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당진시 면천면 성하리 510에 소재한 영탑사. 해발 210m의 차령산맥에서 뻗어나간 상왕산 동쪽 산기슭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고찰이다. 영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로서 사적기가 없어서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말 풍수지리설로 유명한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충렬왕 때 보조국사 지눌이 중건했다고 한다.

 

영탑사라는 사명은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탑사에는 부처의 진신을 이르는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으며, 유리광전 뒤에는 바위 위에 7층 석탑이 서 있어 이름과 잘 맞아 떨어지는 절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인 1798년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운치있는 절 영탑사

 

영탑사를 찾은 것은 9월도 다 지나가고 가을 기운이 돌 때쯤이었다. 절 입구에 있는 늙은 고목 한 그루가 땀을 흘리며 찾아든 나그네에게 그늘을 내준다. 잠시 쉬고 있으려니 눈앞에 영천이라는 샘이 보인다. 하지만 물을 먹을 수 없다는 안내판이 걸려있다. 지금은 먹을 수 있으려는지.

 

천천히 걸음을 옮겨 경내로 향한다. 가람은 말끔하게 정리가 되어있으며 이미 꽃을 떨군 연꽃들이 커다란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여있다. 연꽃이 피었을 때 왔으면 더 좋았을 것을. 보물 제409호로 지정된 금동삼존불을 보관하고 있는 영탑사를 한 바퀴 돌아본다. 어느 곳 하나 눈에 거슬림이 없다.

 

 

전설 가득한 절 영탑사

 

대웅전으로 찾아들어가 예를 올린다. 언제나 절을 찾아가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다. 땀을 식힐 겸 천천히 108배를 한다. 아직은 날이 더워 잠시 주춤했던 땀이 다시 흐른다. 아랑곳하지 않고 108배를 마친 후 고개를 들어 앞을 바라본다. 불단 위에서 내려다보고 있는 부처님들의 상호가 한 없이 자비롭다.

 

영탑사에 있는 범종과 금동삼존불, 7층석탑은 모두 가야사에서 옮겨왔다고 한다.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고자 가야사를 불태웠다고 한다. 그 때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하니, 이곳으로 옮겨온 것은 그리 오래전 이야기가 아니다. 부친의 묘를 쓰고자 절을 태웠다고 했으니, 그 성정이 올바른 것일까?

 

 

무학스님의 마애불 조성솜씨는?

 

절 뒤편으로는 계단을 오르는 길이 있다. 그 초입에 서 있는 유리광전. 유리광전 안에는 무학스님이 조상했다고 하는 마애불이 좌정을 하고 계시다. 커다란 바위에 조각을 한 것인데 약사여래불상이라고 한다. 그런데 무학스님이 조각에는 별로였는가 보다. 지방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고려말기의 형태를 지닌 마애불이다.

 

그리고 그 유리광전의 뒤편에는 칠층석탑이 자리한다. 이 석탑 역시 가야사에서 무너져 있던 것을 수습해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이 탑에는 설이 많이 전한다. 절집 한 곳을 들려 많은 문화재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행복이다. 그러한 행복을 느낄 수가 있기 때문에 답사를 계속하는 것이나 아닌지.

 

당진을 답사하면서 들린 영탑사. 새롭게 오늘 이 이야기를 하는 것은, 부처님의 가피가 온 세상에 떨쳤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갑오년 정월 초하루. 힘들기 때문에 고해(苦海)라고 세상을 표현하였다지만, 올해는 고해가 아니기를 바란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마음에 먹은 서원을 이루는 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이다.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상왕산 영탑사의 우뚝 선 암벽에 돋을새김 한 높이 3.5m의 마애불이 있다. 원래는 연화봉 자연 암반에 그대로 노출이 되어있던 것이었는데, 유리광전이라는 전각을 지어 보존을 하고 있다. 자연 암반에 새겨진 그대로였다면 좋았을 것을, 오히려 전각이 마애불의 멋스러움을 가로막은 듯한 느낌이다.

