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잎황태정식.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돈다


 

정조대왕이 만든 시장이라는 팔달문 앞의 시장. 딱히 팔달문 시장이라고 하지만, 사실 그 일대는 모두 같은 상권이었다. 그러던 것이 장시가 형성이 된 후, 각자 상인회를 꾸며 분리가 된 것으로 보인다. 팔달문 시장은 1796년 화성이 완공되면서 장시가 개설이 되었다. 그 후 200여년이 지난 1989년에 팔달문시장 상인회가 창립이 되었다.

 

2005년에는 인정시장으로 등록을 하고, 2007년 시장 내의 거리 보수를 하였으며, 상인대학을 개설하고 상인회 교육관을 지었다. 2009년에는 제15회 팔달문 거리축제를 열었으며, 2010년에는 팔달문 특화육성사업을 시작했다. 2013년 팔달문 시장 상인회에서 협동조합으로 마련한 수라상 ‘꽃담’을 개장했다.

 


 수원천 변에 자리한 '꽃담'의 실내


 

삼심(三心)을 요리하는 수라상 꽃담.

 

삼심(三心)은 세 가지 마음을 말한다. 진심(진정한 마음), 연심(사랑하는 마음), 공겸심(공경하는 마음)을 요리에 담아낸다는 것이다.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 1가 144번지. 수원천에 조형된 남수문 앞쪽 2층에 자리하고 있는 꽃담은 우리의 음식을 고집하는 식당이다. 꽃담에서는 일제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6년 된 연근과 오가피의 효소로 건강을 요리한다.

 

7월 5일(금) 꽃담을 찾았다. 올해 개장을 한 꽃담은 분위기부터가 남다르다. 수원천 변을 모두 유리로 조성해 밖에 시원하게 내다보인다. 화성이며 지동시장, 수원천을 걷는 사람들이 보인다. 창가에 늘어놓은 각종 토기들이 그런 정경들과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한다. 실내에 나무로 된 식탁과 의자가 예스럽다는 생각을 들게 한다.

 


 올해 열린 적국요리경연대회에서 연잎보쌈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점심을 같이하기로 한 분이 오셨다. 연잎 황태정식을 시켰다. 꽃담의 요리를 하는 분들(정운성, 이유림)은 올 6월에 열린 제5회 수원 전국요리 경연대회에서 ‘연잎 보쌈’으로 금상을 수상했다. 그만큼 정성을 다하고, 명예를 지키기 위해 요리를 한다고 한다. 이 꽃담의 주 요리는 연을 사용한다.

 

연근과 연잎의 효능을 살려 조리한 음식

 

수라상 꽃담에 음식은 연근과 연잎을 사용한다. 연잎 보쌈정식(12,000원), 꽃담 밥상(7,000원), 연잎 황태정식(12,000원), 연근 콩국수(6,000원), 녹두 삼계탕(12,000원), 연잎 보쌈(대, 35,000원. 소, 25,000원), 연근전(12,000원) 등이다. 연근과 연잎을 이용하여 조리한 음식은 의서에 그 효능이 잘 나타나 있다.

 

연잎의 효능을 보면 지방을 분해시켜 비만해소에 도움을 준다.(동의보감), 연잎을 차로 울어내 오래도록 마시면 늙지 않고 흰머리가 검게 변한다.(본초강목), 혈을 잘 순환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한다.(신동중약), 장복하면 사람의 마음을 맑게 하고 기분을 좋게 한다.(명의별록), 오래도록 마시면 인체의 온갖 병을 낫게 하고 몸을 좋게 만든다(동의보감) 등이다.

 

 

연근의 효능 또한 다양하다. 연근은 피로회복과 빈혈 예방, 심혈관질환 예방 및 엽산 보충, 변비예방, 뼈 강화, 피부노화방지와 피부미용 및 위 기능 강화, 지혈작용 및 소염작용, 두뇌발달 촉진 및 니코틴 배출 효과, 다이어트에 좋다 등이다.

 

차례대로 상이 차려진다. 꽃담의 김치는 연근김치이다. 배추김치 사이에 연근이 들어있다. 음식마다 연을 이용해 조리를 했다. 그만큼 이 집의 음식은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한다. 전국 요리경연대회에서 금상을 받을 만큼 자부심을 갖고 요리를 한다고 한다. 팔달문상인회 협동조합에서 문을 연 ‘수라상 꽃담’. 좋은 사람들과 찾아가 그 분위기에 젖어보길 권한다.

사람들은 참 이상하다. 물론 사람이 살면서 먹지 않고 살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걱정을 한다는 주변 사람들의 인사는 늘 그렇다. ‘밥은 먹고 사냐?’ 라는 질문이다. 물론 밥을 굶지 않는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들의 질문 속에는 혼자 생활을 하면서 혹 귀찮다고 제 때 끼니를 때우지 못할까봐 걱정스러워 하는 질문이기도 하다.

