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달산 고인돌길'. 생소한 이름일 것이다. 난 이 길의 이름을 이렇게 붙이고 싶다. 이 길은 지방유형문화재인 팔달산 ‘지석묘군’을 답사하기 위해 올라갔다가 우연히 붙인 이름이다. 그저 뒷짐을 지고 몇 바퀴를 돌기에 적당한 길이고, 아이들과 함께라면 자연과 문화를 벗 삼아 걸을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도심에서 이런 길을 만난다는 것도, 알고 보면 행운이란 생각이다.

 

그저 혼자 40분 정도를 걷다가 여러 가지 이름을 생각해 냈다. 용도길, 화양루길 등 여러 가지 생각을 했지만, 그래도 제일 적당한 이름이 '팔달산 고인돌길'이란 생각이다. 이런 이름을 붙여놓고 혼자서 싱글거린다. 지나는 사람이 쳐다보는 것도 아랑곳하지 않고, 그저 뒷짐을 지고 소나무 길을 걸어본다.

 

 

'팔달산 고인돌길', 이름 어때요?

 

나름대로 이렇게 이름을 붙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요즈음 조금만 경치가 좋아도 사람들은 길에 이름 붙이기를 좋아한다. 나야 길 전문가도 아니니, 구태여 길에 이름을 붙여야 할 이유는 없다. 하지만 아이들과 함께 걷기에 적당한 이 길을 그냥 지나친다면, 그래도 명색이 문화재를 소개하는 사람의 본이 바로서질 않는다는 생각이다.

 

수원 팔달산의 남쪽에 자리하고 있는 수원시립중앙도서관을 좌측에 놓고, 팔달산으로 오르는 길이 있다. 9월 4일 아침부터 비가 내린다. 작은 손 카메라 하나만을 주머니에 넣고 산을 오른다. 비가 내리는 날 숲으로 들어가면 숲의 향기가 온몸을 감싼다. 가끔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후두둑’ 소리를 낸다면, 그 또한 자연의 소리일진데 반갑지 않을 수가 없다.

 

 

팔달산으로 오르는 길이라고는 하지만, 구태여 산이라고 이름을 붙일 이유도 없을 듯한 경사이다. 조금만 숲길을 걸어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지석묘군. 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는 이 지석묘를 비켜나면, 팔달산의 남쪽 능선을 따라 쌓은 화성의 용도 방향으로 오르게 된다.

 

그보다는 지석묘를 알 수 있는 이름이 좋다

 

이 길을 걸으면서 '용도길'이나 '화양루 길'이라고 생각을 한 것도, 이 길을 따라 오르다가 만나게 되는 화양루와 그 옆에 용도 곁을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성 안으로 걷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성의 이름을 붙이기보다는, 그저 '고인돌길'이란 명칭이 더 정감이 가기 때문이다.

   

 

지석묘군을 지나면 용도의 끝에 마련한 화양루가 보인다. 이 길은 온통 암반이다. 이곳의 돌들은 과거에 화성을 쌓기 위해 성돌을 채석하기도 했다고 한다. 바위를 잘 살펴보면 돌을 쪼아낸 흔적도 보이고, 성돌로 사용함직한 크기의 돌도 보인다. 그 바위와 소나무들이 어우러진 길 위에 화양루와 용도가 보인다.

 

소나무와 암반이 어우러진 길

 

용도의 성벽을 우측으로 두고 천천히 걷는다. 용도 안에서는 용도가 꽤 높이 쌓은 줄로 알았다. 그런데 막상 용도를 끼고 걸어보니, 이렇게 낮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에전에는 성벽 밑이 가파른 비탈이었을 텐데, 세월이 지나다보니 이렇게 길이 생겨났다. 조금 걷다보면 용도서치를 지나고, 잠시 후 서남암문 위에 올려 진 서남포사가 보인다.

 

 

서남포사를 지나 조금만 가면 밑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그 길을 따라 돌아오는 길은 노송 숲이다. 비가 내리는 날 숲속에서 맡아보는 솔 향이 사람을 기분 좋게 만든다. 누군가 돌탑을 쌓아놓았다. 그리고 다시 만나게 되는 지석묘. 두어 바퀴를 더 돌았는데도 시간이 40분 정도 밖에 지나지 않았다. 여러 번 그 길을 반복해서 지나는 분에게 몇 바퀴나 도느냐고 물었다. 그저 걷고 싶은 대로 걷는단다.