 

이 마애불은 약사여래마애불이다. 약사여래는 인간의 질병과 함께 무지(無智)까지도 고쳐준다는 부처님이다. 영탑사 약사여래 마애불은 고려말기의 마애불에서 보이는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무학대사가 조성했다는 영탑사 마애불

 

영탑사 마애불은 무학대사가 조성을 했다고 한다. 고려 말기 무학대사가 전국을 돌아보면서 도읍터를 찾고 있을 때, 이곳에 들렸는데 바위에서 이상한 빛을 내고 있었다. 대사가 가까이 가니 이상하게 생긴 바위가 보이고, 그 바위에서 아름다운 빛이 발산되고 있었다고. 이를 이상히 여긴 대사는 이 바위가 심상치 않다는 것을 깨닫고, 여기에 불상을 조각해 나라의 평안을 빌었다는 것이다.

 

현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악사여래 마애불은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큼지막하게 표현이 되어있다. 얼굴은 윗부분은 넓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가름해진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길게 표현하였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라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영탑사 마애불을 보다가 피식 웃고 만다. ‘무학대사님 조각 실력이 영 아니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세련되지는 못했으니 친근한 마음이 들어

 

눈과 코, 입은 길고 큼직한데 다소 서투르게 표현을 하였다. 그런 조각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둔한 느낌을 준다. 이런 유형의 마애불은 고려 말기 이 지역의 마애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마애불을 조각한 바위는 인근 바위와는 다르게 하나의 산처럼 생겼는데, 마애불은 근엄한 부처이기 보다는 친근함이 드러나는 형태이다.

 

그리 크지 않은 암벽 면에 조각을 한 탓인지, 몸은 사각형으로 건장하나 움츠린 듯한 느낌이 든다. 무릎 또한 높고 넓어서 얼굴과 함께 둔중함을 나타낸다. 법의는 양 어깨에 걸치고 있으며, 가슴께는 V자 형으로 되어있어, 유려하지가 않다. 안에는 속옷이 표현되어 있으며, 굵은 선으로 새긴 옷주름은 오랜 세월동안 마멸이 심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영탑사 약사여래 마애불은 둔중하면서도 친근미가 느껴지는,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 양식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작품이다. 이 불상은 많은 사람들이 와서 병을 고쳤다고 소문이 나 있다. 아마도 무학대사의 마음이 전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어! 여기 마애불 사진이 또 있었네

 

영탑사 마애불을 답사하고 난 후, 집에 와서 사진 정리를 하다가 무엇인가를 잘 못 만졌는가 보다. 사진이 보이지를 않는다. 일반적으로 답사를 하면, 문화재 한 점을 30~40장 정도를 찍는다. 물론 고택 등을 답사할 때는 그보다 더 많은 양을 찍기도 하지만.

 

그런데 사진이 보이지를 않는다. 세세하게 찍어 온 사진이 온데간데없다. 마애불을 촬영하면 모든 부분을 세세하게 찍어오는데, 도대체 어찌 된 것일까? 아무리 찾아보아도 없다. 몇 시간을 땀을 흘리고 마음을 졸이면서 카메라를 만져보았지만 단 한 장의 사진밖에 눈에 띠지가 않았었다. 그런데 몇 장이나 되는 사진이 보인다. 순간적으로 관세음보살을 외친다.

 

세상에 이런 경우가 있나, 이 사진이 도대체 어디서 나온 것일까? 그 전에는 아무리 찾아보아도 단 한 장의 사진 밖에는 보이지가 않았는데 정말 희한하다. 답사를 하면서 이런저런 일을 많이 겪지만, 이렇게 이상한 일을 당한 마애불이다. 영탑사 마애불이 그래서 더 영험한 것은 아닐지.

충남 당진시 면천면 성하리 510에 소재한 영탑사. 해발 210m의 차령산맥에서 뻗어나간 상왕산 동쪽 산기슭에 자리를 잡고 있는 고찰이다. 영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7교구 본사인 수덕사의 말사로서 사적기가 없어서 자세한 역사는 알 수 없으나, 통일신라 말 풍수지리설로 유명한 도선국사가 창건했으며, 고려 충렬왕 때 보조국사 지눌이 중건했다고 한다.

