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 최승일이 그려내는 작가의 속마음

 

“사람이 게으르지 않고 열심히 노력을 하는 사람은 성공을 합니다. 하지만 노력보다 더 자기의 성취도를 올릴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일 자체를 즐기는 것입니다. 그렇게 즐길 줄 아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합니다.”

 

7월 8일(목) 오후, 비가 뿌리는 날 수원시 팔달구 남창동 131-2에 소재한 임 아트갤러리에서 전시 개막준비를 하고 있는 회화작가 최승일이 한 말이다. 7월 8일부터 14일까지 열리는 최승일전은 개막을 하기도 전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눈길을 끈다. 비가 오는 날 개막이라니 사람들이 찾아올까 걱정을 하지만, 정작 작가는 그러 것에는 걱정이 없다는 말투이다.

 

 

“제 작품은 볼트와 전구입니다”

 

갤러리 벽에 걸린 작품들. 작품을 일일이 짚어가면서 설명을 하지만 이해를 할 수가 없다. 미술에는 워낙 문외한이기 때문이다.

 

“작업은 예술가에게 있어서 자아실현의 통로이며, 새로운 차원으로 승화시키려는 또 다른 삶의 표현방식이라고 생각 됩니다. 판화라는 간접적인 매체가 지니고 있는 함축적인 표현과 독특한 재질감, 그로 인한 절제된 형상 등은 일상의 다양한 요소들을 형상화하고 이를 통하여 작가의 행위가 간접적으로 전달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죠.”

 

 

작가 최승일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했다. 그동안 그림을 그려오면서 자신만의 내명을 표현하겠다는 생각으로 다작을 하기도 했다고 한다.

 

“지금도 그림을 손에서 떼어본 적이 없는 듯합니다. 아이들을 가르치고는 있지만, 새벽 시간과 낮 시간을 이용해 주로 작업을 하죠. 저는 작업을 매체의 이미지를 통하여 표면이 아닌 내면에 잠재된 조형적 언어를 표출하고 싶습니다. 하기에 남들은 제 그림을 보고 볼트와 전구라고도 표현을 합니다. 볼트란 조이기도 하지만 풀기도 하죠. 음과 양의 조화를 이루는 물질입니다. 즉 제가 표현하고 싶은 것은 바로 모든 것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싶은 갈망입니다”

 

1년에 세 차례의 개인전을 열기도

 

현재는 수원시 팔달구 교동 등 세 곳에서 ‘호우와 자명’이라는 미술학원을 운영하고 있는 작가 최승일도 한 때는 어려움을 겪기도 했단다.

 

 

“졸업을 하고나서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했다가 낭패를 당하기도 했죠. 그 때는 정말 어려움이 많았습니다. 2004년에는 한 해에 개인전을 3회나 열기도 했습니다. 쉴 새 없이 그림을 그린 것이죠. 남들은 우려를 표하기도 했지만, 그렇게 그림을 그리면서 나 스스로를 찾아가는 길이기도 했으니까요.”

 

그렇게 그림을 열심히 그리는 것은 제자들에게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노력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어서라고 한다. 외국을 다니면서 만나는 선배나 동료, 혹은 후배들을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기도 했단다.

 

“외국에 나가서 사람들을 만나다가 보면 두 부류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침부터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갤러리마다 찾아다니면서 스스로를 일깨우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저 먹고 놀기만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전자의 사람들은 모두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감성이 예민해 자신만 노력을 하면 얼마든지 외국에서도 성공을 할 수 있죠.”

 

그런 모습들을 보면서 자기 자신을 돌아보게 되고, 결국 그런 것들이 작품 활동을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는 것.

 

 

해외에도 작품이 소장되어 있는 작가

 

“저는 일상적인 재료에서 찾아낸 어떠한 특성이 또 다른 공간에서도 나타나는 표현 행위 속에서 스스로 창조되는 환경을 설정하여, 이러한 가변적 재료들은 그 무엇을 초월하면서도 모든 것에 공통되고 모든 것과 연결된 어떤 무엇에 접하고 있다는 일종의 암시적인 것을 표현하고자 합니다.”

 

그동안 국내에서 10회의 개인전을 가졌다. 그런데 그 10회의 개인전 중 9회가 일 년에 세 번의 개인전을 열었다. 2004년 3회, 2010년 3회, 2011년 3회이다. 그 중 세 번의 개인전은 해외에서 갖기도 했다. 작가 최승일은 국내보다는 주로 국제전에 더 많은 작품을 냈다. 1995년 동경미술관 임팩트 비엔날레, 2010년 Art by Geneve 2010 아트페어(팔렉스포 제네바), Art Asia 마이애미 국제 아트페어(마이애미, 미국) 등 10여 차례 국제전을 가졌다.