 

 

'걷고 싶은 대로 걷는 길'. 그것이 바로 팔달산 고인돌길의 멋이다. 제법 빗줄기가 굵어졌다. 이렇게 아름다운 길이 있을 수 있나? 괜히 그 길에 취해 멈춰 선다. 저만큼 비에 젖은 새 한 마리가 가지에 외롭게 앉아있다. 그 또한 자연이란 생각이다. 바위와 소나무가 적당히 어우러지고, 화성을 손으로 느껴가면서 걸을 수 있는 길. 아이들과 함께 걸어도 부담이 되지 않는 이런 길이 나는 좋다.

전남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274에 소재한 송강정은, 송강 정철(1536∼1593)이 조정에서 물러난 후 4년 동안 지내던 정자다. 고서면 원강리 유신교차로에서 봉산초등학교 양지분교 쪽으로 조금 가다가보면 좌측으로 주차장이 보이고, 숲 위쪽에 자리를 한 송강정이 보인다. 이 정자는 원래는 '죽록정(竹綠亭)'이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송강 정철이 지냈다 하여 송강의 호를 따서 송강정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송강정은 1955년에 고쳐지었는데, 송강 정철이 선조 17년인 1584년 대사헌을 지내다가, 1585년 양사의 논핵이 있자 스스로 퇴임하여 약 4년간 고향인 창평에서 은거하였다. 송강정은 정철이 이곳에 내려와 지었다고 하니, 처음 송강정을 지은 것은 벌써 450년이라는 세월이 지난 셈이다.

 

 

소나무 향이 짙은 송강정

 

계단을 따라 오르니 솔향이 코를 간질인다. 천천히 뒷짐을 지고 걸어 올라본다. 숨을 들이키자 폐부 한 가득 소나무의 향이 가득 차는 듯하다. 이름 모를 새 한 마리가 인기척에 놀란 듯 날아간다. 계단 위에 자리한 정자는 그렇게 화려하지 않은 평범한 모습이다. 그저 어느 고졸한 학자 한 사람이 이곳에서 쉬어갈 만한 그러한 곳이다.

 

그러나 이곳이 그 유명한 <사미인곡>이 지어진 것이라는데 대해, 다신 한번 정자를 훑어본다.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인 정철은 명종 16년인 1561년에, 27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였다. 그 뒤로 많은 벼슬을 지내다가 정권다툼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 내려와 글을 지으며 조용히 지냈다.

 

 

 

그는 고향인 창평에 내려와 머물면서 사미인곡, 속미인곡, 성산별곡 등을 지어냈다. <사미인곡>은 조정에서 물러난 정철이, 왕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여인이 남편과 이별하여 사모하는 마음에 빗대어 표현한 노래라고 한다. 이곳 송강정에서 정철은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을 지었다.

 

고졸한 송강정은 숲을 해하지 않아

 

송강정은 정면 3칸에 측면 3칸의 규모로 꾸며졌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앞면에는 '송강정'이라는 현판을 걸었고, 측면에는 '죽록정'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아마 송강정이라고 하기 이전에 죽록정이라고 했다고 하니, 그 이름을 잊고 싶지가 않았는가 보다. 주추를 보니 동그렇게 다듬은 돌 위를 평평하게 만들고 기둥을 올렸다. 예전에도 이랬을까? 그저 모든 것이 궁금하기만 하다.

 

 

 

정자의 정면에서 보면 중앙 뒤편으로 한 칸의 중재실을 달아냈다. 아마 이곳에서 4년이란 세월을 묵으면서, 송강은 사미인곡을 집필 한 것이 아니었을까? 마루에 걸터앉아 본다. 앞으로 난 길을 달리는 차들의 소음이 들린다. 아마 예전에는 저곳으로 소를 끈 농부가 지나고, 급하게 말을 몰아 달리던 파발이 지나치지는 않았을까? 송강은 그런 모습을 보면서 임금을 더 그리워했을 것이다.

비가 오는 날 찾은 울진 평해. 솔향이 짙은 해송 숲에 자리한 정자. 그저 바라다만 보아도 절로 시 한 수가 나올듯한 곳이다. 정철의 관동팔경 중에서 제일경이라고 하는 월송정은 고려시대에 창건이 되어 수많은 시인 묵객들이 즐겨 찾았던 곳이다. 퇴락하였던 이 정자는 조선 중기 연산군 때 강원도 관찰사 박원종이 중건하였다.