 

영탑사라는 사명은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과 지혜의 빛이 세상을 두루 비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영탑사에는 부처의 진신을 이르는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시고 있으며, 유리광전 뒤에는 바위 위에 7층 석탑이 서 있어 이름과 잘 맞아 떨어지는 절이라는 느낌을 받는다.

 

바위를 기단으로 삼은 칠층석탑

 

영탑사 경내에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로 지정이 된 영탑사 칠층석탑이 자리하고 있다. 당진군사에는 조선 정조 22년인 1798년 연암당 지윤스님이 유리광전을 보수하면서, 그 뒤 바위에 5층탑을 세운 후 절 이름을 영탑사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그러나 이 석탑은 원래 7층탑이었던 것이 이후 훼손되어 5층만 남아있던 것을, 1920년대에 이 절의 신도들에 의해 다시 7층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다고 한다.

 

영탑사 칠층석탑은 바위를 기단으로 삼았다. 별도의 석재로 구성한 기단부가 없이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칠층의 탑신을 올려놓았는데, 이 탑은 바위와 탑이 만나는 부분이 조금 어긋나 있어, 원래의 자리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탑신의 각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몸돌의 네 면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본뜬 조각이 있다.

 

 

지붕돌은 1층부터 5층까지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처마의 선이 거의 직선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새로 조성한 6층과 7층은 네 귀퉁이에서 심하게 들리고, 밑면의 받침조각도 얇아서 서로 대조를 보이고 있다. 꼭대기에 있는 머리장식은 지극히 간략화 된 모습이다.

 

대원군 때문에 이곳으로 탑을 옮겼다고?

 

이 영탑사 칠층석탑에 대한 또 하나의 전설이 전하고 있다.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기 위해서 덕산에 소재했던 가야사를 불태웠는데, 이 대 가야사의 스님들이 영탑사로 금동삼존불과 법당의 범종을 옮겨왔다는 것이다. 후에 가야사가 불에 타면서 무너져 있던 탑도 옮겨와 이곳에 다시 쌓았다는 것이다.

 

 

현재 영탑사 경내에 보관 중인 범종은 영조 36년인 1760년에 만들어진 범종이다. 이 종에는 ‘17602월 가야사 법당 금종을 백근의 쇠를 녹여 만들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정확하지는 않으나 대원군이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쓰기 위해 가야사를 불태웠고, 그 때 범종을 영탑사로 옮겼다는 설이 맞아 떨어진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이 영탑사의 칠층석탑도 가야사에서 이곳으로 옮겨왔을 확률이 높다. 탑과 바위가 만나는 부분이 조금 어긋나 있는 것도, 탑을 단 곳에서 옮겨 왔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 가야사에서 이곳 영탑사로 옮겨온 범종과 보물인 금동비로자나불 삼존좌상이 모두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이기 때문이다.

 

 

가야사에서 옮겨온 탑에 무게를

 

영탑사에서 칠층석탑을 처음으로 대면을 할 때 참으로 특이한 탑이라는 생각을 했다. 아무리 바위 위에 탑을 조성한다고 해도 기단부를 놓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가 가질 않는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영탑사의 칠층석탑은 보조국사 지눌이 가야사를 중건할 범종과 샅은 시기에 가야사에 세웠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자연 바위 위에 올라있는 칠층석탑. 고려시대의 탑이라고 하는 영탑사 칠층석탑은 기교는 보이지 않지만 상당히 힘이 있어 보인다. 오층까지의 지붕돌과 6, 7층의 지붕돌이 경사면 등에서 많은 차이가 보이고 있어, 이 탑의 윗부분인 6, 7 층은 후에 보완을 한 것임을 알아 볼 수 있다.

충남 당진군 면천면 성하리, 상왕산 영탑사의 우뚝 선 암벽에 돋을새김 한 높이 3.5m의 마애불이 있다. 원래는 연화봉 자연 암반에 그대로 노출이 되어있던 것이었는데, 유리광전이라는 전각을 지어 보존을 하고 있다. 자연 암반에 새겨진 그대로였다면 좋았을 것을, 오히려 전각이 마애불의 멋스러움을 가로막은 듯한 느낌이다.

