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박 3일, 짧은 시간 동안 기나 긴 여행을 했다. 금요일은 공포라고 했던가. 그러나 난 그러한 것은 애당초 염두에 두지를 않는다. 우리 전통에서는 금요일도 아무런 두려움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한 이야기는 장사꾼들의 상술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2박 3일 동안 소득을 정리해본다. 중요민속문화재 4점, 사적 2점, 천연기념물 2점, 보물 1점, 지방문화재 2점, 그리고 지방문화재자료 3점. 이 정도면 2박 3일의 답사치고는 꽤나 짭짤한 소득이란 생각이다.

 

상주를 거쳐 차 한 대 만나지 못하는 산길로 접어들어, 충북 영동으로. 영동을 출발해 무주, 진안을 거쳐 남원. 남원에서 전남 구례를 거쳐 보성 벌교. 벌교에서 보물인 벌교 홍교를 촬영한 후, 다시 목포로. 그리고 무안을 거쳐 정읍, 곰소, 그리고 다시 여주로 돌아오면서 2박 3일간 총 1340km가 넘는 대장정을 마쳤다. 그리고 그 답사의 끝은 꽃무릇으로 명성을 얻은 전남 함평 해보면의 용천사였다.

 

  
용천사 사천왕문 앞에 있는 단풍나무. 붉다 못해 빨강 물감을 뚝뚝 떨구고 있다.


용천사에서 본 것은 꽃무릇이 아닌 단풍이다. 마지막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단풍. 그것은 단풍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울음이었다. 그 아름다운 색. 어찌 말로 표현을 할 수가 있을까? 그저 색이 아닌, 어느 신선이 그림을 그리려고 물감을 들고 가다가 엎어놓은 색. 만색(晩色)이 한 폭의 그림 안에 자리를 잡았다. 누가 이것을 색이라고 표현을 하겠는가.

 

단청 그리고 단풍. 단청도 아름다운데, 그 아름다운 단청이 고개를 숙였다

  
늦은 가을산의 단풍. 그것은 차라리 눈물이었다
 


용천사는 꽃무릇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런 이야기는 정작 용천사를 잘 모르는 사람들의 입바른 소리다. 가을, 그것도 가을. 단풍철이 지난 다음 용천사를 가보라. 진정한 단풍은 그때 용천사에서 시작한다. 내가 가을에 용천사를 찾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 용천사에는 진정한 가을이 있기 때문이다.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좋다. 오래도록 보다가 눈물 한 둘기가 흐르면 더욱 좋다. 그것이 용천사의 가을 단풍이다.

  
초록과 붉은 색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그저 바라만 보아도 가슴이 뛰는 단풍. 보다가 보다가 눈물 한 줄기가 덜컥 볼을 타고 내린들 어떠하리. 용천사의 초록색 무릇과 붉은 단풍이 연애를 한다. 그래서 용천사에는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만들어진다.

 

  
아름다운 용천사의 단풍

  
산길, 바위와 낙엽, 그리고 무릇과 단풍. 그저 말 한마디 안해도 드 안에 온갖 이야기가 다 있다

 

무슨 이야기를 할까? 그저 아무말 없어도, 눈빛 하나만으로 모든 이야기가 다 이루어지지 않을까? 숨 한번 쉬지 않아도, 같은 호흡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긴 여정을 마치고 당도한 곳에서 진정한 가을을 만난다.

 

혼자 남은 단풍이 자태를 자랑한다. 그래서 흐드러진 것 보다, 다 아름다운 단풍이다,

 

누가 자연을 논하랴. 어느 누가 그 자연을 감히 세치 혀로 논하랴. 자연을 늘 거기에 있었고, 우리는 늘 그 자리에서 자연의 한 부분으로 살아왔다. 어느 순간, 인간이 스스로 자연이 아니라고 한들, 자연이 인정을 할까? 괜히 바보가 되지 않는 길은, 이 자연속에 나를 파묻는 것이거늘. 2박 3일의 여정의 끝에 난 자연으로 돌아간다.

