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답사를 다니다가 보면 가끔 문화재의 품격이 달라져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대개는 격강이 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어떤 때는 격하가 된 것들을 만나기도 한다. 그럴 때는 괜히 마음이 짠하다. 아마도 문화재에 문제가 있었던지 아니면 문화재 보관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기 때문이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운악산에 있는 현등사의 동종은 예전에는 경기도 지정 유형문화재였다가 지난해 1227일 보물로 격상이 된 예이다. 이럴 때면 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보물을 만났다는 것도 그렇지만, 그 문화재가 그만큼 소중하거나, 아니면 제작 연대 등이 밝혀졌기 때문이기도 하다.

 

봉선사에 봉안되었던 동종

 

가평 현등사에 소재한 동종은 원래 현등사의 본사인 남양주 봉선사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이다. 봉선사에는 보물로 지정된 또 하나의 동종이 보관되어 있는데, 이 동종은 일제강점기에 현재의 현등사로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등사 동종은 73.5cm의 아담한 크기로 종신을 여러 개의 구획선으로 나누고, 그 안에 연잎무늬, 당초무늬, 파도무늬 등을 화려하게 새겨 넣어 장식을 강조한 범종이다.

 

 

머리부분인 용뉴는 두 마리 용이 서로 등을 맞대어 몸을 꼬고 있어 안정감을 주고, 두발을 힘차게 내딛어 천판을 들어 올리는 모습에서 역동적인 표현력이 뛰어나다감. 비록 크기는 그리 크지 않지만, 둥근 곡면을 이루는 천판에서부터 종의 입으로 내려오면서 조금씩 그 폭을 넓힌 종의 형태도 아름답다.

 

주종기를 종에 기록한 소중한 자료

 

현등사 동종의 배 부분에 보면 해서체로 주종기를 돋을새김 하였다. 주종기는 광해군 11년인 1619년에 천보가 짓고 글을 새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동종을 만들게 된 연유와 종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양과 무게등을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그 뿐이 아니라 이종의 시용 용도와 참여한 사람 등도 함께 기록하고 있다.

 

 

주종기에 보면 주종장은 주종기를 작성한 천보로 보고 있는데, 그는 조선후기 승려 주종장 가운데 유일하게 임진왜란 이전부터 활동했던 인물로 알려져 있어,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의 승장의 계보나 범종의 양식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인물이다.

 

현재 현등사에 보관되어 있는 이 종은 1619년에 조선 전기 궁중양식 범종의 전통을 계승하여 제작된 범종이며, 주조상태도 양호하고 역동적이다. 종에 새긴 문양은 생동감이 있는 무늬들을 조화롭게 배열한 점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조선후기 범종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종의 양식을 따른 종

 

현등사 동종은 고려 후기 연복사종에서 비롯된 중국 종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특히 종의 중심부를 세 개의 융기선으로 구획하고, 천판에서 종의 입 사이에 다양한 무늬를 시문하여 절로감탄을 자아내게 만든다. 작은 마름모꼴의 연곽에 구슬 모양의 연꽃봉우리라든가, 천판의 내림연꽃이 중앙을 향해 보상화문처럼 말려든 형태와 그 위로 표현된 구슬무늬 등이 아름답다.

 

 

또한 종의 블록한 배 부분에 크게 자리 잡은 역동적인 연화당초무늬와, 하대에 표현된 물거품이 일렁이는 파도무늬 등은 장엄의 극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요소는 1469년 작 남양주 봉선사 동종(보물 제397)이나 흥천사명 동종(보물 제1460), 그리고 1491년 작 합천 해인사 동종(보물 제1253) 등 조선전기의 왕실발원 범종의 전통을 따르고 있는 것이다. 원래 이 종을 소장했던 봉선사도 왕실의 원찰이었기 때문에, 이전에 만들어진 궁중양식 범종의 여러 가지 요소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의 현등사는 운악산(해발 935m) 산등성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고찰이다. 신라 법흥왕 27년인 540년에 인도에서 불법을 전하기 위해 건너온 마라가미 스님을 위해 왕이 지어준 사찰로, 오랫동안 폐사 되었다가 신라 효공왕 2년에 도선국사가 다시 중창하였다.