 

 

최승일 작가의 그림은 해외에도 소장이 되어있다. AD갤러리(프랑스 리옹), 스위스 국립의료재단 등 해외에서도 그의 그림을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나혜석 여성미술대전 심사위원이면서 한국미협, 수원미협 회원으로도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 최승일. 14일(일)까지 임 아트갤러리를 찾아가면, 또 다른 작가의 속마음을 만날 수가 있다.

항아리가 바닥에 내동댕이쳐졌다. 그 안에서 신발과 동전, 지폐가 마당으로 뿌려진다. 그것은 어찌보면 이 사회를 질타하고 있는 지도 모르겠다. 많은 것을 가진 자들이 항아리라는 갇혀진 공간속에서 갖고 있는 수많은 재물을 뜻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것을 깨트려 소통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9월 11일 오후 5시부터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417-24에 소재한 수원시미술전시관 앞에서 펼쳐진 김석환의 행위예술이다. 이 행사는 (사)한국미술협회 수원지부가 주최하는 2012 수원예술인축제 기획전인 ‘소통·메시지’의 식전행사로 펼쳐졌다.

 

 

수원미술전시관 소통과 메시지 전을 열다

 

‘소통·메시지’전은 9월 11일(화)부터 17일(월)까지 열리며, 시간과 공간을 막론하고 수원시민과 예술인이 함께 예술적 이야기를 하면서 서로가 ‘소통’할 수 있는 메시지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예술, 세대, 장르를 떠나 변화의 혁신을 추구해, 멈춤이 아닌 진화와 화합으로 소통함에 그 내적사고를 둔 전시이다.

 

107명의 수원미술협회 회원들이 참가한 이번 전시의 개막식에는 노영관 수원시의회 의장을 비롯하여, 수원시장을 대신하여 참가한 박흥식 문화교육국장, 수원문화재단 유완식 대표이사와 김훈동 수원예총회장 등이 참석을 하였다.

 

 

 

소통, 독 속에 피는 사랑

 

식전행사로 펼쳐진 행위예술가 김석환의 ‘소통, 독 속에 피는 사랑’은 구조물로 만든 소와 지게 위에 올린 독을 소품으로 사용을 했다. 처음에 관객들에게서 걷은 돈과 관객들의 신발을 독 안에 넣고, 김석환의 행위예술이 시작이 되었다.

 

신발은 우리가 걸어 온 흔적들을 담고 있다. 신발은 아득한 옛날부터 걷기 시작하여, 먼 훗날까지 걸어야 하는 메신저와 같은 상징물이다. 우리는 이 신발을 신고 걸으며 세대와 거리, 공간 등을 넘어 소통을 하게 된다. 이 소통은 아주 오래전부터 앞으로의 미래까지 사람들과 함께 길을 걸을 것이다.

 

 

 

신발은 시대의 상징이다. 깨진 독 속에서 주화를 찾아 신발 안에 채우는 작업은 미래의 유물을 발굴하는 것과 같은 현장의 상징한다. 그리고 그 유물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하나의 고리가 된다. 이것이 바로 소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김석환은 이 행위에 대하여

 

“신발의 의미와 유물과의 만남은 많은 상상과 미학을 우리에게 던지지만, 이는 존재론에 대한 하나의 회귀로 시공간을 통시합니다. 연기는 미래와 현재를 잇는 정화된 시각적 소통을 연출하려고 노력했습니다.”라고 한다,

 

 

행위가 이루어지는 동안 권미강(여, 47세. 전국작가협회 회원)의 ‘독 속의 사랑’이라는 자작시낭송이 곁들여졌다,

 

내가 첫발을 떼었을 때

너는 온전히 내 발의 길 위에 서 있었다.

내가 첫 발자국을 남겼을 때

너는 이미 나와 똑 같은 발자국으로

내 흔적을 찍었다.

대지의 숨결이

너와 내 발자국의 흔적들을 어루만졌다.

그렇게 켜켜이 쌓여진 너와 나의 발자국들

저 각양각색의 흔적들

한 켤레의 이름으로 하나가 된 우리.

 

‘허무처럼 큰 공간은 없다.’

함께 길을 떠나 얽혀진 흔적들이

검은 항아리 아가리 속으로

추억을 던져 넣은 첫 발걸음의 기억들아!

텅 빈 것 속에 텅 빈 마음을 던져 놓은 들

채워지지 않는 허무, 꽃으로 피다(이하 하략)

 

 

독 속에 있던 신발은 그 안에 돈이 담긴 채 주인에게로 돌아갔다. 그리고 소의 꽁무니에서 흰 연기를 뿜으며 배우는 무대 밖으로 사라진다. 어쩌면 저 흰 연기가 시공을 초월하는 여행을 하는 물체의 뒤편에서 추진을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마치 소통이 없이 막힌 인간들에게 소리라도 치는 듯, 굉음을 내면서 말이다.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