문화재 답사를 하면서 늘 느끼는 것은, 다양한 모습을 만날 때마다 신비롭다는 것이다. 어떻게 선조님들은 이렇게 다양하게 하나하나 생명을 불어 넣을 수 있었는지, 아무리 생각을 해도 그 답을 얻을 수가 없다. 아마도 오랜 세월을 그렇게 조형을 한 문화재마다, 그 문화재를 조성한 장인들의 혼이 들어있을 것이란 생각 밖에는 말이다.

 

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 광암리에 위치한 용천사는, 꽃무릇으로 유명한 절이다. 이 용천사의 가을 풍취는 아름답기로 소문이 나 있다. 용천사를 찾았을 때는 꽤나 늦은 가을이었는가 보다. 절집 여기저기 아름다운 단풍이 온통 치장을 하고 있었을 때였으니. 그런 곳을 다녀오면 아무리 시간이 지난다고 해도 쉽게 잊히지가 않는 법이다.

 

작은 석등 하나, 거 참 신기하네

 

용천사 경내의 여기저기를 찍다가보니, 전각 앞에 작은 석등 한 기가 서 있다. 석등은 부처님의 말씀을 온누리에 펼쳐 사바세계를 밝게 비친다는 뜻을 갖고 있다. 석등은 절 경내뿐만 아니라 묘역 등에도 세우는데, 이것은 유택에 잠든 영혼의 저승길을 밝힌다는 뜻을 갖고 있다. 묘역에 세우는 석등은 장명등이라고도 부른다.

 

그런데 이 석등을 바라보다 한찬 넋을 빠트리고 말았다. 크지 않은 석등이지만 일반적으로 보아왔던 석등과는 많이 다르다. 이렇게 낯선 문화재를 만날 때면 괜히 가슴이 콩닥거린다. 비밀스런 그 무엇을 찾은 기분이라고 표현을 해야 할까? 작은 석등 하나가 주는 즐거움은 답사에 빠져보지 않은 사람들은 그 마음을 이해할 수가 없다.

 

 

 

함평 용천사의 석등은 불을 밝히는 화사석을 받치는 기둥인 팔각 간석에, 강희 24년이라 음각을 해 놓았다. 조선조 숙종 11년인 1685년에 조성한 석등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한 조성연대까지 음각을 한 경우도 드문 예이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보던 석등과는 다른 용천사 석등. 그 모습이 자꾸만 시선을 딴 곳으로 돌리지 못하게 만든다.

 

간주석 거북이들, 어디까지 오르려고?

 

우선 이 석등의 머릿돌은 팔작지붕을 본떠 만들었다. 지붕의 형태도 그렇지만 처마에 부연을 달아낸 것까지 조각을 하였다. 부연 밑에는 투박하기는 해도 공포를 조각한 것도 보인다. 이런 석등을 찾아보기란 쉽지가 않다. 화사석은 간단한 무늬를 음각해 고졸한 멋을 풍기고 있으며, 둥글게 창을 내었다.

 

화사석을 받치고 있는 간석은 연꽃문양을 조각하였다. 석등의 아랫 간석에는 두 줄을 내고 네 마리의 거북이가 매달려 있었는데, 현재는 두 마리만 남아있다. 거북이의 형태는 흡사 줄에 매달린 듯 재미난 형상을 하고 있다. 저 거북이들이 저렇게 위로 오르다가는 화사석에 낸 창 안으로 들어갔다가 불에 델 것만 같다. 혹 두 마리는 벌써 탄 것은 아닐까? 괜한 생각을 하면서 속으로 키득대본다.

 

용천사는 6·25 동란 때 불에 타서 거의 모든 유물들이 소실이 되었는데, 이 석등만은 제 모습을 갖추고 있다. 높이 2.37m의 화강암 쑥돌로 조성된 이 석등은 투박하지만, 나름대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 이 용천사의 석등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84호로 지정이 되어있다. 일반적인 석등과는 달리 팔작지붕을 얹고 원형의 화창을 낸 화사석. 그리고 간석에 붙은 거북의 모습 등, 조금은 매끄럽지 못한 듯한 모습으로 조성이 되었지만, 가치가 있는 소중한 문화재이다. 답사에서 만나게 되는 작은 문화재 하나가 주는 즐거움. 용천사 석등은 바로 그런 즐거움을 만끽하게 해준 문화재였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