 

현등사는 창건 이래 많은 중창을 하였다. 신라 말 효공왕 2년인 898년 도선국사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동쪽의 지세가 약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운악산을 돌아보던 중 옛 절터가 있는 것을 보고 이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두 번째 중창은 고려 회종 6년인 1210년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서 불빛이 비쳐 이곳을 찾아오니 석등과 마륵바위에서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현등사라 이름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태종 11년인 1411년 함허득통화상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현등사 경내에는 1619년 봉선사에서 조성한 보물 제1793호인 현등사 동종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인 삼층석탑, 183호인 목조아미타좌상, 184호 청동지장보살좌상 등 12점의 문화재가 전해지고 있다.

 

2km를 걷는 길 겨울경치도 아름다워

 

날이 차다. 입구에서 현등사까지의 거리는 2km 남짓. 하지만 주변 경관을 들러보고 가노라면 언제 다 왔는지 일주문이 보인다. 운악산 현등사라고 현판을 단 일주문을 지나면 계단을 오르는 초입에 불이문이 서 있다. 불이문 한 옆 커다란 바위위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기원을 담은 작은 돌들이 빼곡히 쌓여있다.

 

 

천천히 계단을 오른다. 바쁜 일이라고는 없지 않은가? 그저 오늘은 세상 시름 이곳에 다 버리고 훌훌 털고 가야겠다는 생각이다. 조금은 안쓰럽게도 보이지만, 그래도 온갖 세월의 풍상을 다 이겨낸 지진탑이 보인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그 앞에 머리를 숙인다. 그 탑이 대단해서가 아니라, 오래 전 그 탑을 조성한 장인에게 죄스런 마음 때문이다. 제대로 지켜내지 못했음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에 삼층석탑이 보인다. 이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했다고 한다. 하지만 도굴을 당한 것을 2006년 삼성문화재단으로부터 되돌려 받아, 다시 제 자리에 모셨다고 하니 탑이 더 빛을 발하는 듯하다.

 

응진전 앞에서 걸음을 멈추다

 

절이라는 곳이 명소 아닌 곳이 어디 있겠는가? 곳곳의 전각마다 부처가 아니 계신 곳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나에게 가장 눈에 띤 것은 바로 커다란 소나무 밑에 한 칸으로 조성을 한 응진전이었다. 그 모습이 왜 그리 눈물겨웠을까? 아마도 그 안에 들어가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하고 있는 저 보살도 나와 같은 생각이 아니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고찰들을 찾아다니다가 보니, 이제는 그 분위기만 보아도 대충은 그 절의 세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웅장하고 사람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아니면 일 년의 수입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물론 요즈음같은 물질만능시대에 그런 것으로 절의 가치를 정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절에서 고승들이 득도를 했을까? 왜 역사에 남을만한 고승들은 모두 사람의 발길이 미치지 못하는 깊은 산속으로 숨어들었을까? 인간의 오욕이 보이지 않는 곳을 찾아 부처의 참 마음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아니었을까? 현등사 경내를 돌아보면서 온갖 질문을 하고 그 해답을 얻으려고 애를 써본다.

 

하지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이미 내 마음과 몸이 속세의 찌들어있는데. 그저 바람 한 점이 불어 내 몸에 묻은 속세의 먼지를 훌훌 털고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눈은 녹았지만 찬바람은 그대로인 한 겨울의 현등사. 그곳에서 난 잠시 동안이나마 속세를 떠나 자유로운 영혼이 되어본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소재한 봉선사. 봉선사는 고려 광종 20년인 969년에 법인국사인 탄문이 창건한 절이다. 법인국사는 운악산 기슭에 절을 짓고 이름을 운악사라고 하였다. 운학사는 조선조 세종 때 7개의 종파를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양종으로 통합이 됨에 따라 혁파되었던 절이다.

