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란 한 나라의 척도를 재는데 있어서 중요한 자원이 된다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도 우리나라처럼 다양한 문화를 갖고 있는 나라는 그리 흔치가 않다고 한다. 하지만 그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은, 정작 수준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 보편적 생각이다.

문화란 어찌보면 단순할 수도 있겠지만, 폭 넓게 생각을 한다면 세상살이 모든 것이 다 문화의 범주에 포함될 정도로 다양하다. 요즈음 들어 '문화켄텐츠'라는 말을 자주 듣게된다. 전문가가 아닌 나로서는, 겨우 생산적 자원이 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 정도로만 알고 있다. 


여기서 새삼스레 거창하게 문화에 대해서 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 문화적 소양이 필요한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그 문화라는 것 안에는 실생활에 있어, 사람이 지텨야 할 기본적인 도리도 포함되어야 한다는 생각이다. 

얼마전 수원에 일이 있어 갔다가 한 동네의 골목에 들어갈 일이 생겼다.

우연히 골목 길 어귀에 담벼락을 보았더니 블럭 사이에 이상한 것이 보인다. 한 마디로 웃음이 터졌다. 블럭 사이에 음료수 병들이 여기저기 빼꼭 차 있다. 이곳에서 누가 이렇게 음료수를 많이 마신 것일까? 특별하게 주변에 가게도 보이질 않는데 말이다.


조금 더 안으로 들어가니 이번엔 벽에 붉은 글씨가 보인다. 글씨의 내용을 보다가 보니, 참으로 어이가 없다.

경고문

대문 앞 담장 쪽으로 주차하다보니까 그 사이에다 대소변 보는데
잡히면 형사고발 조치함 도저히 냄새나서 못살겠다


라는 문구가 보인다. 도대체 누가 주차를 해 놓은 담장 사이에 대소변을 보는 것일까? 그 골목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출입을 하는 곳도 아닌데 말이다.

세상을 살면서 조금은 흐트러질 때가 있다. 하지만 이런 모습을 보면 거의 습관적으로 이런 행동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문화국민으로서의 품위는 스스로가 지켜야 하는 것이 아닌지. 하기사 이것 뿐이겠는가? 다니다가 보면 참 한심한 작태를 너무 많이 보게되는데..

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일대에는 사적 제471호인 위봉산성이 있다. 위봉산성은 조선 후기 변란을 대비하여, 주민들을 대피 시켜 보호할 목적으로 축성한 산성이다. 험준한 산의 지형을 이용하여 숙종 원년인 1675년에 시작하여, 숙종 8년인 1682년에 걸쳐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위봉산성을 처음 찾아갔을 때는 벌써 7 ~ 8년 전 이었나보다. 당시에는 지방문화재였던 이 산성이, 2006년 4월 6일자로 사적으로 변했다.

위봉산성은 성벽 둘레가 약 8,539m에 성벽 높이는 1.8 ~2.6m 정도이며, 높은 곳은 5 ~ 8m에 이른다. 성 안의 관련 시설물로는 성문 4개소와 암문지 6개소, 장대 2개소와 포루지 13개소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추정 건물지 15개소에 수구지 1개소도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전북 완주군 소양면에 있는 사적 제471호 위봉산성

비가 오는 날 위봉산성을 향하다

2월 27일, 토요일에 온다던 비가, 일요일 아침 일찍 눈을 떠보니 후줄근하게 내린다. 카메라가방을 몇 번이고 들러 매었다가 다시 내려놓는다. 가까운 곳은 몇 번이고 다녀온 터라, 갈만한 곳이 떠오르지 않는다. 저녁시간이 다 되어서야 길을 나섰다. 위봉산성에서 조금 더 지나면 있는 위봉사라도 다녀올 마음에서다.

위봉사를 가기 전에 먼저 만나게 되는 위봉산성이다. 비가 와서 그런지 산에는 비구름이 가득 끼었다. 정작 고개 정상에 있는 위봉산성 서문지 일대는, 그래도 짙은 구름은 끼지는 않았다. 우산을 들고 차에서 내려 산성을 한 바퀴 돌아본다. 저 멀리 산봉우리에는 가득 비구름이 끼어있다.



위봉산성은 일부 성벽을 제외하고는 성문, 포루, 여장, 총안, 암문 등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 위봉산성을 축성한 것은 다른 산성과는 달리, 군사적 목적뿐만이 아니라 유사시 태조 이성계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축성한 성이라고 한다. 전주 경기전에 모셔진 이성계의 영정을 모셔 둘 행궁을 성 내부에 두는 등, 조선 후기 성곽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실제로 1894년 동학혁명 때 전주부성이 동학군에 의해 함락이 되자, 이곳으로 경기전에 모셔둔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옮긴 적이 있다.



