 흐르는 물줄기를 아래로 굽어보고 있는 ‘단심송(丹心松)’ 한 그루가 외롭게 보인다. 그러나 그 외로움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바로 암반 위를 흐르는 맑은 계곡물 소리 때문이다.



신라 무열왕 7년에 창건한 도림사에 오르다.

도림사는 신라 무열왕 7년인 660년에 원효대사가 창건을 한 절이다. 원효대사가 이곳에 절터를 잡을 때, 풍악소리가 온 산에 진동을 해 산 이름을 ‘동악’이라고 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도인들이 원효대사가 지은 절로 구름떼처럼 모여들었기에, 절 이름을 ‘도림사(道林寺)’로 지었다는 것이다.

원효대사가 창건한 도림사는, 한강왕 2년인 876년에는 도선국사가 중창을 하였으며, 고려 때는 지환스님이, 1633년에는 영오선사 등이 중창에 참여를 했다. 도림사 경내로 발을 옮긴다. 일각문을 들어서니 넓지 않은 경내에 전각들이 오밀조밀하다. 보제루와 오도문을 지나면 보광전, 응진전, 명부전, 칠성각, 궁현당, 정현당, 설선당, 종각 등이 있다.



수석의 경치가 삼남제일이라는 곳

도림사의 중심 전각인 보광전을 오르는 계단 좌측에는 연리지가 있다. ‘사랑나무’라고 부르는 연리지는,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합해지는 것을 말한다. 연리지는 양귀비 사후 50년이 지난 806년, ‘백거이’의 장한가에 인용이 되면서 남녀 간의 변함없는 사랑의 상징이 되었다. ‘칠월 칠일 장생전에서 깊은 밤 두 사람은 은밀한 약속을 하는데, 우리가 다시 하늘에서 만나면 비익조가 되고, 이승에서 만나면 연리지가 되세’ 라는 대목이다.



도림사를 돌아 나오면 다시 계곡의 물소리와 만난다. 들어갈 때와는 사뭇 다른 소리가 들린다. ‘수석(水石)의 풍경이 삼남에서 제일’이라고 하는 도림사 계곡이다. 그저 어딜 보아도 신선들이 유유자적 걸음을 옮길만한 경치이다. 8월 21일에 찾아간 곡성 도림사와 계곡. 더럽고 추한 사바세계가 아닌, 신선들이 살아가는 선경이 그곳에 있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