 

그 후 낡고 무너져서 유적만 남았던 곳을 1933년 이곳 사람인 황만영, 전자문 등이 다시 중건하였다. 일제 말기에는 월송에 주둔한 해군이 적기 내습의 목표가 된다 하여 철거하였다. 1969년에는 사연을 안타깝게 여긴 재일교포로 구성된 금강회가, 2층 철근콘크리트 정자를 신축하였으나 옛 모습을 살필 길 없어 1979년에 헐어 버리고, 1980년에 고려시대의 양식을 본떠서 지금의 건물을 세웠다. 제일경이란 곳이기에 그만큼 많은 수난을 당했는가 보다.

 

 

비가 오는 날은 답사를 하면 안 되는지?

 

비가 추적거리고 온다. 지난 한 해, 이상하게 맑던 날이, 답사 길에 오르기만 하면 비가 뿌린다. 한번 길을 나서면 2~3일을 돌아오지만, 이렇게 비가 오는 날이면 계획을 세우고 떠난 길이 무색하다. 그래도 어찌하랴, 내딛은 발길이니 다는 못 다닌다고 해도, 쉴 수는 없지 않은가?

 

월송정을 찾은 날은 딴 날마다 비가 더 내린다. 치에서 내려 한창을 망설인다. 어찌해야 할 것인가를. 그래도 입구까지 왔는데 길을 돌릴 수는 없다. 천천히 숲길을 걸어 들어가니 소나무 숲에서 뿜어 나오는 향내가 코를 간질인다. 아마 이 월송정을 찾았던 수많은 사람들도 이 소나무의 향기에 취하지는 않았을까?

 

 

 

화랑의 이야기는 동해안으로 이어지고

 

해송 숲에 둘러싸인 월송정. 월송정은 신라 때 사선(四仙)이라고 하는 영랑, 술랑, 남속, 안상이라는 하는 네 화랑이 울창한 소나무 숲에서 달을 즐겼다 해서 ‘월송정’이라고도 하고, 월국에서 소나무 씨를 가져다 옮겨 심었다 하여 ‘월송’이라고도 한단다. 아름다운 곳은 전설이 만들어지고, 그 전설은 아름다움을 오래 기억에 남게 하는 것이 우리네의 조상들이었다.

 

그만큼 멋과 여유를 즐겼다는 뜻일 게다. 그리고 보면 위에 네 화랑은 강원도로 길을 잡아 금강산까지 갔다가 공부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속초에서 한 호수에 반했다. 그 중 한 명인 화랑 영랑은 그곳을 떠나지 못했는데, 그가 반한 호수가 바로 설악산을 품고 동해와 맞닿은 석호인 ‘영랑호’이다.

 

 

영랑은 결국 그곳에서 공부를 하다가 속초 보광사 뒤편의 관음바위라는 곳에서, 신선이 되어 하늘로 올랐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도 있다. 동해 안에는 그만큼 아름다운 곳이 많다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진다.

 

겨울 설화가 아름다운 곳

 

월송정에 올라 동해를 바라보니 이층 누각으로 된 누정답게 시야가 확 트인다. 그래서 이곳은 동해 일출을 보려는 사람들로 북적인다. 겨울 경치가 더 아름답다고 하는 월송정. 아마 해송에 가지에 부러지게 쌓인 겨울눈인 ‘설화(雪花)’때문이란 생각이다.

 

 

정자를 내려 소나무 숲을 걸어본다. 비가 잠시 멈춘 듯 해 우산을 접는다. 해송가지에 맺혔던 물방울이 탁탁 소리를 내며 주변에 떨어진다. 그 소리가 더욱 경쾌하다. 신라의 사선인 영랑 등이 이곳을 좋아했다는 이야기도, 월국에서 소나무 씨를 가져다 심었다는 전설도 다 그랬을 것이란 생각에 혼자 미소를 머금는다.

 

이곳을 찾은 딴 사람들도 나와 같은 생각일까? 아니면 조금은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을 할까? 그것은 여유의 차이일 듯하다. 아마 비가 오는 날 월송정을 찾았다면 누구나 다 수긍을 할 것만 같다.

 

 

사람들은 나에게 묻는다. 왜 비가 오는 날 그럼 험한 꼴로 정자를 누비고 다니느냐고. 글쎄다. 아직 그 질문에 대한 답은 내리지를 못했다. 이제 돌아본 정자가 불과 100여 개. 전국에 얼마나 많은 정자가 있는 줄 모른다. 한 고장에만도 100여개가 넘는 정자를 가진 곳도 있으니 말이다.

 

사연도 참 많다. 정자마다 그 안에는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그리고 바람이 늘 머무는 곳이다. 그 바람들이 세상이야기를 전해주는 곳이 바로 정자이다. 그래서 난 정자를 찾을 때마다 수많은 이야기를 듣는다. 바람이 전해주는 세상의 이야기를.

최신 댓글