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가평군 하면 하판리의 현등사는 운악산(해발 935m) 산등성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고찰이다. 신라 법흥왕 27년인 540년에 인도에서 불법을 전하기 위해 건너온 마라가미 스님을 위해 왕이 지어준 사찰로, 오랫동안 폐사 되었다가 신라 효공왕 2년에 도선국사가 다시 중창하였다.

 

현등사는 창건 이래 많은 중창을 하였다. 신라 말 효공왕 2년인 898년 도선국사가 한양을 도읍으로 정하고 동쪽의 지세가 약해 이를 보강하기 위해 운악산을 돌아보던 중 옛 절터가 있는 것을 보고 이곳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두 번째 중창은 고려 회종 6년인 1210년 보조국사 지눌이 운악산 중턱에서 불빛이 비쳐 이곳을 찾아오니 석등과 마륵바위에서 불빛이 비치는 것을 보고 현등사라 이름 하였다고 한다.

 

 

그 후 조선 태종 11년인 1411년 함허득통화상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현등사 경내에는 1619년 봉선사에서 조성한 보물 제1793호인 현등사 동종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63호인 삼층석탑, 183호인 목조아미타좌상, 184호 청동지장보살좌상 등 12점의 문화재가 전해지고 있다.

 

2km를 걷는 길 겨울경치도 아름다워

 

날이 차다. 입구에서 현등사까지의 거리는 2km 남짓. 하지만 주변 경관을 들러보고 가노라면 언제 다 왔는지 일주문이 보인다. 운악산 현등사라고 현판을 단 일주문을 지나면 계단을 오르는 초입에 불이문이 서 있다. 불이문 한 옆 커다란 바위위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기원을 담은 작은 돌들이 빼곡히 쌓여있다.

 

 

천천히 계단을 오른다. 바쁜 일이라고는 없지 않은가? 그저 오늘은 세상 시름 이곳에 다 버리고 훌훌 털고 가야겠다는 생각이다. 조금은 안쓰럽게도 보이지만, 그래도 온갖 세월의 풍상을 다 이겨낸 지진탑이 보인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그 앞에 머리를 숙인다. 그 탑이 대단해서가 아니라, 오래 전 그 탑을 조성한 장인에게 죄스런 마음 때문이다. 제대로 지켜내지 못했음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경내로 들어서는 입구에 삼층석탑이 보인다. 이 탑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했다고 한다. 하지만 도굴을 당한 것을 2006년 삼성문화재단으로부터 되돌려 받아, 다시 제 자리에 모셨다고 하니 탑이 더 빛을 발하는 듯하다.

 

응진전 앞에서 걸음을 멈추다

 

절이라는 곳이 명소 아닌 곳이 어디 있겠는가? 곳곳의 전각마다 부처가 아니 계신 곳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나에게 가장 눈에 띤 것은 바로 커다란 소나무 밑에 한 칸으로 조성을 한 응진전이었다. 그 모습이 왜 그리 눈물겨웠을까? 아마도 그 안에 들어가 머리를 조아려 절을 하고 있는 저 보살도 나와 같은 생각이 아니었을까?

 

 

전국에 산재한 수많은 고찰들을 찾아다니다가 보니, 이제는 그 분위기만 보아도 대충은 그 절의 세를 가늠할 수 있게 되었다. 웅장하고 사람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아니면 일 년의 수입이 많다고 해서 좋은 절일까? 물론 요즈음같은 물질만능시대에 그런 것으로 절의 가치를 정하는 사람도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절에서 고승들이 득도를 했을까? 왜 역사에 남을만한 고승들은 모두 사람의 발길이 미치지 못하는 깊은 산속으로 숨어들었을까? 인간의 오욕이 보이지 않는 곳을 찾아 부처의 참 마음을 깨우치기 위해서는 아니었을까? 현등사 경내를 돌아보면서 온갖 질문을 하고 그 해답을 얻으려고 애를 써본다.

 

하지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이미 내 마음과 몸이 속세의 찌들어있는데. 그저 바람 한 점이 불어 내 몸에 묻은 속세의 먼지를 훌훌 털고 갔으면 하는 바람이다. 눈은 녹았지만 찬바람은 그대로인 한 겨울의 현등사. 그곳에서 난 잠시 동안이나마 속세를 떠나 자유로운 영혼이 되어본다.

대구시 동구  도학동 620번지. 요즈음 한창 많은 사람들이 찾아드는 대구 올레길 제1코스에 있는 북지장사는 신라 소지왕 7년인 485년에 극달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팔공산을 끼고 있는 절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고찰로 전해지고 있다. 아침 일찍 남원을 출발하여 팔공산 갓바위를 거쳐, 북지장사로 향했다. 숲길 1.5km를 걸어 도착한 북지장사. 

그동안 몸살 감기로 10여일 이상을 끙끙대는 바람에 기운이 하나도 없는데, 겨우 진땀을 흘리며 갓바위까지 다녀왔다. 그런데 또 1.5km를 걸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에는 포기할까도 생각했지만, 북지장사 안에 보물이 있다고 하니, 죽어도 갈 수 밖에 없다. 아마도 문화재가 없었다고 하면 일찍 포기를 했을 테지만.

명품견이라는 호피견의 굴욕. 야 녀석아 그게 먼 자세냐 그래

북지장사에서 만난 견공들

북지장사 대웅전 앞에 선 문을 들어서는데, 무엇인가 시커먼 것이 땅에 누워있다. 가서보니 호피견이다. 이 녀석 사람이 카메라를 들이대고 찍어도 요동도 하지 않는다. '개 팔자가 상팔자'라는 말을 실감하게 만든다. 그리고 보니 옆에 황구 한 마리와 호피견이 또 한 마리가 있다. 사람들이 절 안에 그렇게 많이 돌아다녀도, 세 녀석 모두 나몰라라 하고 누눠있다. 남은 힘들게 땀께나 빼고 왔는데.

그런데 이녀석들. 정말 웃기는 놈들이다. 낮에는 사람들이 아무리 돌아다녀도 짖지도 않고, 이리저리 사람들 틈으로 돌아다닌다. 그런데 해만 떨어지면 조그만 인기척에도 짖어댄다니. 역시 명품 견공들인지라 무엇이 달라도 다른가 보다.    



 

문을 들어서는데 가운데 누워있는 호피견. 카메라를 들이대도 꿈쩍도 하지 않는다. 땅에 붙은 듯이...

인상은 참 험하게 생긴 녀석이 그리 순둥이처럼 가만히 있다. 그러나 눈초리를 보면 명견답다


녀석뿐인지 알았더니 황구 한 녀석과 호피견 한 녀석이 또 있다

걷는 자세에서 명품견의 포스가 느껴진다. 이 녀석들 싸움을 하면 절대로 지지 않는 녀석들이다.



얼굴을 보면 날카로움이 배어있다. 그러나 녀석들 틈만 나면 땅에 누워버린다. 해가 있으면 늘 이렇게 아무 곳에나 눕는다고....


녀석의 죽이는 자세에 배꼽 빠지는 줄 알았다. 그래도 스님께서 북지장사에 대한 설명을 하시자, 앞으로 들어와 경청을....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