이 마애불은 약사여래마애불이다. 약사여래는 인간의 질병과 함께 무지(無智)까지도 고쳐준다는 부처님이다. 영탑사 약사여래 마애불은 고려말기의 마애불에서 보이는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무학대사가 조성했다는 영탑사 마애불

영탑사 마애불은 무학대사가 조성을 했다고 한다. 고려 말기 무학대사가 전국을 돌아보면서 도읍터를 찾고 있을 때, 이곳에 들렸는데 바위에서 이상한 빛을 내고 있었다. 대사가 가까이 가니 이상하게 생긴 바위가 보이고, 그 바위에서 아름다운 빛이 발산되고 있었다고. 이를 이상히 여긴 대사는 이 바위가 심상치 않다는 것을 깨닫고, 여기에 불상을 조각해 나라의 평안을 빌었다는 것이다.

현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1호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악사여래 마애불은 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큼지막하게 표현이 되어있다. 얼굴은 윗부분은 넓고 아래로 내려오면서 가름해진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듯 길게 표현하였다. 신체에 비해 얼굴이 큰 편이라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잘 맞지 않는다. 영탑사 마애불을 보다가 피식 웃고 만다. ‘무학대사님 조각 실력이 영 아니다’라는 생각을 하면서.

세련되지는 못했으니 친근한 마음이 들어

눈과 코, 입은 길고 큼직한데 다소 서투르게 표현을 하였다. 그런 조각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둔한 느낌을 준다. 이런 유형의 마애불은 고려 말기 이 지역의 마애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형태이다. 마애불을 조각한 바위는 인근 바위와는 다르게 하나의 산처럼 생겼는데, 마애불은 근엄한 부처이기 보다는 친근함이 드러나는 형태이다.

그리 크지 않은 암벽 면에 조각을 한 탓인지, 몸은 사각형으로 건장하나 움츠린 듯한 느낌이 든다. 무릎 또한 높고 넓어서 얼굴과 함께 둔중함을 나타낸다. 법의는 양 어깨에 걸치고 있으며, 가슴께는 V자 형으로 되어있어, 유려하지가 않다. 안에는 속옷이 표현되어 있으며, 굵은 선으로 새긴 옷주름은 오랜 세월동안 마멸이 심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영탑사 약사여래 마애불은 둔중하면서도 친근미가 느껴지는, 고려시대의 지방화된 불상 양식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작품이다. 이 불상은 많은 사람들이 와서 병을 고쳤다고 소문이 나 있다. 아마도 무학대사의 마음이 전해진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단 한 장의 사진이 남아

영탑사 마애불을 답사하고 난 후, 집에 와서 사진 정리를 하다가 무엇인가를 잘 못 만졌는가 보다. 사진이 보이지를 않는다. 일반적으로 답사를 하면, 문화재 한 점을 30~40장 정도를 찍는다. 물론 고택 등을 답사할 때는 그보다 더 많은 양을 찍기도 하지만.

그런데 사진이 보이지를 않는다. 세세하게 찍어 온 사진이 온데간데없다. 마애불을 촬영하면 전 부분을 세세하게 찍어오는데, 도대체 어찌 된 것일까? 아무리 찾아보아도 없다. 몇 시간을 땀을 흘리고 마음을 조리면서 카메라를 만져본다. 그런데 단 한 장의 사진이 눈에 들어온다. 순간적으로 ‘관세음보살’을 외친다.

세상에 이런 경우가 있나, 이 사진은 어떻게 남은 것일까? 아마도 영탑사 약사여래 마애불이 사진을 찍어 영험이라도 사라진다고 생각을 하신 것일까? 아니면 내가 촬영을 하면서 무슨 잘못이라도 한 것일까? 답사를 하면서 이런저런 일을 많이 겪지만, 이렇게 이상한 일을 당한 마애불이다. 영탑사 마애불이 그래서 더 영험한 것은 아닐지.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