7개 군의 군민이 동원되어 쌓은 위봉산성

위봉산성을 다 돌아보지는 못했다. 올 봄에 날이 풀리면 시간을 내어 한 바퀴 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지금 서문일원은 성문의 성벽과 옹성, 그리고 성벽의 일부만이 남아있다. 도로를 내느라 끊어진 산성은 산 위로 길게 쌓아올렸다. 길 건너편 성곽을 둘러본다. 급한 경사면을 이용해 축성을 한 위봉산성은, 경사면이 바로 성벽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 산성을 축성할 때는 인근 7개 군민이 모여서 쌓았다고 한다. 8년이나 걸쳐서 쌓은 성은 산에 있는 돌을 그대로 이용한 듯하다. 이 일대의 민가 축대에서도 성벽을 쌓은 돌과 같은 석재들로 쌓은 축대가 보인다. 골짜기에 축대를 쌓고 그 안쪽으로는 다닐 수 있도록 길을 내었다.




여장을 쌓은 돌도 다듬은 돌이 아니고, 성벽을 쌓기에 적당한 돌을 이용했다. 위에는 큰 돌을 올려 무게를 주었는데, 이 돌은 전투시에는 공격용 무기로 사용도 할 수 있었을 것 같다. 총안으로 밖을 내다본다. 저 밑 계곡에서 밀려오는 적을 공격하기에는 적당할 듯하다.

옹성이 있는 서문지를 돌아보다

서문지를 돌아본다. 아치형으로 문을 만들고, 그 위는 서문의 위에 섰던 누각이 있었던 곳이라 위가 뚫려있다. 서문 밖으로는 옹성을 쌓았다. 대개 옹성은 낮은 편으로 쌓지를 않는다. 적이 공격을 하기가 어렵도록, 높은 곳을 골라 출입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다. 위봉산성 서문지의 옹성이 터진 곳도, 가파르게 성벽이 산을 타고 올라가는 쪽에 내놓았다.



만일 적이 성문을 깨기 위해 옹성 안으로 들어온다면, 사방에서 공격을 받게 되어있다. 옹성은 성을 보호하고 적을 섬멸하는데 있어서는, 꼭 필요한 구조였을 것 같다. 이 산성을 돌아보는데 빗줄기가 더욱 강해진다. 괜한 걱정을 한다. 예전에 이렇게 비가 오는 날, 성벽 위에서 파수를 보던 병사들은 어떻게 비를 피했을까? 비가 오는 날 오른 위봉산성에서, 지나간 옛 시간을 돌아본다.


위봉산은 높이 524m 정도의 높지 않은 산이다. 위봉산은 전주시 동부 외곽을 감싸는 산으로 주위에는 해발 602m의 대부산과 713m의 원등산 등이 자리하고 있다. 완주 소양에서 위봉산을 넘는 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송광사를 지나 사적인 위봉산성이 나온다. 그곳을 지나면 좌측으로 폭포가 한 줄기 장관을 이루고 떨어진다. 

 

예로부터 전주8경, 또는 완산8경이라 불릴 만큼 경치가 빼어나며, 옛 경치를 간직하고 있는 곳은 위봉폭포뿐이다. 위봉산 남쪽 사면에 있는 높이 60m의 위봉폭포는, 깎아지른 듯한 절벽에서 쏟아지는 2단 폭포로 기암괴석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 폭포정 위봉폭포를 관람하기 좋은 곳에 지어진 위봉폭포정. 시멘트로 지어져 조금은 아쉬움이 남는다.

 
▲ 현판 이층 누각으로 지어진 정자에 걸린 현판. 위봉폭포정이란 이름이 재미있다.

 

비가 오는 날 찾으면 더욱 장관

 

위봉폭포는 날이 가물면 그 참 모습을 보기가 힘들다. 비가 뿌리는 25일 오후에 찾은 위봉폭포. 도로에서 보면 그 길이가 60m나 된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다. 하지만 위봉폭포를 관람하기 위해 세워 놓은 폭포정에 오르면, 보이지 않던 폭포의 밑 부분까지 자세하게 볼 수가 있다. 

 

▲ 상단 위봉폭포의 상단. 물이 굽이쳐 흐르는 곳에 숲이 우거져 더욱 아름답다

▲ 위봉폭포 암벽을 타고 흐르는 위봉폭포는 이단 60m 정도이다.

 

거리가 멀어 그 장관을 느끼기에는 부족하다 하지만, 도로를 따라 고개 위로 오르다가 가까운 곳으로 다가가면, 암벽 사이로 떨어져 내리는 폭포가 일품이다. 물소리까지 들을 수 있는 곳으로 다가가면, 속마음의 찌든 것이 모두 씻겨 내려가는 것만 같다. 장마가 지고나면 더욱 장관이라는데, 올 장마가 멈추고 나면 다신 한번 찾아보아야겠다. 모처럼 생활에 찌든 마음 속 찌꺼기가 한꺼번에 날아간 듯하다. 

 

▲ 위봉폭포 폭포정 위에 오르면 도로에서는 보이지 않던 밑부분까지 보인다.

▲ 위봉폭포 도로를 따라 올라가다가 가까이 보면, 바위 암벽 사이로 떨어지며 물보라를 일으키는 모습이 장관이다.
 

(출처 : 오마이뉴스 / 2010, 5, 30)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