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546에 소재한 포천 향토유적 제17호인 금수정(金水亭), 1989년 복원한 정자로 영평 8중 제 2경으로 창수면 오가리 영평천 가에 자리하고 있다. 앞으로 영평천 맑은 물이 흐르며, 주변은 숲으로 쌓여 가히 절경에 자리하고 있는 정자이다. 원래 이 금수정은 4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정자였다.

 

1608년경에 이곳에 김씨 성을 가진 사람이 우두정이라는 정자를 지었는데, 이 정자를 사위인 봉래 양사언(1517(중종 12)~1584(선조 17)에게 주었다고 한다. 봉래 양사언 선생은 정자이름을 금수정이라 하고, 편액도 갈아 붙였다는 것이다.

 

 

어머니의 정성이 대문호를 만들다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리 없건만은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뫼만 높다 하더라

 

양사언은 돈녕주부 희수(希洙)의 아들이다. 어머니가 소실로 양민에게 시집을 사는 바람에 서자(庶子)로 태어났다. 어머니가 부친인 양민에게서 어릴 적 부채인 채단을 선물로 받고 끝까지 딴 곳으로는 시집을 가지 않겠다고 우겨, 나중에 정실부인이 있는 양민에게 후처로 들어가게 된다. 양민이 죽던 날 양사언의 모친은 정실부인의 소생인 양사준에게 부탁을 한다. 자신이 남편과 같은 날 자결을 해 죽으려고 하니, 자신이 낳은 아들들에게 서자라 부르지 말 것을 부탁하고, 스스로 비수로 찔러 목숨을 끊었다는 것이다.

 

 

이런 어머니의 정성이 있어 양사언은 명종 1년인 1546년 식년문과에 급제했다. 양사언은 금강산을 자주 들리고는 했는데, 그의 호를 봉래(蓬萊)’라 한 것을 보아도, 양사언이 금강산에 남다른 마음을 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양사언은 1556년을 전후로 대동현감을 지냈으며, 그 이후 삼등·함흥·평창·회양 등지를 다니며 직임을 맡았다. 회양에 나간 것은 금강산을 따라 스스로 택한 것으로, 이때 금강산에 관한 시를 많이 남겼다. 1564년에 고성군의 구선봉 밑 감호가에 정자 비래정(飛來亭)’을 짓고 풍류를 벗 삼으며 은거했다.

 

 

선조 15년인 1582년 다시 안변군수로 나갔으나, 다음해 번호 변란을 당해 수사의 책임을 지고 해서에 귀양 가서 1584년인 68세에 세상을 하직했다. 양사언은 점복에도 능하여 임진왜란을 예고했다고 하며, 조선 전기 4대가로 일컬어질 만큼 서예를 잘해 초서와 해서에 능했다.

 

양사언의 숨결을 낚다

 

금수정은 울창한 숲속에 자리 잡고 있어, 앞으로 흐르는 영평천의 맑은 물과 숲이 아름답게 어울리는 곳이다. 안동김씨의 소유로 전해오면서 몇 차례 중수되었으며, 6.25때 완전 소실된 것은 1989년에 현재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정자의 현판은 봉래 양사언 선생의 글씨이며, 정자 옆에는 선생의 시조비인 태산이 높다하되가 서 있다.

 

 

정자는 팔작지붕으로 지어졌으며 정면 2, 측면 2칸이다. 정방형의 주추를 놓고 그 위에 둥근 기둥을 올렸다. 기둥의 밑동 위에 마루를 놓고 난간을 둘러, 멋진 정자로 지었다. 크지 않은 정자가 숲과 영평천과 잘 어울린다는 느낌이 든다. 과거 봉래선생도 이곳에서 이런 아름다운 절경에 취해 시 한 수 짓지 않았을까? 떠가는 구름조차 아름답다는 생각이다.

 

포천시는 예로부터 선비, 화가들의 금강산 유람길의 노정에 있어 꼭 들리는 명승지가 있다. 바로 영평팔경이다. 현재 포천시 창수면과 관인면에 걸쳐있는 영평팔경은 영평강과 한탄강이 합수하는 언저리에 몰려있어, 예전에는 배타고 말 타면서 쉬엄쉬엄 들렸을만한 아주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포천의 자랑인 영평팔경’. 가는 곳마다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기괴한 바위 등이 솟아있으며, 정자와 정자지 등이 손을 반기고 있다. 어느 시인 묵객들이 이곳을 그냥 지나칠 수 있었을까? 아름다운 그 모습을 소개한다.(이 자료는 포천시에서 배포한 것입니다)

 

- 1경 화적연(경기도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 산115-2)

영북면 자일리와 관인면 사정리 경계에 있는 화적연은 한탄강에 있는 큰바위와 깊은 연못으로 이루어진 절경이다. 마치 볏 짚단을 쌓아 올린 것 같은 형상이어서 화적(禾積)’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 2경 금수정(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546번지)

금수정은 영평팔경의 하나로 조선 전기 안동김씨인 금옹 김윤복이 정자를 세우고 우두정(牛頭亭)’이라 하였다가, 김윤복에겐 아들이 없어 사위인 봉래 양사언에게 물려주었다. 그 후 봉래 양사언이 정자 름을 금수정(金水亭)’이라 개명하였으며, 이후 안동김씨가 소유하고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 3경 창옥병(경기도 포천시 창수면 오가리 산125-4번지)

창수면 오가리 영평천변에 자리해 있는 창옥병은, ‘푸른 옥 병충이란 이름처럼 기암괴석으로 된 병풍을 연상케 한다.

 

- 4경 낙귀정지(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 424-2번지)

낙귀정지는 낙귀정이라는 작은 정자가 있던 자리이다. 이 정자는 영의정으로 등용된 중신 황씨가 관직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와 집 근처에 지은 것이라고 전한다.

 

- 5경 선유담(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52-3)

이동면 도평리 백운동 계곡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선 선()’, ‘놀 유()’자를 쓴 이름 그대로 신선이 놀던 자리라고 한다.

 

- 6경 와룡암(경기도 포천시 일동면 수입리 산50-2번지)

일동면 수입리 산내지동에 있는 명승지이다. 예부터 철쭉이 피던 6월이면 활짝 핀 꽃이 그대로 수면에 비쳐 절벽도 붉고 물로 홍류를 이루었다고 한다. 수중에 누워있는 기암이 용을 연상케 해 와룡암이라 불렀다.

 

- 7경 백로주(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거사리 163번지)

영중면 거사리 포천천 하류에 있는 조그마한 바위산으로 백로가 물속에 서서 사방을 바라보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다.

 

- 8경 청학동(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금주리 산39)

일동면에서 흘러내려온 물줄기를 껴안은 듯한 형태로 암석이 병풍처럼 둘러진 절벽이다. 암벽 낭떠러지에는 청학동이라 새겨진 암각이 있고 그에 얽힌 전설이 구전되고 있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