 

날마다 취재한다고 밖으로 싸돌아다니고, 저녁이 되면 거의 술자리에 있는 나를 보고 걱정스러워 하는 말일 것이다. 혹은 저것이 밤에 술을 먹고 아침에 귀찮다고 혹 라면 등으로 끼니를 때우지는 않을까 하는 마음에서 질문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소리 정말 듣기 좋은 것이 아니다. 그 안에는 항상 “왜 그러고 혼자 사냐?” 라는 속내가 있기 때문이다.

 

12월 23일(일) 아침 상

 

걱정마라 아침은 세상없어도 해 먹는다

 

여기저기 기사를 쓰기 위해 돌아다니다가 보면, 아침 이외에는 집에서 끼니를 해결하기가 어렵다. 그래서인가 아침은 세상없어도 꼭 챙겨먹는 버릇이 생겼다. 천성이 그래서인가는 모르지만, 밥을 먹을 때 반찬을 통째로 내 먹기가 죽기보다 싫다. 그런 것 하나가 내가 괜히 추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가끔 TV 등에서 방영을 하는 것을 보면, 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이 찬을 그릇째 먹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런 화면을 볼 때마다, ‘나는 저렇게는 살지 말자.’고 늘 생각을 한다. 물론 아직은 남들보다 더 많은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찾아오지는 못하고 멀리서 걱정만 수 없이 하는 지인들. 그들에게 나 잘 살고 있으니 걱정을 하지 말라고 전해고 싶은 마음이다.

 

나, 이렇게 먹고 산다.

 

예전에는 밥을 먹을 때 부친께서 국이 없으면 꼭 물이라도 한 그릇 곁에 두어야 식사를 하시는 모습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나도 나이가 먹어가면서 ‘국’이라는 것이 왜 필요한지를 알게 되었으니, 이제 나도 늙어 가는가 보다. 성격이 까다로워서인지 찬은 꼭 용기에 덜어서 차려 먹는다.

 

지난 일요일부터 왜 아침 밥상을 찍고 싶었을까? 아마도 지인들에게 걱정하지 말라고 이야기를 하고 싶었나보다. 전날 아무리 술에 떡이 돼서 들어와도, 아침은 일찍 일어나 꼭 챙겨먹는다. ‘밥심‘이라는 말을 철저하게 신봉하는 나이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25일)까지 3일간 내가 챙겨먹은 아침밥상은 이렇다.

 

 

일요일 아침밥상(12월 23일)

 

밥이야 아침마다 해 먹는 것이니 늘 따듯한 밥을 먹는다. 항상 하는 말이 얼마나 더 먹겠다고 식은 밥을 먹느냐고 반문을 하는 인사이기 때문이다. 일요일 아침에 국은 미역국을 끓이고 찬은 항상 4~5가지 정도를 차린다. 이날 찬은 김, 오징어 채 무침, 된장에 넣었던 깻잎, 그리고 파김치였다.

 

 

월요일 아침밥상(12월 24일)

 

전날 과하게 마셨더니 입이 칼칼하다. 이런 날 내가 좋아하는 것은 묵은지를 넣고 끓인 김치찌개다. 이상하게 묵은지 찌개를 먹으면 속이 확 풀리는 듯하다. 참 식성마저 남다른 것인지. 월요일 아침에 반찬은 김(워낙 좋아하는 고로)과 연근뿌리, 장조림, 그리고 꼴뚜기젖으로 아침을.

 

 

화요일 아침밥상(12월 25일)

 

밤이 새도록 책 교정을 보느라 새벽 4시가 넘어서 눈을 부쳤다. 6시 정도에 눈을 떴으나 머리가 조금 무겁다. 몸살 기운도 있는 것 같아, 북어국을 끓였다. 먹을 때 고춧가루를 치면 몸살기운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찬은 고추장아치와 조개젖, 김치와 계란부침이다. 가급적 반찬은 매일 다르게 먹는 편이다.

 

그래도 이렇게 냉장고 한 가득 반찬은 많은 이유는 주변의 덕이다. 살다가 보니 아직 인심은 크게 잃지 않았는지, 여기저기서 걱정들을 하고 찬이라도 한 통씩 갖다가 주신다. 아마도 주변에 그런 좋은 이웃이 있어 꽤나 버티고 사는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나에게 밥은 먹고 사냐?는 질문은 하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누구보다 잘 먹고 살고 있으니. 그러고보니 우리 집 냉장고에 반찬이 너무 많은 것 같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