그 뒤 조선조 예종 1년인 1469년에 정희왕후 윤씨가 선왕인 세조의 능침을 보호하기 위해, 89칸으로 중창하고 이름을 봉선사로 개명하였다. 그 뒤 명종 6년인 1551년에는 교종을 대표하는 사찰이었으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수차례나 훼손되어 다시 중수를 하였다.



봉선사 대종과 괘불이 전해

봉선사는 한국전쟁 때 150칸이나 되는 전각들이 완전 소실이 되었으며, 현재 남아있는 전각들은 모두 근래에 들어 다시 중창한 것이다. 현재 봉선사에는 조선 초기 범종 연구에 귀중한 자료인 보물 제397인 대종이 남아있다. 이 대종은 1469년에 제작한 종으로, 이렇게 큰 대종을 당시에 주조하였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2월 26일 오후, 의정부에서 봉선사로 향했다. 봉선사를 찾아가려면 광릉내 숲을 지나야만 한다. 엄청난 고목들이 즐비하게 서 있는 길을 지나 봉선사에 도착한 것은 오후 3시가 다 되어서이다. 봉선사 일주문 앞에는 많은 차량들이 서 있고, 연신 사람들이 경내로 들어선다. 아마도 모처럼 주말을 맞아 나들이를 나온 듯하다.




세상에 이럴 수가, 배터리가 아웃이라니

봉선사 주차장에서 대웅전까지의 거리는 얼마 되지 않는다. 그런 길을 굳이 차를 갖고 안으로 들어오는 사람들로 인해 불안하다. 밖에 차를 대고 걸어도 불과 10여분도 안 걸리는 거리가 아니던가? 입구에는 커다란 느티나무 한 그루와 하마비가 서 있다. 안으로 걸음을 옮기면서 선방을 촬영하다가 보니, 배터리가 떨어져 버렸다.

이럴 수가 있나, 여유분의 배터리는 차에 두고 왔는데 난감하다. 할 수 없이 휴대폰을 꺼내들었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이렇게 휴대를 한 손전화를 이용해서라도 답사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현재 봉선사에는 16동의 전각이 자리하고 있다. 입구에 있는 청풍루를 비롯해, 운하당과 관무현, 대웅전의 양편에는 관음전과 지장전이 서 있다.



대웅전의 뒤편으로는 조사전과 삼성각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다경실과 개건당, 방적당, 동별당, 서별실, 종루 등이 자리한다. 휴대폰으로 하나하나 촬영을 하다가 보니 영 마음에 들지가 않는다. 그래도 어찌하랴, 그나마 고맙게 생각을 할 수 밖에.

화마를 입고도 남아있는 대종

봉선사의 대종은 임진왜란 이전에 주조된 종 중 몇 개 남지 않은 조선 전기의 동종이다. 예종 원년인 1469년에 왕실의 명에 따라 만들었다. 높이 238㎝, 입지름 168㎝, 두께 23㎝의 이 종은 꼭대기에는 용통이 없고, 두 마리의 용이 서로 등져 종의 고리 구실을 하는 전형적인 조선종의 형태이다.




종의 몸통 위부분에는 이중의 가로줄을 돌려, 몸통 부분과 구분 짓고 있다. 줄 윗부분에는 사각형의 유곽과 보살을 교대로 배치하였고, 아랫부분에는 강희맹이 짓고 정난종이 글씨를 쓴 장문이 새겨져 있다. 글에는 종을 만들게 된 연유와 만드는데 관계된 사람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어서, 이 종을 제작하기 위해 대대적인 불사를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시간 이상을 천천히 돌아보면서 종각으로 향했다. 그러나 종각은 출입을 통제시켜 놓아, 이층 누각으로 오를 수가 없다. 다행히 또 하나의 대종을 본떠 만든 종이 축대 위에 있어, 그곳에서 보물 대종의 모습을 알아볼 수가 있었다. 주말, 광릉내 숲과 함께 돌아보기 좋은 봉선사. 날도 풀렸으니 한번 찾아가 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